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 詩 ***/樂天 白居易 詩

진중음(秦中吟)之十 3. 상댁(傷宅) - 백거이(白居易)

by 산산바다 2021. 2. 14.

산과바다

호화저택

白居易 詩 HOME

 

 

 

            진중음(秦中吟)之十 3. 상댁(傷宅) - 백거이(白居易)

            진의 수도 장안에서 읊는다.(호화저택을 보고 마음 상하다)

 

 

백거이는 시경(詩經)300편의 필법을 본받아 시는 반드시 육예(六藝)에 부합되어야만 가치가 있는 것이라 여겼다. 따라서 그의 풍유시는 완전히 풍아비흥(風雅比興)의 작품이다. <신악부서(新樂府序)>에는 그의 이러한 일면이 아주 잘 반영되어 있다.

 

"9252자를 50편으로 나누었다. 각 편에는 정해진 구수(句數)가 없고, 각 구에는 정해진 자수가 없으며, 내용에 중점을 두었지 문식(文飾)에 중점을 두지 않았다. 첫구에는 시의 제목을 나타내었으며, 마지막 장에서는 그 뜻을 명백히 말하였다. 이것이 바로 시경300편의 방법이다."

(凡九千二百五十二言, 斷爲五十篇. 篇無定句, 句無定字, 繫於意, 不繫於文. 首句標其目, 卒章顯其志, 詩三百之義也.)

 

백거이는 스스로 이러한 풍유시를 가장 높게 평가하였으며, <진중음><신악부>로 대표되는 172수의 풍유시를 통해서 당시의 혼란한 시대상을 철저하게 파헤쳤다. 당시에 그의 풍유시의 내용이 어떠했는가는 일일이 그의 작품을 살펴보지 않더라도 <여원구서(與元九書)>에서 말한 풍유시에 대한 각계의 반응을 통해서도 충분히 알 수 있다.

 

"나의 <하우(賀雨)>시를 듣고 여러 사람들이 떠들어대며 옳지 않다고 말하였고, <곡공감(哭孔戡)>시를 듣고는 서로 쳐다보며 몹시 불쾌하게 여겼다. <진중음>을 듣고 권세 있고 지위 높은 사람들은 서로 쳐다보며 파랗게 질렸고, <등낙유원기족하(登樂遊園寄足下)>시를 듣고 집정자들은 팔뚝을 걷어부치고 격분하였으며, <숙자각촌(宿紫閣邨)>시를 듣고 군부의 요인들은 이를 갈았다. 대체로 이와 같으나 전부 다 열거할 수는 없다. 나에게 동조하지 않는 사람들은 내가 명예를 구한다느니, 남의 단점만 욕한다느니, 남을 비방한다느니 하였고, 진실로 나에게 동조하는 사람은 우승유(牛僧孺)처럼 나에게 경계시켰다. 심지어 친척이나 처자까지도 내가 잘못이라고 하였으니, 나를 비난하지 않은 사람은 온세상에 두 세명에 불과하였다."

(凡聞僕賀雨詩, 衆口籍籍, 已謂非爲左右終言之, 凡聞僕哭孔戡詩, 衆面脈脈, 盡不悅矣, 聞秦中吟詩, 則權豪貴近者, 相目而變色矣, 聞登樂遊園寄足下詩, 則執政柄者, 扼腕矣, 聞宿紫閣邨詩, 則握軍要者, 切齒矣. 大率如次, 不可徧擧, 不相與者, 號爲沽譽, 號爲詆評, 號爲訕謗, 苟相與者, 則牛僧孺之戒焉, 乃至骨肉妻孥, 皆以我爲非也.)

 

그는 간관의 책임을 다하고 서민의 고통을 구제한다는 취지에서 풍유시를 창작하였지만, 그 결과는 과격한 내용에 반발한 구관료 계층에 의해 배척당하였으며, 이로써 그의 시의 내용은 끝내 현실로 이루어지지 못했다.

 

<진중음> 10수는 <신악부> 50수와 더불어 백거이 풍유시의 대표작이다. 형식은 모두 5언고시로 되어 있고 글자수도 비교적 많은 편이며, 내용은 당시 백성들의 어려운 생활상과 정치사회 문제를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

<진중음서(秦中吟序)>에서는

"정원, 원화 때에 내가 장안에서 보고 들은 것 중에 슬퍼할 만한 것이 있어 그 사실을 바로 노래하고 이름을 '진중음'이라 하였다.

