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색229 서양벌노랑이 Bird’s foot trefoil 산과바다 서양벌노랑이 Bird’s foot trefoil 2024. 6. 15. 담음 * 벌노랑이, 서양벌노랑이, 들벌노랑이의 구분 꽃줄기 끝 꽃의 수잎에벌노랑이2~3(4)개털이 없다서양벌노랑이3~7개털이 갈래조각에 많다들벌노랑이5~15개부드러운 털 잎 뒷면 백분색 서양벌노랑이 Lotus corniculatus L.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 >벌노랑이속(Lotus) 국내에서는 1994년 8월 2일 목포의 삼학도 매립지에서 들벌노랑이와 혼생되어 넓은 지역에 분포되었음을 확인하였으며, 그 후 전북 고창, 충남 서산 등지의 바닷가에서도 발견하였다.줄기는 기부에서 많은 가지를 치며, 길이 30cm 정도고 중공(中空)이 아니며 수질이 차 있다. 뿌리는 직근성이다.잎은 3소엽으로 .. 2024. 6. 15. 뱀딸기 False strawberry 산과바다 뱀딸기 False strawberry 2024. 6. 10. 담음 * 빨갛게 익은 뱀딸기가 먹음직스럽군요. 먹어보니 맛이 없다. * 뱀딸기는 황색꽃이 잎겨드랑이(葉腋)에 1개씩 나며, 긴 꽃자루(花梗)가 있다. 꽃이 핀 다음 화상이 부풀어 오른다. * 뱀딸기와 민뱀딸기의 비교잎의 털 유무개화기열매 크기뱀딸기백색털 밀생4~6월1cm 정도민뱀딸기표면엔 털이 거의 없음5~6월1.5~2cm 정도로 뱀딸기보다 크다. 열매 표면에 윤기가 있다. 뱀딸기 Duchesnea chrysantha (Zoll. & Moritzi) Miq.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장미목 >장미과 >뱀딸기속(Duchesnea) 전국의 풀밭 또는 숲 가장자리에 흔하게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여러해살이로 .. 2024. 6. 10. 낮달맞이꽃 Mexican evening primrose 산과바다 낮달맞이꽃 Mexican evening primrose 2024. 5. 31. 담음 * 정원에 화초로 심는 분홍달맞이꽃과 황금달맞이꽃은 낮에 꽃이 피어 낮달맞이꽃이라고 불린다. * 꽃잎에 실핏줄 같은 줄무늬가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낮달맞이꽃 Oenothera speciosa Nutt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도금양목 >바늘꽃과 >달맞이꽃속(Oenothera) 낮달맞이꽃은 바늘꽃과의 두해살이식물로 남아메리카가 원산이며 귀화식물로 길가나 물가에 많이 자란다. 달맞이꽃이라는 이름은 꽃이 밤에 달을 맞이하며 피는 습성에서 붙여진 것이다. 이제는 낮에 피는 낮달맞이꽃도 많이 심는데 달맞이꽃 보다 꽃이 크다. 높이 50∼90cm로 곧추 자라며 잎은 어긋나고 넓은 .. 2024. 5. 31. 떡쑥 Cudweed 산과바다 떡쑥 Cudweed 2024. 5. 29. 담음 괴쑥, 솜쑥, 흰떡쑥이라고도 한다. 떡쑥 Gnaphalium affine D. Don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초롱꽃목 >국화과 >떡쑥속(Pseudognaphalium) 괴쑥, 솜쑥, 흰떡쑥이라고도 한다. 들과 밭, 길가, 빈터에서 흔히 자란다. 줄기는 높이 15~40cm이고 전체가 백색 털로 덮여 있어 흰빛이 돌며 곧게 서고 땅 가까이에서 많은 가지가 갈라져 포기를 이룬다.잎은 근생엽은 꽃이 필 때 쓰러지며 줄기잎은 어긋나기하고 주걱모양 또는 거꿀피침 모양이며 끝이 둥글거나 뾰족하고 길이 2~6cm, 나비 4~12mm로서 밑부분이 좁아져 원줄기로 흐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꽃은 5~7월에 피고 원줄기 끝의 .. 2024. 5. 29. 돌나물 Stringy stonecrop 산과바다 돌나물 Stringy stonecrop 2024. 5. 18. 담음 * 옅은 녹색의 꽃받침과 꽃받침조각(황색꽃)이 뾰족하고 수술 끝의 꽃밥이 검게 보임이 특이하군요. * 돌나물속의 각종(돌나물, 기린초, 바위채송화, 땅채송화 등)은 꽃이 같아 보이는데 잎이 다르군요. 