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 詩 ***/樂天 白居易 詩

진중음(秦中吟)之十 1. 의혼(議婚) - 백거이(白居易)

by 산산바다 2021. 2. 14.

산과바다

白居易 詩 HOME

 

 

 

            진중음(秦中吟)之十 1. 의혼(議婚) - 백거이(白居易)

            진의 수도 장안에서 읊는다.(혼인을 의논하다)

 

 

백거이는 시경(詩經)300편의 필법을 본받아 시는 반드시 육예(六藝)에 부합되어야만 가치가 있는 것이라 여겼다. 따라서 그의 풍유시는 완전히 풍아비흥(風雅比興)의 작품이다. <신악부서(新樂府序)>에는 그의 이러한 일면이 아주 잘 반영되어 있다.

 

"9252자를 50편으로 나누었다. 각 편에는 정해진 구수(句數)가 없고, 각 구에는 정해진 자수가 없으며, 내용에 중점을 두었지 문식(文飾)에 중점을 두지 않았다. 첫구에는 시의 제목을 나타내었으며, 마지막 장에서는 그 뜻을 명백히 말하였다. 이것이 바로 시경300편의 방법이다."

(凡九千二百五十二言, 斷爲五十篇. 篇無定句, 句無定字, 繫於意, 不繫於文. 首句標其目, 卒章顯其志, 詩三百之義也.)

 

백거이는 스스로 이러한 풍유시를 가장 높게 평가하였으며, <진중음><신악부>로 대표되는 172수의 풍유시를 통해서 당시의 혼란한 시대상을 철저하게 파헤쳤다. 당시에 그의 풍유시의 내용이 어떠했는가는 일일이 그의 작품을 살펴보지 않더라도 <여원구서(與元九書)>에서 말한 풍유시에 대한 각계의 반응을 통해서도 충분히 알 수 있다.

 

"나의 <하우(賀雨)>시를 듣고 여러 사람들이 떠들어대며 옳지 않다고 말하였고, <곡공감(哭孔戡)>시를 듣고는 서로 쳐다보며 몹시 불쾌하게 여겼다. <진중음>을 듣고 권세 있고 지위 높은 사람들은 서로 쳐다보며 파랗게 질렸고, <등낙유원기족하(登樂遊園寄足下)>시를 듣고 집정자들은 팔뚝을 걷어부치고 격분하였으며, <숙자각촌(宿紫閣邨)>시를 듣고 군부의 요인들은 이를 갈았다. 대체로 이와 같으나 전부 다 열거할 수는 없다. 나에게 동조하지 않는 사람들은 내가 명예를 구한다느니, 남의 단점만 욕한다느니, 남을 비방한다느니 하였고, 진실로 나에게 동조하는 사람은 우승유(牛僧孺)처럼 나에게 경계시켰다. 심지어 친척이나 처자까지도 내가 잘못이라고 하였으니, 나를 비난하지 않은 사람은 온세상에 두 세명에 불과하였다."

(凡聞僕賀雨詩, 衆口籍籍, 已謂非爲左右終言之, 凡聞僕哭孔戡詩, 衆面脈脈, 盡不悅矣, 聞秦中吟詩, 則權豪貴近者, 相目而變色矣, 聞登樂遊園寄足下詩, 則執政柄者, 扼腕矣, 聞宿紫閣邨詩, 則握軍要者, 切齒矣. 大率如次, 不可徧擧, 不相與者, 號爲沽譽, 號爲詆評, 號爲訕謗, 苟相與者, 則牛僧孺之戒焉, 乃至骨肉妻孥, 皆以我爲非也.)

 

그는 간관의 책임을 다하고 서민의 고통을 구제한다는 취지에서 풍유시를 창작하였지만, 그 결과는 과격한 내용에 반발한 구관료 계층에 의해 배척당하였으며, 이로써 그의 시의 내용은 끝내 현실로 이루어지지 못했다.

 

<진중음> 10수는 <신악부> 50수와 더불어 백거이 풍유시의 대표작이다. 형식은 모두 5언고시로 되어 있고 글자수도 비교적 많은 편이며, 내용은 당시 백성들의 어려운 생활상과 정치사회 문제를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

<진중음서(秦中吟序)>에서는

"정원, 원화 때에 내가 장안에서 보고 들은 것 중에 슬퍼할 만한 것이 있어 그 사실을 바로 노래하고 이름을 '진중음'이라 하였다.

