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 時調詩 ***/歌集

고시조-황희, 이황, 황진이, 남구만, 조식

by 산산바다 2007. 11. 23.

산과바다

 

            3대가집 중에서

 

 

대쵸볼 불근 골에                 - 황 희 -<청구영언, 해동가요>
 
 [현대어 풀이]     주제 : 늦가을 농촌 생활의 풍요로운 정취
대추의 볼이 빨갛게 익은 골짜기에 밤은 어찌하여 떨어지며
벼를 베어 낸 그루터기에 논게는 어찌하여 내려오는가 ?
술이 익자 (술을 거르는) 체를 파는 장수가 지나가니, 체를 사서 술을 걸러 아니 먹고 어찌하리.

 

도산십이곡(陶山十二曲)                             - 이 황 -



















 [현대어 풀이]     주제  前(1∼ 6) : 언지(言志).  자연에 대한 감흥
                       後(7∼12) : 언학(言學).  학문 수양의 자세
[1] 이런들 어떻고 저런들 어떻겠는가?  /  시골에만 묻혀 살아가는 어리석은 사람이 이렇게 산다고 해서 어떠하리오.  /  하물며 자연을 끔찍히도 사랑하는 이 병을 고쳐서 무엇하겠는가?
[2] 안개와 노을로 집을 삼고 풍월로 벗을 삼아  /  태평성대에 병으로 늙어 가네  /  이러한 가운데 바라는 일은 허물이나 없고자 한다.
[3] 순풍(순박하고 좋은 풍속)이 죽었다 하는 말이 진실로 거짓말이로구나  /  사람의 성품이 어질다 하는 말이 진실로 옳은 말이로구나  /  천하에 허다한 영재를 속여서 말씀할까.
[4] 그윽한 향기의 난초가 골짜기에 피어 있으니 자연히 좋구나./ 백운이 산에 걸려 있으니 자연히
   보기가 좋구나.  /  이러한 가운데에서 저 한 아름다운 분(임금)을 더욱 잊지 못하는구나.
[5] 산 앞에 대(臺)가 있고 대 아래에 물이 흐르는구나. / 떼를 지어서 갈매기들은 오락가락 하는데 /  어찌하여 새하얀 망아지는 멀리 마음을 두는가.
[6] 봄바람에 꽃이 산을 뒤덮고 가을 밤에 달은 누각에 가득차는구나.  /  네계절의 아름다운 흥이
   사람과 마찬가지라  /  하물며 천지조화의 오묘함이야 어느 끝이 있을까.
[7] 천운대를 돌아서 완락재가 맑고 깨끗한데 / 많은 책을 읽는 인생으로 즐거운 일이 끝이 없구나. /  이 중에 오고가는 풍류를 말해 무엇할까.
[8] 벼락이 산을 깨쳐도 귀먹은 자는 못 듣나니  /  태양이 하늘 한가운데 떠 있어도 장님은 보지 못하나니 / 우리는 눈도 밝고 귀도 밝은 남자로서 귀먹은자와 장님같지는 말아라(학문을 닦아 도를 깨우치며 살자).
[9] 옛 훌륭한 어른이 지금의 나를 못 보고 나도 고인을 뵙지 못하네  /  고인을 뵙지 못해도 그분 들이 행하시던 길이 앞에 놓여 있으니, / 그 가던 길(진리의 길)이 앞에 있으니 나 또한 아니 가고 어떻게 하겠는가?
[10] 그 당시에 학문에 뜻을 두고 실천하던 길을 몇 해나 버려두고 / 어디에 가서 다니다가 이제야 돌아왔는가?  /  이제라도 돌아왔으니 다른 곳에 마음을 두지 않으리라.
[11] 청산은 어찌하여 항상 푸르며, / 흐르는 물은 어찌하여 밤낮으로 그칠 줄을 모르는가  /  우리도 그치지 말아서 오래도록 높고 푸르게 살아가리라.
[12] 어리석은 사람도 알며 실천하는데, 그것이 쉬운 일이 아니겠는가?  /  (그러나)성인도 못 다
   행하니, 그것이 또한 어려운 일이 아니겠는가? /  쉽거나 어렵거나간에 (학문 수양의 생활 속에서)늙어가는 줄을 모르노라.
 
