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전체 글11064

열상방언(列上方言)에 나오는 俗談(속담) 산과바다속담집(俗談集) HOME       열상방언(列上方言)에 나오는 俗談(속담) 「列上方言(열상방언 1795년)」 : 조선 후기의 실학자인 李德懋(이덕무 1741~1793)가 지은 俗談 漢譯集​『청장관전서(靑莊館全書) 1795년(정조 19) 이덕무의 아들 이광규가 간행)』 제62권에 「서해여언(西海旅言)」·「윤회매십전(輪回梅十箋)」·「산해경보(山海經補)」와 함께 열상방언(列上方言)이 실려 있다. 총 99편이 거두어져 있는데 매 편마다 6언으로 된 속담구를 앞세운 뒤 간략하게 그 뜻을 설명하고 있다.첫머리 부분에서 몇 가지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量吾彼置吾趾(이불 생각하고 발 뻗는다)─言事可度力而爲也 被短而申足 足必露矣(무슨 일이건 제 힘을 헤아려서 해야 한다는 말이다. 이불은 짧은데 발을 뻗으면 발.. 2025. 2. 15.
고금석림(古今釋林)에 나오는 속담(俗談) 산과바다속담집(俗談集) HOME    고금석림(古今釋林)에 나오는 속담(俗談) 『고금석림(古今釋林 1789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 이의봉(李義鳳 1733~1801)이 역대의 우리말과 중국어, 일본어 등 여러 언어의 어휘를 모아 해설한 어휘집이다. 초 명은 상봉(商鳳). 자는 백상(伯祥). 호는 나은(懶隱). 부수찬, 교리를 거쳐 1788년 신천(信川) 군수가 되었다. 1789년에 사서(辭書) ≪고금석림(古今釋林)≫ 40권을 완성하였다. 저서에 ≪산천지(山川志)≫가 있다.   老馬 不辭豆(노마 불사두) : 늙은 말도 콩을 사양하지 않는다.  鐘路逢頰 沙坪睨(종로봉협 사평예) : 종로에서 뺨 맞고 사평에서 눈 흘긴다.  無虎洞中 狸作虎(무호동중 이작호) : 호랑이 없는 골엔 살쾡이가 호랑이로 된다.  負兒.. 2025. 2. 14.
순오지(旬五志)에 나오는 속담(俗談) 산과바다속담집(俗談集) HOME       순오지(旬五志)에 나오는 속담(俗談) 「순오지(旬五志 1678년)」 : 조선(朝鮮) 인조(仁祖) 때 홍만종(洪萬宗 1643~1725)의 문학(文學) 평론집(評論集). 정철(鄭澈), 송순(宋純)의 시가(詩歌)와 중국(中國)의 ≪서유기(西遊記)≫에 대(對)하여 평하고, 자신(自身)이 들었던 이야기와 민가(民家)에 떠도는 130여 종의 속담(俗談) 등(等)을 모아서 편찬(編纂)한 책(冊). 보름 만에 책을 완성(完成)했다고 하여 ≪순오지(旬五志)≫라고 함. 순오지(旬五志)는 한국(韓國)의 역사(歷史), 유ㆍ불ㆍ선(儒ㆍ佛ㆍ仙) 삼교(三敎)에 관(關)한 논설(論說), 훈민정음(訓民正音) 창제(創製)에 대(對)한 견해(見解) 등(等) 다양(多樣)한 내용(內容)을 담고 있음.. 2025. 2. 13.
우리 속담의 漢譯 산과바다속담집(俗談集) HOME        우리 속담의 漢譯  (가나다 순)假家柱立春(가가주입춘) ▶ 가게 기둥에 입춘. 제격에 맞지 않고 지나침을 이르는 속담.[출전 - 東言解][한자 풀이] 假:빌릴 가 柱:기둥 주  竿頭過三年(간두과삼년) ▶ 대 끝에서도 삼 년이라. ☞ 어려운 역경에 처해서 오래도록 참고 견디어 나간다는 의미. [직역] 장대 꼭대기에서 삼 년을 지낸다. [출전 - 旬五志] [한자 풀이] 竿(간) 장대 / 頭(두) 머리 / 過(과) 지나다, 지나치다, 허물  看晨月 坐自夕(간신월 좌자석) 曉月之觀 豈自昏候(효월지관 기자혼후) ▶ 새벽달 보려고 초저녁부터 나앉으랴. ☞ 성미가 급하거나 때를 잘못 짐작해서 너무 일찍 일을 서두른다는 의미. [직역] 새벽달을 보는데, 앉기를 저녁부터 한다.. 2025. 2. 12.
속담집(俗談集) HOME 산과바다 속담집(俗談集) HOME  * 속담(俗談) : 오랜 세월을 거쳐 삶에서 얻은 경험과 교훈이나 어떠한 가치에 대한 견해를 간결하고도 형상적인 언어 형식으로 표현한 말속담(俗談)은 예로부터 한 민족 혹은 사회에서 사람들 사이에서 널리 말하여져서 굳어진 어구로 전해지는 말이다. 격언(格言)이나 잠언(箴言)과 유사하다. 속담은 그 속담이 통용되는 공동체의 의식 구조를 반영하기 때문에 언어학이나 문화인류학 등에서 연구 대상으로 많이 삼고 있다. 문학 작품에도 많이 등장한다.속담집간행 연도저자속담 바로가기순오지(旬五志)1678년홍만종(洪萬宗 1643~1725)순오지(旬五志)에 나오는 속담(俗談)고금석림(古今釋林)1789년이의봉(李義鳳 1733~1801)고금석림(古今釋林)에 나오는 속담(俗談)열상방언(洌上方.. 2025. 2. 12.
