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전체 글11122

대한민국 속담(俗談 및 意義) (자) 산과바다속담집(俗談集) HOME  대한민국 俗談 및 意義 (자) ★ 자기가 하기 어려운 일은 남에게도 시키지 말아야 한다 : 난행지사 물이명인(難行之事 勿以命人) →자기가 하기 어려운 일은 남도 하기 어렵기 때문에 남에게 시키지 말라는 뜻★ 자는 범 코침주기 : 그대로 가만두었으면 아무 일도 없었을 것을 공연히 건드려서 일을 저질러 위험을 산다는 말. = 자는 호랑이 불침 놓기. ★ 자는 호랑이 코침주기 : 그대로 가만히 두었으면 아무 탈이 없을 것을 공연히 건드려 문제를 일으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긁어 부스럼.★ 자다가 벼락을 맞는다. : 급작스레 뜻하지 않던 변을 당하여 어쩔 줄 모를 때 으르는 말.★ 자다가 봉창 두들기는 소리 : 봉창을 두들기는 행위는 외부 사람이 안에 있는 사람에게 인기척.. 2025. 3. 13.
대한민국 속담(俗談 및 意義) (아) 산과바다속담집(俗談集) HOME  대한민국 俗談 및 意義 (아) ★ 아 해 다르고 어 해 다르다. : 같은 내용의 이야기라도 이렇게 말하여 다르고 저렇게 말하여 다르다는 말.★ 아기 버릇 임의 버릇 : 부모가 아기를 돌보아 주듯이 아내가 남편을 돌보아 주어야 남편이 좋아함을 이르는 말.★ 아끼는 것이 온갖 행복의 근원이다 : 검위만복지원(儉爲萬福之源) →물자를 아껴 쓰는 것은 부유하게 살 수 있는 근본이라는 말★ 아끼는 것이 찌로 간다. : 물건을 너무 아끼기만 하다가는 잃어버리거나 못 쓰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아끼다 찌로 간다.★ 아끼다 똥 된다. : 너무 아끼다 보면 결국에는 쓸모없어짐을 이르는 말. = 궤 속의 낡은 돈으로는 똥도 못 산다.★ 아끼면 있고 사치하면 없어진다 : 검즉존 사즉.. 2025. 3. 13.
대한민국 속담(俗談 및 意義) (사) 산과바다속담집(俗談集) HOME  대한민국 俗談 및 意義 (사) ★ 사공이 많으면 배가 산으로 간다 : 간섭하는 사람이 많으면 일이 제대로 되지 않는다는 뜻이다. →여러 사람이 제 뜻대로 하려 들면 일이 제대로 되기 어렵다. =목수가 많으면 집 무너뜨린다.★ 사귀어야 절교를 하지 : 本不結交 安有絶交(본불결교 안유절교) →본래 사귐을 맺지 않았더라면 왜 사귐을 끊는 일이 있겠는가? 친구 사귐에 신중하라. 安 : 어찌 ~이겠는가★ 사근내(沙近乃) 장승만 하다. : 보기 흉하게 키 큰 사람을 보고 하는 말.★ 사나운 개 콧등 아물 틈 없다. : 可가증지견 비불리선(憎之犬 鼻不離癬) →사람도 사나워서 늘 싸우기만 하면 상처를 입고 그것이 미처 낫기도 전에 또 새 상처를 입는다는 말. = 사나운 개 입 성할 날.. 2025. 3. 13.
대한민국 속담(俗談 및 意義) (바) 산과바다속담집(俗談集) HOME  대한민국 俗談 및 意義 (바) ★ 바늘 가는 데 실 간다 : 항상 꼭 붙어 다니는 친구나 무리를 일컬음. →서로 떨어져서는 아무 소용이 없으므로 늘 붙어 다닌다는 뜻. = 녹수 갈 제 원앙 가듯.★ 바늘 끝만한 일을 보면 쇠공이만큼 늘어놓는다. : 針小棒大(침소봉대) →과장해서 말하는 경우에 이르는 말.★ 바늘 도둑이 소 도둑 된다. : 針賊 大牛賊(침적 대우적) →자그마한 나쁜 일도 자꾸 해서 버릇이 되면 나중에는 큰 죄를 저지르게 된다는 말. (=등겨 먹던 개가 말경에는 쌀을 먹는다, 바늘 쌈지에서 도둑이 난다.) 針 : 바늘 침 賊 : 도적 적★ 바늘 도둑이 소도둑 된다. : 竊鍼不休 終必竊牛(절침불휴 종필절우) →바늘 도둑질을 그만두지 않으면 마침내 반드시 소를.. 2025. 3. 13.
