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과바다
제6편 告子 下(고자 하)
13. 魯欲使樂正子爲政(노욕사악정자위정)
魯欲使樂正子(노욕사악정자)로 : 노나라에서 악정자를 시켜
爲政(위정)이러니 : 집정하게 하려고 하였다.
孟子曰吾聞之(맹자왈오문지)하고 : 맹자가 “나는 그 소식을 듣고
喜而不寐(희이불매)호라 : 기뻐서 잠이 안온다.”고 말씀하시자
公孫丑曰樂正子(공손축왈악정자)는 : 공손추가 “악정자는
强乎(강호)잇가 : 굳셉니까?”하고 말했다.
曰否(왈부)라 : “그렇지 않다.”
有知慮乎(유지려호)잇가 : “지려가 있습니까?”
曰否(왈부)라 : “그렇지 않다.”
多聞識乎(다문식호)잇가 : “듣고 아는게 많습니까?”
曰否(왈부)라 : “그렇지 않다.”
然則奚爲喜而不寐(연칙해위희이불매)시니잇고 : “그렇다면 무엇 때문에 기뻐서 잠이 안 오십니까?”
曰其爲人也好善(왈기위인야호선)이니라 : “그의 사람됨이 선을 좋아한다.”
好善(호선)이 : “선을 좋아하는 것으로
足乎(족호)잇가 : 충분합니까?”
曰好善(왈호선)이 : “선을 좋아하면
優於天下(우어천하)어든 : 온 천하에 뛰어나게 되는데
而況魯國乎(이황노국호)아 : 하물며 노나라에서랴
夫苟好善(부구호선)이면 : 진실로 선을 좋아하면
則四海之內(칙사해지내)가 : 사해 안의 사람들이
皆將輕千里而來(개장경천리이래)하여 : 천리를 대수롭게 여기지 않고 찾아와
告之以善(고지이선)하고 : 선을 일러 주게 될 것이다.
夫苟不好善(부구불호선)이면 : 진실로 선을 좋아하지 않으면
則人將曰訑訑(칙인장왈이이)를 : 사람들이 ”아는 체하는 꼴이
予旣已知之矣(여기이지지의)로라하리니 : 나는 벌써 알았다.“고 말할 것이다.
訑訑之聲音顔色(이이지성음안색)이 : 아는 체하는 목소리와 안색은
距人於千里之外(거인어천리지외)하나니 : 사람들을 천리 밖으로 물러나게 만든다.
士止於千里之外(사지어천리지외)하면 : 선비들이 천리 밖에 떨어져 있으면
則讒諂面諛之人(칙참첨면유지인)이 : 참소 아첨하고 맞대고 아첨하는 사람들이
至矣(지의)리니 : 오게 된다.
與讒諂面諛之人居(여참첨면유지인거)면 : 참소하고 아첨하고 맞대고 야유하는 사람들과 같이 있다면
國欲治(국욕치)인들 : 나라를 다스리려 하여도
可得乎(가득호)아 : 다스릴 수 있겠느냐?”
산과바다 이계도
'四書 > 孟子' 카테고리의 다른 글
孟子(맹자) 15. 天將降大任於是人(천장강대임어시인) (0) | 2016.02.25 |
---|---|
孟子(맹자) 14. 所就三所去三(소취삼소거삼) (0) | 2016.02.25 |
孟子(맹자) 12. 君子不亮(군자불량) (0) | 2016.02.25 |
孟子(맹자) 11. 丹之治水(단지치수) (0) | 2016.02.25 |
孟子(맹자) 10. 大貉小貉(대맥소맥) (0) | 2016.02.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