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과바다
大學(대학) 傳文(전문: 傳10章)
傳文8 修身齊家(수신제가)
所謂齊其家在修其身者(소위제기가재수기신자)는 : 이른바, “그 집안을 가지런히 함이 그 몸을 닦는 데 있다.”고 하는 것은 人之其所親愛而辟焉(인지기소친애이벽언)하며 : 사람이란 그가 친하고 사랑하는 바에 편벽되며,
之其所賤惡而辟焉(지기소천악이벽언)하며 : 그가 천하게 여기고 미워하는 바에 편벽되며,
之其所畏敬而辟焉(지기소외경이벽언)하며 : 그가 두려워하고 공경하는 바에 편벽되며,
之其所哀矜而辟焉(지기소애긍이벽언)하며 : 그가 애처롭고 불쌍히 여기는 바에 편벽되며,
之其所敖惰而辟焉(지기소오타이벽언)하나니 : 그가 오만하게 대하고 게을리 하는 바에 편벽된다는 것이다.
故(고)로 : 그러므로
好而知其惡(호이지기악)하며 : 좋아하되 그 악함을 알며,
惡而知其美者天下(악이지기미자천하)에 : 미워하되 그 아름다움을 아는 사람은 천하에
鮮矣(선의)니라 : 드문 것이다.
故(고)로 : 그러므로
諺有之(언유지)하니 : 속담에 이런 말이 있다.
曰人莫知其子之惡(왈인막지기자지악)하며 : “사람은 그 자식의 악함을 알지 못하며,
莫知其苗之碩(막지기묘지석)이라하니라 : 그 곡식 싹의 큼을 알지 못한다.”
此謂身不修(차위신불수)면 : 이것은 몸을 닦지 않으면
不可以齊其家(불가이제기가)니라 : 그 집안을 가지런히 할 수 없음을 말하는 것이다.
* 修身齊家 治國平天下
유교에서 강조하는 올바른 선비의 길다. 먼저 자기 몸을 바르게 가다듬은 후 가정을 돌보고, 그 후 나라를 다스리며, 그런 다음 천하를 경영해야 한다는 의미로 선비가 세상에서 해야 할 일의 순서를 알려주는 표현이라고 하겠다.
‘사물의 본질을 꿰뚫은 후에 알게 된다. 알게 된 후에 뜻이 성실해진다. 성실해진 후에 마음이 바르게 된다. 마음이 바르게 된 후에 몸이 닦인다. 몸이 닦인 후에 집안이 바르게 된다. 집안이 바르게 된 후에 나라가 다스려진다. 나라가 다스려진 후에 천하가 태평해진다. 그러므로 천자로부터 일개 서민에 이르기까지 모두 몸을 닦는 것을 근본으로 삼는 것이다.’
산과바다 이계도
'四書 > 大學' 카테고리의 다른 글
大學(대학) 傳文10 治國平天下(치국평천하) (0) | 2016.02.20 |
---|---|
大學(대학) 傳文9 齊家治國(제가치국) (0) | 2016.02.20 |
大學(대학) 傳文7 正心修身(정심수신) (0) | 2016.02.20 |
大學(대학) 傳文6 誠意(성의) (0) | 2016.02.20 |
大學(대학) 傳文5 格物致知(격물치지) (0) | 2016.02.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