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과바다

제6편 告子 下(고자 하)
10. 大貉小貉(대맥소맥)
白圭曰吾欲二十而取一(백규왈오욕이십이취일)하노니 : 백규가 “나는 20분의 1의 세를 받고 싶은데
何如(하여)하니잇고 : 어떻겠습니까?”하고 말하자
孟子曰子之道(맹자왈자지도)는 : 맹자는 “당신의 방법은
貉道也(학도야)로다 : 학의 방법이요.
萬室之國(만실지국)에 : 만호가 사는 나라에서
一人陶(일인도)면 : 한 사람이 도기를 만든다면
則可乎(칙가호)아 : 괜찮겠소?”하고 말씀하셨다.
曰不可(왈불가)하니 : “안됩니다.
器不足用也(기불족용야)니이다 : 기물이 수요에 응하기에 부족합니다.”
曰夫貉(왈부학)은 : “학 땅에서는
五穀(오곡)이 : 오곡이
不生(불생)하고 : 나지 않고
惟黍生之(유서생지)하나니 : 단지 수수만이 생산되오.
無城郭宮室宗廟祭祀之禮(무성곽궁실종묘제사지례)하며 : 성곽과 궁실 그리고 종묘에서 제사 지내는 예법이 없고
無諸侯弊帛饔飱(무제후폐백옹손)하며 : 제후의 폐백과 빈객의 향연도 없고
無百官有司(무백관유사)라 : 백관과 유사도 없기 때문에
故(고)로 : 그르므로
二十(이십)에 : 20분의
取一而足也(취일이족야)니라 : 1을 받아도 충분하것이요.
今(금)에 : 지금
居中國(거중국)하여 : 중국에 살면서
居人倫(거인륜)하며 : 인륜을 버리고
無君子(무군자)면 : 군자를 무시하게 되는데
如之何其可也(여지하기가야)리오 : 어떻게 괜찮겠소.
陶以寡(도이과)라도 : 도기 굽는 것이 적은 것으로도
且不可以爲國(차불가이위국)이온 : 나라를 다스릴 수 없는데
況無君子乎(황무군자호)아 : 하물며 군자를 무시 함에서랴
欲輕之於堯舜之道者(욕경지어요순지도자)는 : 요·순이 한 방법보다 경감시키고자 하는 자는
大貉(대맥)에 : 큰 학족이라
小貉也(소맥야)요 : 작은 학족이요.
欲重之於堯舜之道者(욕중지어요순지도자)는 : 요·순의 방법보다 과중하게 하려고 하는 자는
大桀(대걸)에 : 큰 걸이고
小桀也(소걸야)니라 : 작은 걸이니라.”
산과바다 이계도
'四書 > 孟子' 카테고리의 다른 글
孟子(맹자) 12. 君子不亮(군자불량) (0) | 2016.02.25 |
---|---|
孟子(맹자) 11. 丹之治水(단지치수) (0) | 2016.02.25 |
孟子(맹자) 9. 今之所謂良臣(금지소위양신) (0) | 2016.02.25 |
孟子(맹자) 8. 魯欲使愼子爲將軍(노욕사신자위장군) (0) | 2016.02.25 |
孟子(맹자) 7. 逢君之惡(봉군지악) (0) | 2016.02.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