산과바다
出都來陳所乘船上有題小詩八首 不知何人作有感余心者聊為和之(출도래진소승선상유제소시팔수 부지하인작유감여심자료위화지) : 소식(蘇軾)
수도를 나와 진주(陳州)로 올 때 타고 있던 배에 짧은 시 여덟 수를 써 놓은 것이 있었는데, 누군지 모르지만 내 마음에 느낌을 주는 바가 있어서 그런대로 화답하다.
蛙鳴青草泊,蟬噪垂楊浦。吾行亦偶然,及此新過雨。
鳥樂忘罝罦,魚樂忘鉤餌。何必擇所安,滔滔天下是。
煙火動村落,晨光尚熹微。田園處處好,淵明胡不歸。
我行無疾徐,輕楫信溶漾。船留村市鬧,閘發寒波漲。
舟人苦炎熱,宿此喬木灣。清月未及上,黑雲如頹山。
萬竅號地籟,沖風散天池。喧豗瞬息間,還掛斗與箕。
潁水非漢水,亦作蒲萄綠。恨無襄陽兒,令唱銅鞮曲。
我詩雖云拙,心平聲韻和。年來煩惱盡,古井無由波。
其一
蛙鳴靑草泊(와명청초박) : 푸른 풀 우거진 늪에 개구리가 울어대고
蟬噪垂楊浦(선조수양포) : 버들가지 늘어진 포구에 매미 소리가 요란하다.
吾行亦偶然(오행역우연) : 내가 이 길을 가는 것도 우연한 일인데
及此新過雨(급차신과우) : 비가 한바탕 지나간 이 상쾌한 순간을 맞았네.
其二
鳥樂忘罝罦(조락망저부) : 새들은 즐거워서 그물을 잊고
魚樂忘鉤餌(어락망구이) : 물고기는 즐거워서 낚시와 미끼를 잊었네.
何必擇所安(하필택소안) : 어찌 꼭 편안한 데를 고를 필요가 있으랴?
滔滔天下是(도도천하시) : 넓고 넓은 천하가 안식처인 것을
其三
烟火動村落(연화동촌락) : 밥 짓느라 온 마을에 연기가 모락모락 피고
晨光尙熹微(신광상희미) : 새벽빛은 아직도 희미하여라
田園處處好(전원처처호) : 전원은 곳곳이 저리도 좋거늘
淵明胡不歸(연명호불귀) : 도연명이 어떻게 돌아 기지 않았으랴?
其四
我行無疾徐(아행무질서) : 급할 것이 하나 없는 나의 여행길이
輕楫信溶漾(경즙신용양) : 출렁이는 물결에다 가벼운 노를 맡긴다.
船留村市鬧(선류촌시료) : 내 배가 멈춰서니 시골 장이 부산하고
閘發寒波漲(갑발한파창) : 수문이 열려서 시원한 물결이 넘실댄다.
其五
舟人苦炎熱(주인고염열) : 뱃사공은 더위를 견디기가 힘들어서
宿此喬木灣(숙차교목만) : 교목이 우뚝한 이 항만에서 잠을 자누나
淸月未及上(청월미급상) : 맑은 달은 아직까지 떠 오르지 않았는데
黑雲如頹山(흑운여퇴산) : 무너지는 산처럼 먹구름이 피어난다.
其六
萬竅號地籟(만규호지뢰) : 구멍마다 대지의 소리 울려 나오고
衝風散天地(충풍산천지) : 폭풍은 저 멀리 천지로 흩어진다.
喧豗瞬息間(훤회순식간) : 잠시동안 떠들썩한 소리가 들리더니
還掛斗與箕(환괘두여기) : 하늘에 다시금 두성 기성 걸렸다.
其七
穎水非漢水(영수비한수) : 영수는 한수가 아니면서도
亦作蒲萄綠(역작포도록) : 막 빚은 포도주 빛 푸르름을 띄었네.
恨無襄陽兒(한무양양아) : 안타깝게 양양의 아이들이 없어서
令唱銅鞮曲(영창동제곡) : 동제곡을 부르게 할 수 없네.
其八
我詩雖云拙(아시수운졸) : 평소의 나의 시는 졸렬했지만
心平聲韻和(심평성운화) : 마음이 평온하여 운율이 부드럽네.
年來煩惱盡(년래번뇌진) : 근래에 몇 년 동안 번뇌가 없었으니
古井無由波(고정무유파) : 오래된 우물이라 물결 일 턱 없었다네.
산과바다 이계도
'*** 詩 *** > 東坡居士 蘇軾 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次韻子由柳湖感物(차운자유유호감물) : 소식(蘇軾) (0) | 2022.09.14 |
---|---|
傅堯俞濟源草堂(부요유제원초당) : 소식(蘇軾) (0) | 2022.09.14 |
送劉道原歸覲南康(송유도원귀근남강) : 소식(蘇軾) (0) | 2022.09.14 |
和子由初到陳州見寄二首次韻(화자유초도진주견기이수차운) : 소식(蘇軾) (0) | 2022.09.14 |
宋叔達家聽琵琶(송숙달가청비파) : 소식(蘇軾) (0) | 2022.09.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