대한민국 속담(俗談 및 意義) (마) 산과바다속담집(俗談集) HOME   대한민국 俗談 및 意義 (마) ★ 마귀가 고욤을 마다한다. : 본디 좋아하는 것을 짐짓 싫다고 거절할 때 이를 비꼬는 말.★ 마누라가 예쁘면 처가집 말뚝에도 절한다. : 婦家情篤 拜厥馬杙(부가정독 배궐마익) →어떤 사물을 좋아하면 그와 관련된 다른 것까지도 사랑한다는 뜻이다. 말뚝 익 杙★ 마당 삼을 캤다 : 삼을 캐려면 깊은 산중에 들어가야 하나 마당에서 캤으니, 어떤 일을 힘들이지 않고 성공함을 이름.★ 마당 터진 데 솔뿌리 걱정한다 : 1. 당치도 않은 것으로 문제를 해결하려 하는 어리석음. 2. 쓸데없는 걱정. * 여기서 '솔뿌리'라 함은 소나무의 뿌리를 말하는데, 소나무 뿌리의 껍질을 벗긴 속심은 매우 질기기 때문에 이를 가지고 바가지나 나무 그릇 등이 터졌을.. 2025. 3. 13.
대한민국 속담(俗談 및 意義) (다) 산과바다속담집(俗談集) HOME   대한민국 俗談 및 意義 (다) ★ 다 가도 문턱 못 넘기 : 애써 일을 하였으나 마지막 끝맺음을 못 하여 수고한 보람이 없음을 이르는 말★ 다 같은 평지라도 물은 습기 찬대로 스며든다 : 평지약일 수취습야(平地若一 水就濕也) →다 같은 조건이라도 연분 있는 사람과 더 친하게 된다는 뜻★ 다 된 죽에 코 풀기 : ① 제대로 잘 되어 가는 남의 일을 망쳐 버리는 졸렬한 행동을 이름. ② 잘 되어 가는 남의 일을 악랄한 방법으로 망침을 이름. = 다 된 죽에 코 떨어뜨린다.★ 다람쥐 쳇바퀴 돌리듯 : 아무리 백날 천날 애써봐도 제자리걸음. 지방에서는 다람쥐 대신 '개미'가 들어가기도 한다.★ 다른 산의 돌을 보고 거울로 삼는다 : 타산지석 가이차경(他山之石 可以借鏡) →다른.. 2025. 3. 12.
대한민국 속담(俗談 및 意義) (나) 산과바다속담집(俗談集) HOME   대한민국 俗談 및 意義 (나)  ★ 나 먹기는 싫어도 남 주기는 아깝다 : 아담속염시인반린(我啖屬厭施人反吝) →내가 싫은 그 밥이나 개 주기인즉 아깝다. =我厭其餐 予狗則慳(아염기찬 여구즉간)★ 나 먹자니 싫고 개 주자니 아깝다 : 자기에게는 소용이 없는 것도 막상 남에게 주려고 하니 싫다는 뜻. = 나그네 먹던 김칫국도 먹자니 더럽고 남 주자니 아깝다.★ 나 먹자니 싫고 남(개) 주자니 아깝다 : =계륵(鷄肋) 닭갈비★ 나간 머슴이 일은 잘했다 : 사람은 무엇이나 잃은 것을 애석하게 여기고, 현재 가지고 있는 것보다 전의 것이 더 낫다고 생각한다는 뜻. = 놓친 고기가 더 크다.나간 사람 몫은 있어도, 자는 사람 몫은 없다.★ 나귀는 샌님만 섬긴다 : 보잘것없는 사람.. 2025. 3. 12.