*초야우생 → 시골에 묻혀 사는 어리석은 사람(겸손의 표현)
*천석고황 → 세속에 물들지 않고 자연에 묻혀 지내고 싶은 마음의 고질병
*순풍 → 예부터 내려오는 순박한 풍속.  특히 뒷사람들이 본받아야 할 도의나 윤리를 가리킴
*교교백구 → 현인이나 성자가 타는 새하얀 망아지
*머리 마음하는고? → 멀리 마음을 두는가?  멀리 가려고만 하는가?  여기를 버리고 딴 데 뜻을 지니는 것을                  경계하는 의미를 지님.
*어약연비 → '고기는 뛰고 솔개는 난다'는 말로 <시경>에 나오는 말.  천지 조화의 묘함을 이름.
*운영천광 → 구름의 그림자와 밝은 햇빛.  만물의 천성을 얻어 조화를 이룬 상태
*소쇄한데 → 기운이 맑고 깨끗함.
*만권생애 → 만 권이나 되는 많은 서적을 쌓아 두고 그것을 읽고 연구하는 데 한평생을 바치는 일
*이목총명 → 눈도 밝고 귀도 밝음.  여기서는 학문을 닦아 도를 깨달은 상태를 의미함.
 [창작 배경]
 퇴계 이황이 관직에서 물러나, 안동에 도산서원을 건립하고 후진을 교육하여 양성시키고 있을 때, 1565년(명종 20년)에 지은 작품이다.  
 [이해와 감상]
12수로 이루어진 연시조로 이 작품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뉘어진다.  때를 만나고 사물에 접하여 일어나는 감흥을 읊은 전 6수는 "언지(言志)"이고, 학문과 수덕(修德)의자세를 노래한 후 6수는 "언학(言學)"이다.  전후 각 6수씩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도산 전후 육곡' 또는 '도산 육곡'이라고도 불리는데, 지은이의 친필로 된 목판본이 도산서원에 전해진다.
[1] : 자연에 대한 깊은 애정(천석고황)
     아름다운 자연에 순응하면서 순리대로 살아가려는 마음을 노래함
[2] : 자연에의 동화
     아름다운 자연을 벗하여 살며 태평성대 속에 병으로 늙어 가는 작자의 모습, 이는 마치 한 폭의 동양화 속의 신선과 같은 모습으로 연상된다. 사실 이 병(病)은 이 작품이 작자의 만년(晩年)에 이루어진 것이므로 노병(老病)으로 풀이할 수도 있겠으나 초장에서의 천석 고황(泉石膏 )의 상태나 앞 시조로 미루어 보아 자연을 사랑하지 않고는 견디지 못하는 병으로 해석을 하고 보면, 이 작품의 내용과 분위기가 더더욱 운치가 있을 것이다.
[3] : 후덕하고 순박한 풍습 강조
     순자의 성악설을 반대하고 맹자의 성선설을 지지하는 성리학적 입장이 나타나 있다. 또한 세상의 많은 영재들에게 성선설의 옳음을 말하며, 순박하고 후덕한 풍습을 강조하고 있다.
[4] : 임금을 그리워하는 마음(연군지정)
     벼슬 자리를 떠나 자연에 흠뻑 빠져 지내면서도 임금을 잊지 못해 그리워하는 정을 노래함. 이 작품에 등장하는 난초와 흰 구름은 인간의 영욕 성쇠(榮辱盛衰)로 점철이 된 속세와는 무관한 것들로 탈속(脫俗)한 이미지를 드러내고 있는 비유어들이다
[5] : 자연을 멀리하는 현실 개탄
     산 앞에는 낚시터가 있고 대 아래에는 맑은 물이 있으며 여기에 또한 갈매기들까지 내 벗이 되어 오락가락하는 이 좋은 곳을 놓아 두고 왜 먼지 낀 속세만을 그리워하고 갈망하는가 하고 세속인들을 나무라고 있다. '교교 백구(皎皎白駒)'는 본래 '현자(賢者)가 타는 말'이지만 여기서는 현자의 뜻으로 새기는 것이 좋을 듯하다. 결국 종장에서는 글이나 좀 읽고 수양을 쌓았다는 자들이 입신 양명에만 눈이 어두워 아름다운 자연을 등지는 안타까운 현실을 개탄하고 있다.
[6] : 대자연의 웅대함, 오묘함 예찬
     초장에서 꽃피는 봄, 달뜨는 저녁의 경치를, 그리고 종장에서는 물 속의 고기떼와 하늘의 소리개, 구름이 흐르고 해가 비치는 대자연의 모습을 그려서 한없이 아름답고 끝없이 흥겨운 대자연의 조화를 무척 로맨틱하게 얘기하고 있다. 한마디로 대자연의 웅대함에 완전히 도취된 작자의 모습을 보이고 있는 작품이라 하겠다.
[7] : 독서하는 즐거움
     일생을 학문의 연구에만 전념한 석학(碩學)인 작자가 독서 면학(勉學)의 즐거움과 그 여가에 산책하는 여유 있는 생활을 그린 작품이다.
[8] : 진리 터득의 중요성
      여기서 '우뢰'나 '해'는 '진리', 곧 도(道)를 지칭하고 '귀머거리'와 '소경'은 '진리'를 터득하지 못한 자, 곧 '속세의 일에만 연연하여 인간의 참된 도리를 망각한 자'를 나타내고 있다. 그래서 진리를 깨닫지 못하는 자가 되어서는 안 된다는 걸 경계하며 반드시 '진리의 길'을 걸어야하는 인간의 참된 도리를 밝히고 있다.
[9] : 옛 성현의 도리를 본받고자 함
     옛 성현들의 인륜지도(人倫之道)가 면면히 이어져 내려오고 있으니, 우리도 그 길을 실천하며 살아야 한다는 것을 대구법과 연쇄법을 통해 나타내고 있다.
[10] : 학문 수양에 대한 새로운 다짐
      퇴계가 23세 때 등과하여 치사 귀향(致仕歸鄕)한 것은 69세 때였다. 젊을 때 학문에 뜻을 두었다가 수양의 정도(正道)를 버리고 벼슬을 지낸 자신을 후회하면서, 이제 깨달음을 가졌으니 늦지 않게 학문 수양에 힘쓰리라는 다짐을 하고 있다.
[11] : 학문 정진에의 의지
     청산과 유수라는 자연의 영원 불변성을 소재로 하여, 그러한 자연을 닮아 변치 않는 지조와 인품으로 살아가겠다는 다짐과 아울러 교훈적인 의미를 전하고 있다. 정신적인 학문 수양을 꾸준히 그침없이 나아가 한결같은 마음으로 '만고상청'하는 우리의 삶을 이루어 보자는 내용이다.
[12] : 학문에의 영원한 정진
     학문에 뜻을 둔다는 것은 어리석은 사람도 쉽게 알며 행하려고 하지만, 막상 그 실천의 과정에서는 성인이라도 끝없는 학문의 길을 못 다 이룬다는 내용이다. 그리고 학문 수양의 길이 쉽든 어렵든 간에 실천해 나가고 있는 중에는, 몰입하고 있는 자신이 세월이 흘러 늙어가는 것 또한 모를 정도라고 하면서 영원한 학문 수양의 길을 강조하고 있다.
 [정 리]
▷성격 : 연시조(12수), 교훈가
▷구성 및 주제
     前(1 ∼ 6) : 언지(言志).  자연에 대한 감흥
     後(7∼12) : 언학(言學).  학문 수양의 자세
▷주제 :
 [참고]
※ 도산십이곡 발(跋)
[ 우리 동방의 가곡(歌曲)이 무릇 음란한 노래가 많아서 이야기할 만하지도 못하다. <한림별곡>같은 것들은 문인의 입에서 나왔지만 으스대며 마음대로 하고, 게다가 외람되고 버릇없이 하니 더욱 군자가 마땅히 높일 바가 아니다. 오직 근세의 이 별(李鼈)의 <육가(六歌)>가 세상에 널리 전해지고 있는 바이라 오히려 그것이 이것보다 나은 바 되나, 또한 안타깝게도 그것에 세상을 놀려 대며 삼가지 아니하는 뜻이 있고, 따사롭고 부드러우며 도탑고 두터운 탐스러움이 적으니라. (……) 그러므로 일찍이 대략 이 별의 <육가>를 본떠서 <도산 육곡> 둘을 지으니 하나는 언지(言志)이고 하나는 언학(言學)이다. 아이들로 하여금 아침 저녁으로 익혀서 부르게 하고, 궤석에 비기어 듣는다. 또한 아이들로 하여금 스스로 노래부르고 스스로 춤추며 뛰게 해서 비루한 마음을 거의 다 씻어 버리고, 느낌이 일어나 마음이 녹아 서로 통하게 한다. 노래부르는 사람이나 듣는 사람이 서로 유익함이 없을 수 없다. ]

