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과바다
제6편 告子 下(고자 하)
14. 所就三所去三(소취삼소거삼)
陳子曰古之君子何如則仕(진자왈고지군자하여칙사)니잇고 : 진자가 “옛날의 군자는 어떻게 해야 벼슬을 삽니까?”하고 말하자
孟子曰所就三(맹자왈소취삼)이요 : 맹자가 말하기를 “벼슬하러 나가는 경우가 세 가지 있고
所去三(소거삼)이니라 : 벼슬에서 물러나는 경우가 세 가지 있소.
迎之致敬以有禮(영지치경이유예)하며 : 자기를 맞이하는데 경의를 표하는 것이 예모가 있고
言將行其言也(언장행기언야)면 : 자기의 말을 받아들여 행하겠다고 말하면
則就之(칙취지)하고 : 벼슬하려 나가고
禮貌未衰(예모미쇠)나 : 예모는 쇠하지 않았으나
言弗行也(언불행야)면 : 말이 행해지지 않으면
則去之(칙거지)니라 : 벼슬에서 물러나오.
其次(기차)는 : 그 다음은
雖未行其言也(수미행기언야)나 : 비록 자기의 말을 받아서 행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迎之致敬以有禮(영지치경이유예)면 : 자기를 맞이하는데 경의를 표하는 것이 예모가 있으면
則就之(칙취지)하고 : 벼슬하러 나가고
禮貌衰(예모쇠)면 : 예가 쇠하면
則去之(칙거지)니라 : 벼슬에서 물러나오.
其下(기하)는 : 그 밑으로는
朝不食(조불식)하고 : 조반도 먹지 못하고
夕不食(석불식)하여 : 저녁도 못해서 굶주려
飢餓不能出門戶(기아불능출문호)어든 : 문 밖을 나서지 못하는 것을
君聞之(군문지)하고 : 임금이 듣고서
曰吾大者(왈오대자)론 : “나는 크게 잡는데도
不能行其道(불능행기도)하고 : 그의 도는 행하지 못하고
又不能從其言也(우불능종기언야)하여 : 작게 잡는데도 그의 말은 따르지 못한다.
使飢餓於我土地(사기아어아토지)를 : 내 땅에서 굶주리게 한다는 것을
吾恥之(오치지) : 라하고 : 나는 부끄럽게 생각한다.”고 말하고
周之(주지)인댄 : 자기를 구제해 준다면
亦可受也(역가수야)어니와 : 역시 그것을 받아도 좋소.
免死而已矣(면사이이의)니라 : 죽음을 면하는 것일 따름이요.”
산과바다 이계도
'四書 > 孟子' 카테고리의 다른 글
孟子(맹자) 16. 敎亦多術(교역다술) (0) | 2016.02.25 |
---|---|
孟子(맹자) 15. 天將降大任於是人(천장강대임어시인) (0) | 2016.02.25 |
孟子(맹자) 13. 魯欲使樂正子爲政(노욕사악정자위정) (0) | 2016.02.25 |
孟子(맹자) 12. 君子不亮(군자불량) (0) | 2016.02.25 |
孟子(맹자) 11. 丹之治水(단지치수) (0) | 2016.02.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