대한민국 속담(俗談 및 意義) (가) 산과바다속담집(俗談集) HOME   대한민국 俗談 및 意義 (가)  ★ 가갸 뒤 자도 모른다. : 글을 전혀 모르는 사람을 이르는 말.★ 가게 기둥에 입춘(立春) : 假家柱 立春(가가주 입춘) →제 격식에 어울리지 않음을 이르는 말. 입춘대길은 집에 붙이는 문구고 가게 기둥은 물건값을 적던 곳이다. = 개발에 주석 편자. 假 : 빌릴 가 柱 : 기둥 주★ 가까운 남이 먼 친척 (일가)보다 낫다 : 가까운 이웃끼리 친하게 지내다 보면 멀리 있는 친척보다 더 친하게 된다는 말이다.★ 가까운 데 집은 깎이고 먼 데 절 (집)은 비친다 : 늘 가까이에 있는 것은 흠이 잘 드러나 좋아 보이지 않지만 멀리 있는 것은 실제보다 더 좋아 보인다는 말.★ 가까운 데를 가도 점심밥을 싸 가지고 가거라. : 어떤 일이든지 .. 2025. 3. 12.
산개구리알 common frog 산과바다 산개구리알 common frog 2025. 3. 9. 담음 수면에 넓게 퍼져 있어서 산개구리알로 동정해 본다. * 한국산개구리알과 산개구리알의 비교 알 위치알 덩어리 크기와 수한국산개구리알물속에 가라앉음지름 5~10㎝이며, 알의 수는 400~800개이다.산개구리알물속과 수면에 넓게 퍼짐지름 5~30cm 정도이고, 800~2,000개     산개구리 Rana dybowskii (Günther, 1876)     척추동물문 >양서강 >개구리목 >개구리과 >개구리속(Rana) 개구리과에 속하며 주로 육상 생활을 하는 개구리. 영국과 유럽, 한국, 일본이 원산지로, 평지와 산지에 서식한다. 식성은 육식이고, 크기는 약 4.5~8cm이다. 낮은 위기의 멸종 위기 등급을 받았다.산개구리의 피부는 부드럽고,.. 2025. 3. 9.
도롱뇽알 Korean salamander 산과바다 도롱뇽알 Korean salamander 2025. 3. 9. 담음 산란기는 3월 초~5월 말이다.  손가락 굵기의 투명한 1개의 알주머니에는 보통 30~75개의 알이 들어 있다.     도롱뇽 Hynobius leechii Mori. 1928      척추동물문 >양서류강 >도롱뇽목 >도롱뇽과 >도롱뇽속(Hynobius) 도롱뇽속(Hynobius)에 속하는 양서류로 한국 특산종(特産種)이다.갈색 바탕의 몸 색깔에 암갈색의 둥근 얼룩무늬가 있고, 등은 눈의 뒷부분부터 짙은 색을 띤다. 옆면에서 배에 이르기까지는 몸 색깔이 점점 엷어지며 얼룩무늬의 수도 적어진다.머리는 편평하며, 등쪽에서 볼 때 머리 길이가 머리 폭보다 약간 길어 타원형을 이룬다. 주둥이가 둥글고, 콧구멍이 있으며 눈은 돌출되어 .. 2025. 3. 9.
두꺼비알 Asian toad 산과바다 두꺼비알 Asian toad 2025. 3. 9. 담음지난해에는 2월 29일 담았었는데 청주 산남동 두꺼비생태공원 두꺼비집 앞의 웅덩이에서 담음두꺼비는 알을 2월 말~3월 초 순경 기다란 원통 모양의 알주머니를 낳는다. 한천질에 쌓여 낳은 알주머니는 길이가 무려 10m에 이르며 알의 개수는 2500 ~ 8000개 정도나 된다. * 두꺼비 올챙이는 개구리 올챙이보다 훨씬 검고, 뭉쳐서 몰려다님이 달라 구분이 되는군요.      두꺼비 Bufo bufo gargarizans CANTOR     척추동물문 >양서류강 >개구리목 >두꺼비과 >두꺼비속(Bufo) 더터비, 두텁, 둗거비 라고도 하였으며 한자로는 섬여(蟾蜍), 축추(鼀), 섬제(詹諸), 나하마(癩蝦蟆) 등으로 불린다.일반적으로 두꺼비과의 개.. 2025. 3. 9.