(貞元元和之際, 予在長安聞見之間, 有足悲者, 因直歌其事, 命爲秦中吟.)"라고 하여

아주 간략하게 <진중음>의 저작 시기와 동기를 서술하고 있는데, 그 시기를 구체적으로 말하면 백거이가 교서랑(校書郞)이 되기 전인 정원 10(29) 이전에는 풍유시를 쓰지 않았고, 또 원화 10(44) 강주로 좌천된 후에도 거의 풍유시를 쓰지 않았으므로 일단은 <진중음>은 정원 16~ 원화 10년 사이에 쓰여진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백거이가 본격적으로 "문장은 시대를 위해서 지어야 하고 시가는 시사를 위해서 지어야 한다."는 시론에 입각하여 풍유시를 쓴 것은 그가 한림학사(翰林學士)로 발탁된 후의 일이었다.

따라서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그것은 그가 한림학사로 발탁된 헌종 원화 2(36) 이후부터 원화 10(44)까지로 볼 수 있다. 또 그것의 저작 동기를 "장안에서 보고 들은 것 중에 슬픈 것이 있어"라고 한 것은 그가 장안에서 관직생활을 할 때 보았던 당시 정치와 사회 문제에 분개하여 이를 점차 개선하고자 하는 마음에서 쓴 것임을 알 수 있다. 장안은 옛날 진()나라의 수도이니 "진중음"은 바로 진의 수도 장안에서 읊는다는 뜻이다.

 

1. 의혼(議婚 : 혼인을 논하다)

2. 중부(重賦 : 과중한 세금)

3. 상택(傷宅 : 호화저택으로 인한 상심)

4. 상우(傷友 : 벗으로 인한 상심)

5. 불치사(不致仕 : 퇴직하지 않는 관리들)

6. 입비(立碑 : 비석 세우기)

7. 경비(輕肥 : 가벼운 가죽옷과 살찐 말)

8. 오현(五絃 : 오현금)

9. 가무(歌舞 : 노래와 춤)

10. 매화(買花 : 꽃을 사다)

 

 

       1. 의혼(議婚) - 백거이(白居易)

       혼인을 의논하다

 

天下無正聲(천하무정성) : 세상에 바른 음악 없어

悅耳卽爲娛(열이즉위오) : 듣기만 좋으면 즐겁다 하네.

人間無正色(인간무정색) : 세상에 바른 용모 없어

悅目卽爲姝(열목즉위주) : 보기만 좋으면 예쁘다 하네.

顔色非相遠(안색비상원) : 얼굴 모양 별 차이 없지만

貧富則有殊(빈부칙유수) : 가난하고 부유함에 차이 있다네.

貧爲時所棄(빈위시소기) : 가난하면 세상 사람에게 버림받고

富爲時所趨(부위시소추) : 부유하면 세상 사람들이 따르게 된다네.

紅樓富家女(홍루부가녀) : 붉은 누각 있는 부잣집 딸

金縷繡羅襦(김루수라유) : 금실로 수놓은 옷만 입는다네.

見人不斂手(견인부렴수) : 사람을 보고도 인사도 하지 않고

嬌癡二八初(교치이팔초) : 순진한 열여섯 어린 나이인데도

母兄未開口(모형미개구) : 엄마와 오빠는 말도 꺼내지 않아

已嫁不須臾(이가부수유) : 시집가는 건 시간문제이리라

綠窗貧家女(록창빈가녀) : 녹색 창가의 가난한 집 딸

寂寞二十餘(적막이십여) : 쓸쓸히 보낸 지 이십여 년이지만

荊釵不直錢(형채부직전) : 가시나무 비녀는 값도 안 나가고

衣上無直珠(의상무직주) : 옷에는 값진 보석 하나도 없도다.

幾廻人欲聘(기회인욕빙) : 몇 번이고 폐백을 보내려 해도

臨日又蜘躕(림일우지주) : 기일이 되면 또다시 머뭇거린다네.

主人會良媒(주인회량매) : 주인은 중매장이 불러놓고

置酒滿玉壺(치주만옥호) : 옥호리병에 술을 가득 채운다네.

四座且勿飮(사좌차물음) : 사람들아 잠깐 마시기 중지하고

聽我歌兩途(청아가량도) : 나의 노래 두 가지 들어보소서.

富家女易嫁(부가녀역가) : 부잣집 딸은 시집가기 쉽고

嫁早輕其夫(가조경기부) : 일찍 시집가도 남편 무시하고

貧家女難嫁(빈가녀난가) : 가난한집 딸은 시집가기 어렵지만

嫁晩孝於姑(가만효어고) : 늦게 가도 시부모께 효도한다오.

聞君欲娶婦(문군욕취부) : 그대에 묻노니 장가들 때엔

娶婦意何如(취부의하여) : 신부를 구할 때, 어떤 신부 생각하는가.

 

 

 

 

산과바다 이계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