 

 

동짓달 기나긴 밤을                           - 황진이  -<청구영언>



 
 [현대어 풀이]     주제 : 정든 임을 그리워하는 애틋한 정
동짓달의 기나긴 밤(기다림의 시간)의 한가운데를 둘로 나누어서
따뜻한 이불(만남의 시간) 아래에 서리서리 간직해 두었다가
정 둔 임이 오시는 날 밤이면 굽이굽이 펴서 더디게 밤을 새리라.

 

 

동창이 발갓느냐          - 남구만 -<청구영언, 해동가요, 가곡원류>
동창(東窓)이 발갓느냐 노고지리 우지진다.
쇼 칠 아해난 여태 아니 니러나냐
재 너머 사래 긴 밧츨 언제 갈려 하나니.
 [현대어 풀이]     주제 : 근면한 농경 생활
동쪽의 창이 밝아 왔느냐 종달새가 높이 떠 울며 지저귀는구나.
소를 먹이는 아이는 아직도 일어나지 않았느냐 ?
고개 너머 긴 밭이랑을 언제 다 갈려고 늦잠을 자고 있는 것이냐 ?

 

 

 두류산 양단수를                  - 조 식 -<청구영언, 해동가요>
 
 [현대어 풀이]     주제 : 두류산 양단수에 대한 감탄 및 예찬(이상향 추구)
지리산의 양단수가 아름답다는 말을 옛날에 듣고 이제 와서 보니
복숭아꽃이 뜬 맑은 물에 산 그림자까지도 잠겨 있구나
아이야, 무릉도원이 어디에 있느냐? 나는 이곳이 무릉도원인가 하노라.

출처 http://www.woorimal.net/hangul/gosijo-menu.htm

 

  

산과바다 이계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