너도바람꽃이 피었을까? 산과바다너도바람꽃이 피었을까?2025. 3. 9.올해도 기지개를 켜고 자리에서 일어나 대자연 속에 들며 나를 찾아 슬슬 기동할 때가 되었나 보다. 지난해 보았던 보개산 골짜기에 너도바람꽃을 보기 위해 올해도 나서본다. 작년 2024년 2월 24일 너도바람꽃 Eranthis stellata을 담았었기에올해에도 2월 28일 가 보았으나 지난해에 꽃을 보았던 곳에 눈이 덮여 너도바람꽃을 못 보고일주일 후 3월 7일 다시 찾아보았으나 눈이 더 내려 덮여서 꽃을 못 보고 아쉬움에 돌아왔다. 눈속에 너도바람꽃 함박눈 덥힌 골에 얼음 녹아 졸졸대고추움을 잊은 채로 눈 밟으며 기웃기웃눈속에 너도바람꽃 깜짝 놀라 반기네. 2024. 2. 24.산과바다 이계도  아래는 지난해 너도바람꽃을 보았더 곳에 눈이 덮여 꽃을 볼 .. 2025. 3. 9.
속담(俗談)의 정의(定義) 산과바다속담집(俗談集) HOME    속담(俗談)의 정의(定義) 속담은 예부터 사람들의 입에서 입으로 전해 내려오는 짧은 문장의 비유적인 말로, 경험을 통해 얻게 된 삶의 지혜와 교훈, 경계해야 할 일 등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는 말이다. 이와 같은 내용의 말은 대체로 특정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 사이의 특별한 문화적, 사회적 관념과 태도를 나타내는 경우가 많다. 속담은 구술 전승되면서 어느 정도 굳어진 일종의 관용적 어구라고 할 수 있는데 관용어구에는 속담 이외에도 격언이나 잠언 류의 말, 수수께끼, 속신(俗信)과 금기(禁忌)에 관한 말 등이 있다. 차례1. 정의2. 전승 및 채록3. 속담의 개념4. 속담의 유래와 형성 과정5. 속담의 형태6. 속담의 문학적 특징7. 속담의 수사적 특징8. 의의 및 평.. 2025. 2. 24.
중국 俗談(4) 산과바다속담집(俗談集) HOME     중국 俗談(4) 한국에 있는 대부분의 四子成語와 故事成語가 中國에서는 俗談 취급 받는다. 사실 중국에서 한국으로 수출한 것을 이쪽에서 쓰고 있는 것.  가까운 남이 먼 일가보다 낫다 : 遠親不如近隣가까운 무당보다 먼데 무당이 낫다 : 遠來的和尙會念經가난한 집 제사 돌아오듯 : 怕甚麽來甚麽 ; 越窮越見鬼,越冷越刮風가는 날이 장날 : 來得早,不如來得巧가는 말이 고와야 오는 말이 곱다 : 你不說他禿,他不說你眼瞎가는 정이 있어야 오는 정이 있다 : 人心換人心,人情換人情가랑비에 옷 젖는 줄 모른다 : 毛毛細雨濕衣裳,小事不防上大當가루는 칠수록 고와지고 말은 할수록 거칠어진다 : 紛越篩越細,話越說越粗가물에 단비 : 久旱逢甘雨가물에 콩 나듯 : 寥寥無幾 ; 寥若辰星가을이 지나지 .. 2025. 2. 24.