돌나물 Sedum sarmentosum Bunge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장미목 >돌나물과 >돌나물속(Sedum) 원산지 한국이며 전국 각지의 산에서 자라는 다년생 초본으로 돈나물 이라고도 한다. 생육환경은 집 주변의 돌이나 양지바른 곳에서 자라고 키는 약 15㎝이다.잎은 길이는 1.5~2㎝, 폭은 0.3~0.6㎝이며 보통 3장씩 돌아가며 올라가고, 난형이다.꽃은 5~6월에 황색으로 피며 지.. 2024. 5. 19. 큰금계국 Lance-leaved Tickseed 산과바다 큰금계국 Lance-leaved Tickseed 2024. 5. 15. 담음 * 꽃이 피고 지고 5월부터 8월까지 오랜 기간 꽃을 볼 수 있더군요. * 금계국은 혀꽃의 밑부분에 자갈색 무늬가 있는데 큰금계국은 금계국에 비해 머리모양꽃차례의 지름이 1cm 정도 크고(4~7cm) 소엽이 피침형 또는 장타원상 난형이고 황색꽃잎 하부에 자갈색 무늬가 없음이 다르군요. * 같은 속의 기생초도 금계국처럼 혀꽃의 밑부분에 자갈색 무늬가 있군요. 큰금계국 Coreopsis lanceolata L.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초롱꽃목 >국화과 >기생초속(Coreopsis) 북아메리카 원산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높이 30~100cm로 밑에서 모여나고 거센 털로 덮여.. 2024. 5. 15. 메리골드 Marigold 산과바다 메리골드 Marigold 2024. 5. 9. 담음 * 천수국속(Tagetes)의 총칭으로 메리골드(Marigold)라 하는 것 같다. * 이 품종은 프렌치메리골드(만수국)인 것으로 보인다. 메리골드 Calendula officinalis L.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국화목 >국화과 >천수국속(Tagetes) 양지바른 풀밭에 자생하며 뉴멕시코에서 북미의 일부 및 아르헨티나가 원산지이다.꽃은 6월~10월에 개화한다. 개화기간은 봄부터 가을(서리내리기 전)까지이며, 초장은 15~90cm까지 다양하고 황색 또는 오렌지색이 있으며, 프렌치계, 아프리칸계는 일장의 영향을 잘 받지 않으나 단일때 꽃이 핀다. 고온일 때 후렌치계는 장일(長日)이 되면 꽃눈 형성.. 2024. 5. 11. 당매자나무 Chinese barberry 산과바다 당매자나무 Chinese barberry 2024. 4. 27. 담음 * 매자나무 당매자나무 일본매자나무의 구분 꽃차례잎열매매자나무총상꽃차례거친 거치(잎 가장자리)원형당매자나무총상꽃차례잎 가장자리 밋밋타원형일본매자나무산형꽃차례잎 가장자리 매근타원형 당매자나무 Berberis poiretii C. K. Schneid.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미나리아재비목 >매자나무과 >매자나무속(Berberis) 산과 들에 나고 내한성이 커서 전국에서 볼 수 있으며 비옥하고 습기가 적당한 사질양토를 좋아한다. 내염성과 대기오염에 대한 저항성이 크므로 해안지방과 도심지에서도 잘 자란다.줄기는 높이가 2m에 달하며 가지에 털이 없으며 다소 능선이 지며 자갈색이고 가시는 단순.. 2024. 4. 28. 애기똥풀 Asian greater celandine 산과바다 애기똥풀 Asian greater celandine 2024. 4. 23. 담음 * 상처를 내면 등황색 즙액이 나오기 때문에 애기똥풀이라 한다. * 애기똥풀은 독초인데 꽃은 예쁘군요. 삭과인 열매가 원기둥 모양으로 위로 향해 달리더군요. * 예전에는 어린잎일 때 채취하여 물에 담가서 독을 빼고 나물로 먹기도 하였다지만 양귀비과 식물은 독성이 있어 먹지 않는 것이 좋다. 애기똥풀 Chelidonium majus var. asiaticum (H. Hara) Ohwi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양귀비목 >양귀비과 >애기똥풀속(Chelidonium) 까치다리, 씨아똥이라고도 부른다. 마을 근처의 길가나 풀밭에서 자란다. 뿌리는 곧고 땅속 깊이 들어가며 귤색이다. 줄기.. 2024. 4. 24. 뽀리뱅이 Oriental false hawksbeard 산과바다 뽀리뱅이 Oriental false hawksbeard 2024. 