(貞元元和之際, 予在長安聞見之間, 有足悲者, 因直歌其事, 命爲秦中吟.)"라고 하여

아주 간략하게 <진중음>의 저작 시기와 동기를 서술하고 있는데, 그 시기를 구체적으로 말하면 백거이가 교서랑(校書郞)이 되기 전인 정원 10(29) 이전에는 풍유시를 쓰지 않았고, 또 원화 10(44) 강주로 좌천된 후에도 거의 풍유시를 쓰지 않았으므로 일단은 <진중음>은 정원 16~ 원화 10년 사이에 쓰여진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백거이가 본격적으로 "문장은 시대를 위해서 지어야 하고 시가는 시사를 위해서 지어야 한다."는 시론에 입각하여 풍유시를 쓴 것은 그가 한림학사(翰林學士)로 발탁된 후의 일이었다.

따라서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그것은 그가 한림학사로 발탁된 헌종 원화 2(36) 이후부터 원화 10(44)까지로 볼 수 있다. 또 그것의 저작 동기를 "장안에서 보고 들은 것 중에 슬픈 것이 있어"라고 한 것은 그가 장안에서 관직생활을 할 때 보았던 당시 정치와 사회 문제에 분개하여 이를 점차 개선하고자 하는 마음에서 쓴 것임을 알 수 있다. 장안은 옛날 진()나라의 수도이니 "진중음"은 바로 진의 수도 장안에서 읊는다는 뜻이다.

 

1. 의혼(議婚 : 혼인을 논하다)

2. 중부(重賦 : 과중한 세금)

3. 상택(傷宅 : 호화저택으로 인한 상심)

4. 상우(傷友 : 벗으로 인한 상심)

5. 불치사(不致仕 : 퇴직하지 않는 관리들)

6. 입비(立碑 : 비석 세우기)

7. 경비(輕肥 : 가벼운 가죽옷과 살찐 말)

8. 오현(五絃 : 오현금)

9. 가무(歌舞 : 노래와 춤)

10. 매화(買花 : 꽃을 사다)

 

 

         3. 상댁(傷宅) - 백거이(白居易)

         저택을 보고 마음 상하다

 

誰家起甲第(수가기갑제) : 누구 집이 저렇게도 좋은가

朱門大道邊(주문대도변) : 붉고 큰 대문은 대로변에 있다.

豊屋中櫛比(풍옥중즐비) : 우람한 지붕은 안으로 즐비하고

高牆外廻環(고장외회환) : 높은 담장은 밖으로 둘러싸있구나.

纍纍六七堂(류류육칠당) : 겹겹이 솟아있는 예닐곱 채 집들

棟宇相連延(동우상련연) : 마룻대와 처마는 줄줄이 이어있다.

一堂費百萬(일당비백만) : 집 한 채에 백만금이나 되고

鬱鬱起靑煙(울울기청연) : 가득히 푸른 연기 피어오른다.

洞房溫且淸(동방온차청) : 안방은 따뜻하고도 시원하고

寒暑不能干(한서부능간) : 추위나 더위가 침범하지 못한다.

高堂虛且逈(고당허차형) : 높은 집은 넓고도 앞이 탁 트여

坐臥見南山(좌와견남산) : 앉아도 누워도 남산이 다 보인다.

繞廊紫藤架(요랑자등가) : 행랑을 두른 자주색 등나무 시렁 있고

夾砌紅藥欄(협체홍약란) : 섬돌을 끼고 있는 작약 울타리도 보인다.

攀枝摘櫻桃(반지적앵도) : 가지를 휘어잡고 앵두를 따고

帶花移牡丹(대화이모단) : 꽃 있는채로 이식된 모란꽃도 보인다.

主人此中坐(주인차중좌) : 주인은 이 안에 앉아 있는데

十載爲大官(십재위대관) : 십년동안 대관고작을 지냈다네.

廚有臭敗肉(주유취패육) : 부엌에는 썩어 냄새 나는 고기가 있고

庫有貫朽錢(고유관후전) : 창고에는 녹슨 돈이 가득하다네.

誰能將我語(수능장아어) : 누가 자기 말로 말할 수 있겠는가

問爾骨肉間(문이골육간) : 묻노니, 너희 가까운 친척 중에서도

豈無窮賤者(기무궁천자) : 어찌 곤궁한 자들이 없겠으며

忍不救饑寒(인부구기한) : 가난과 추위를 어찌 구제해주지 않겠는가.

如何奉一身(여하봉일신) : 어찌하여 네 한 몸만 봉양하고

直欲保千年(직욕보천년) : 천년토록 누리려고 하는가.

不見馬家宅(부견마가택) : 그대는 보지 못했는가, 마씨 일가가

今作奉誠園(금작봉성원) : 지금은 봉성원으로 되어 있는 것을.

 

 

 

 

산과바다 이계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