중국 俗談(3) 산과바다속담집(俗談集) HOME       중국 俗談(3) 한국에 있는 대부분의 四子成語와 故事成語가 中國에서는 俗談 취급 받는다. 사실 중국에서 한국으로 수출한 것을 이쪽에서 쓰고 있는 것.  (가자다순 의~화) ★ 意到筆隨(의도필수) 蘇軾> : 뜻이 이르면 붓은 따른다.① 생각대로 붓이 막힘없이 나가다 ② 생각나는 대로 글을 줄줄 쓰다  ★ 疑事無功 (의사무공) 史記> : 의심하는 일에 공이 없다. 의심하면서 하면 성공하지 못한다.  ★ 衣食足則知榮辱(의식족즉지영욕) 漠書> : 의식이 풍족해야 榮辱(영예와 굴욕)을 안다.* 倉廩實則知禮節(창름실즉지예절) : 창고가 가득 차야 예절을 알고, 衣食足則知榮辱(의식족즉지영욕) : 의식이 풍족해야 영욕을 안다  ★ 疑心 生暗鬼(의심 생암귀) 列子> : 의심하는.. 2025. 2. 23.
중국 俗談(2) 산과바다속담집(俗談集) HOME       중국 俗談(2) 한국에 있는 대부분의 四子成語와 故事成語가 中國에서는 俗談 취급 받는다. 사실 중국에서 한국으로 수출한 것을 이쪽에서 쓰고 있는 것.  (가나다순 박~유) ★ 薄施厚望者 不報 貴而忘賤者 不久(박시후망자 불보 귀이망천자 불구) 明心寶鑑> : “박하게 베풀고 후하게 바라는 사람에게는 보답이 없고, 몸이 귀하게 되어 천했던 때를 잊는 자는 오래가지 못한다.”  ★ 博愛之謂仁(박애지위인) 韓愈> : 널리 사랑하는 것은 인(仁)이라 한다.  ★ 發憤忘食 樂而忘憂(발분망식 낙이망우) 論語> : 분함이 나면 먹음도 잊고, 즐거움도 근심도 잊는다. 학문의 의문을 풀지 못하여 답답한 마음이 나면 음식도 잊어버리고, 그 의문을 풀어 즐거우면 근심을 다 잊는다는 학.. 2025. 2. 22.
중국 俗談(1) 산과바다속담집(俗談集) HOME       중국 俗談(1) 한국에 있는 대부분의 四子成語와 故事成語가 中國에서는 俗談 취급 받는다. 사실 중국에서 한국으로 수출한 것을 이쪽에서 쓰고 있는 것.  (가나다순 가~민)  ★ 家貧顯孝子(가빈현효자) 寶鑑> : 집이 가난함에 효자를 나타낸다. * 명심보감(明心寶鑑) 성심편(省心篇) 家貧顯孝子 世亂識忠臣(가빈현효자 세란식충신) : 집이 가난해야 효자(孝子)가 드러나고, 세상(世上)이 어지러워야 충신(忠臣)을 안다.  ★ 家必自毁然後人毁之 國必自伐然後人伐之(가필자훼연후인훼지 국필자벌연후인벌지) 孟子> : 집은 반드시 스스로 헌 뒤에 남이 헐고, 나라는 반드시 스스로 친 뒤에 남이 친다.  ★ 懇懇用刑 不如行恩(간간용형 불여행은) 後漢書> : 정성스럽게 형벌을 쓰는 .. 2025. 2. 21.
어린이 俗談 산과바다속담집(俗談集) HOME       어린이 俗談 (가나다순)★ 가는 날이 장날★ 가는 말이 고와야 오는 말이 곱다.★ 가랑비에 옷 젖는 줄 모른다.★ 가재는 게 편★ 가지 많은 나무에 바람 잘 날 없다.★ 간에 붙었다 쓸개에 붙었다 한다.★ 같은 값이면 다홍치마★ 개구리 올챙이 적 생각 못 한다.★ 개똥도 약에 쓰려면 없다.★ 고래 싸움에 새우 등 터진다.★ 고생 끝에 낙이 온다.★ 고양이 목에 방울 달기★ 공든 탑이 무너지랴.★ 구슬이 서 말이라도 꿰어야 보배★ 굼벵이도 구르는 재주는 있다.★ 금강산도 식후경★ 까마귀 날 자 배 떨어진다.★ 꿩 먹고 알 먹기 ★ 남의 손의 떡은 커 보인다.★ 남의 잔치에 감 놓아라 배 놓아라 한다.★ 낫 놓고 기역 자도 모른다.★ 낮말은 새가 듣고 밤말은 쥐가 .. 2025. 2.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