4. 23. 담음 뽀리뱅이 Youngia japonica (L.) DC.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초롱꽃목 >국화과 >뽀리뱅이속(Youngia) 보리뱅이, 황매체, 박조가리나물이라고도 한다. 전국 각지에 분포하며 가을에 발아해서 로제트 잎으로 겨울을 지내는 해넘이 한해살이풀이다. 들이나 논, 밭둑, 길가, 풀밭 등에서 자란다. 줄기는 높이 15~100cm이고 전체에 퍼진 털이 밀생한다. 원줄기는 밑에서부터 갈라진다. 잎의 근생엽은 로제트형으로 비스듬히 자라며 거꿀피침모양이고 질이 연약하며 길이 8~25cm, 폭 1.7~6cm로서 털이 있고 밑으로 점차 좁아지며 가장자리가 무우잎처럼 갈라지고 정열편은 삼각상 달걀모양으로서 크며 측.. 2024. 4. 24. 개구리자리 Cursed buttercup 산과바다 개구리자리 Cursed buttercup 2024. 4. 22. 담음 * 산기슭 습지에서 자람은 담음. * 개구리미나리나, 미나리아재비처럼 노란색 꽃잎이 같아 보이는데 개구리자리는 노란색 꽃잎이 뒤로 젖혀지고 유별나게 윤기가 흐르고 잎이 위로 갈수록 좁아져 다르군요. 개구리자리 Ranunculus sceleratus L.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 >미나리아재비속(Ranunculus) 논두렁이나 습지에서 흔하게 자란다. 줄기는 한해살이지만, 종종 해넘이살이(越年生)로 관찰된다. 바로 서고 윗부분에서 분지한다. 약간 윤기가 나며, 윗부분에서 털이 드물게 있다. 잎은 백색 뿌리에서 난 잎(根生葉)은 모여 나며(叢生), 성장하면서 긴 잎자루를 만들고, 논바닥 같은 습지 .. 2024. 4. 22. 뱀딸기 False strawberry 산과바다 뱀딸기 False strawberry 2024. 4. 18. 담음 * 뱀딸기는 황색꽃이 잎겨드랑이(葉腋)에 1개씩 나며, 긴 꽃자루(花梗)가 있다. 꽃이 핀 다음 화상이 부풀어 오른다. * 뱀딸기와 민뱀딸기의 비교 잎의 털 유무 개화기 열매크기 뱀딸기 백색털 밀생 4~6월 1cm 정도 민뱀딸기 표면엔 털이 거의 없음 5~6월 1.5~2cm 정도 뱀딸기 Duchesnea chrysantha (Zoll. & Moritzi) Miq.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장미목 >장미과 >뱀딸기속(Duchesnea) 전국의 풀밭 또는 숲 가장자리에 흔하게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여러해살이로 긴 포복경(匍腹莖)이 사방으로 퍼져가며, 마디에서 뿌리를 내리면서 새 줄기를 낸다. 잎은 어긋나며(互生), 3출복.. 2024. 4. 18. 괭이밥 Creeping sorrel 산과바다 괭이밥 Creeping sorrel 2024. 4. 17. 담음 노란 꽃이 산듯하게 보이는군요. 괭이밥 Oxalis corniculata L.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쥐손이풀목 >괭이밥과 >괭이밥속(Oxalis) 밭이나 길가에 난다. 줄기는 많은 대가 나와 옆으로 또는 위를 향해 비스듬히 자라며 전체에 잔털이 있고 줄기는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뿌리의 원뿌리는 깊이 땅속으로 들어가고 그 위에서 많은 대가 나온다. 잎은 어긋나기 하며 긴 엽병 끝에서 3개의 소엽이 옆으로 퍼져 있으나 광선이 없을 때는 오므라든다. 소엽은 거꿀심장모양이고 길이와 나비가 각 1~2.5cm로서 가장자리와 뒷면에 원줄기와 더불어 털이 약간 있으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다. 꽃은 지름 8mm 정도로 황색이고 5~8월에 피.. 2024. 4. 18. 좀씀바귀 Ixeris stolonifera 산과바다 좀씀바귀 Ixeris stolonifera 2024. 4. 17. 담음 * 밤에는 꽃잎이 닫히고 낮에는 꽃잎이 열리는군요. * 황색 꽃잎이 노랑선씀바귀와 같아 보이는데 잎이 난상 원형으로 크기(길이×나비 20mm×15mm정도)가 작고 동글동글하게 보여 다른 씀바귀와 쉽게 구분이 되는군요. 좀씀바귀 Ixeris stolonifera A.Gray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초롱꽃목 >국화과 >선씀바귀속(Ixeris) 전국 각지에 분포하며 산 능선을 따라서 또는 길가나 숲 가장자리에 조밀하게 생육하며 주로 메마르고 척박한 토양에서 자란다. 줄기는 높이가 10cm가량으로 줄기가 길게 벋으면서 가지가 갈라진다. 뿌리는 근경이 갈라져 옆으로 뻗으면서 번식한다. 잎은 어긋나기하고 난상 원형, 넓은 달걀모양 .. 2024. 4. 18. 죽단화(겹황매화) Kerria japonica 산과바다 죽단화(겹황매화) Kerria japonica 2024. 4. 11. 담음 * 황매화보다 1주일 정도 늦게 피는군요.(같은 장소의 꽃 비교) * 죽단화는 꽃잎이 노란색 겹꽃인데 황매화는 노란색 꽃잎이 5장으로 다르군요. * 죽단화와 황매화는 노란색 꽃으로 줄기와 잎이 같아 꽃이 없으면 구분하기가 어렵군요. 죽단화(겹황매화) Kerria japonica DC. pleniflora (Witte) Rehder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장미목 >장미과 >황매화속(Kerria) 죽단화는 겹황매화 죽도화라고도 부른다. 황매화의 변종으로 중부 이남에 자라는 낙엽 활엽 떨기나무로 일본과 중국에 분포한다. 높이 1.5~2.0m, 어린 가지는 녹색이고 털이 없다. 잎은 어긋나며, 난형 또는 긴 난형으로, 끝은 .. 2024. 4. 11. 황매화 黃梅花 Kerria 산과바다 황매화 黃梅花 Kerria 2024. 4. 4. 담음 * 황매화와 죽단화는 정원에 심어 기르는(관상용) 종으로만 알았더니 숲속에서도 자생하는 식물이더군요. * 황매화와 죽단화는 줄기와 잎 모양이 똑같아서 꽃이 피지 않으면 구분이 안 되는군요. * 황매화는 황색 꽃의 꽃잎이 5장이고 * 죽단화는 황색 꽃의 꽃잎이 겹으로 되어 겹황매화라고도 하는군요. 황매화 Kerria japonica(L.) DC. for. japonica 속씨식물 >쌍떡잎식물강 >장미목 >장미과 >황매화속(Kerria) 장미과(薔薇科 Rosaceae)에 속하는 낙엽활엽관목. 일본이 원산지이며 관상용으로 흔히 심는다. 키는 2m에 달하며 줄기는 녹색으로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털이 없다. 잎은 길이가 2~9cm, 너비가 3~3.5c.. 2024. 4. 4. 당매자나무 Chinese barberry 산과바다 당매자나무 Chinese barberry 2023. 10. 18. 담음 * 지난 4월 13일 가지에 달린 꽃이 아래로 향해 핌을 담았었는데 붉은 열매가 보이는군요.* 매자나무, 당매자나무, 일본매자나무의 구분 꽃차례잎열매매자나무총상꽃차례거친 거치(잎 가장자리)원형당매자나무총상꽃차례타원형 잎 가장자리 밋밋타원형일본매자나무산형꽃차례잎 가장자리 매근타원형 당매자나무 Berberis poiretii C. K. Schneid.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미나리아재비목 >매자나무과 >매자나무속(Berberis) 산과 들에 나고 내한성이 커서 전국에서 볼 수 있으며 비옥하고 습기가 적당한 사질양토를 좋아한다. 내염성과 대기오염에 대한 저항성이 크므로 해안지방과 도심지에.. 2023. 10. 18. 좀씀바귀 Ixeris stolonifera 산과바다 좀씀바귀 Ixeris stolonifera 2023. 10. 9. 담음 * 시절을 잃은 좀씀바귀가 10월 인데도 꽃을 보여주는군요. * 밤에는 꽃잎이 닫히고 낮에는 꽃잎이 열리는군요. * 황색 꽃잎이 벋음씀바귀와 같아 보이는데 잎이 난상 원형으로 크기(길이×나비 20mm×15mm정도)가 작고 동글동글하게 보여 다른 씀바귀와 쉽게 구분이 되는군요. 좀씀바귀 Ixeris stolonifera A.Gray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초롱꽃목 >국화과 >선씀바귀속(Ixeris) 전국 각지에 분포하며 산 능선을 따라서 또는 길가나 숲 가장자리에 조밀하게 생육하며 주로 메마르고 척박한 토양에서 자란다. 줄기는 높이가 10cm가량으로 줄기가 길게 벋으면서 가지가 갈라진다. 뿌리는 근경이 갈라져 옆으로 뻗으면.. 2023. 10. 10. 이전 1 2 3 4 5 ··· 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