44. 호칭(呼稱)에 관련된 漢字成語 산과바다한자성어(漢字成語) HOME  44. 호칭(呼稱)에 관련된 漢字成語한글 발음漢字成語의미 해석가부지친葭莩之親‘갈대의 줄기에 붙어 있는 갈대청같이 엷게 붙어 있는 친척(親戚)’이라는 뜻으로, 촌수(寸數)가 먼 인척(姻戚)을 이르는 말.과처寡妻남에게 자기(自己)의 아내를 낮추어 이르는 말. 중국(中國) 후한(後漢) 때에 양홍(梁鴻)의 아내 맹광(孟光)이 가시나무 비녀를 꽂고 무명으로 만든 치마를 입었다는 데서 유래(由來)한다.동상東牀‘동쪽(東-) 평상(平牀)’이라는 뜻으로, ‘사위’를 달리 이르는 말. 중국(中國) 진나라(晉--)의 극감(郄鑒)이 사위를 고르는데, 왕도(王導)의 아들 가운데 동쪽(東-) 평상(平牀) 위에서 배를 드러내고 누워 있는 왕희지(王羲之)를 골랐다는 고사(故事)에서 유래(由來)한.. 2025. 2. 6.
43. 편지(便紙)에 관련된 漢字成語 산과바다한자성어(漢字成語) HOME  43. 편지(便紙)에 관련된 漢字成語한글 발음漢字成語의미 해석가가可呵주(主)로 편지(便紙ㆍ片紙)에서, ‘스스로 생각하여도 우습다.’는 뜻으로 이르는 말.각필閣筆(擱筆)1. 쓰던 글을 중간(中間)에 그만두고 붓을 내려놓음. 2. 편지(便紙ㆍ片紙) 따위에서, 이제 그만 씀을 이르는 말.개탁開坼‘봉한 편지(便紙ㆍ片紙)나 서류(書類) 따위를 뜯어보라.’는 뜻으로, 주로 손아랫사람에게 보내는 편지(便紙ㆍ片紙)의 겉봉(-封)에 쓰는 말.객중보체客中寶體‘객지(客地)에 있는 보배로운 몸’이라는 뜻으로, 편지(便紙ㆍ片紙)에서 객지(客地)에 있는 상대편(相對便)을 높여 이르는 말.걸신乞神1. 「빌어먹는 귀신(鬼神)」의 뜻으로 굶주리어 염치(廉恥)를 돌아보지 않고 음식(飮食)을 지나치게.. 2025. 2. 6.
42. 절기(節氣)에 관련된 漢字成語 산과바다한자성어(漢字成語) HOME  42. 절기(節氣)에 관련된 漢字成語한글 발음漢字成語의미 해석건양다경建陽多慶입춘(立春)을 맞이하여 길운(吉運)을 기원(祈願)하는 글.  유래 경복庚伏‘삼복(三伏)’을 달리 이르는 말. 하지(夏至) 후(後)의 셋째 경일(庚日)에 시작(始作)한다는 데서 나온 말이다.국월菊月‘국화꽃(菊花-)이 피는 달’이라는 뜻으로, 음력(陰曆) 9월(月)을 달리 이르는 말.국추菊秋‘국화꽃(菊花-)이 피는 가을’이라는 뜻으로, 음력(陰曆) 9월(月)을 이르는 말.기망旣望음력(陰曆)으로 매달(每-) 열엿샛날. 출전:적벽부(赤壁賦) 前赤壁賦(전적벽부) : 소식(蘇軾) 壬戌之秋,七月既望,蘇子与客泛舟,遊于赤壁之下。: 임술년 가을 7월 16일에 나는 객과 함께 배를 띄워 적벽(赤壁) 아래에서 노닐.. 2025. 2. 6.
41. 연령(年齡)에 관련된 漢字成語 산과바다한자성어(漢字成語) HOME  41. 연령(年齡)에 관련된 漢字成語연령(年齡)을 나타내는 한자어(漢字語): 유래 나이호칭15세지학(志學), 성동(成童). 20세약관(弱冠), 약령(弱齡), 약년(弱年), 방년(芳年), 방령(芳齡), 묘령(妙齡), 묘년(妙年). 30세이립(而立). 32세이모지년(二毛之年), 이모(二毛). 40세불혹(不惑). 50세지명(知命). 51세망륙(望六). 60세이순(耳順). 61세화갑(華甲), 환갑(還甲), 주갑(周甲), 환력(還曆), 회갑(回甲). 62세진갑(進甲). 61~70세칠질(七秩). 70세고희(古稀), 종심(從心), 희수(稀壽). 77세희수(喜壽).80세팔순(八旬), 산수(傘壽), 팔질(八耋). 88세미수(米壽). 90세졸수(卒壽). 99세백수(白壽). (白壽) .. 2025. 2. 5.
40. 경조사(慶弔事)에 관련된 漢字成語 산과바다한자성어(漢字成語) HOME  40. 경조사(慶弔事)에 관련된 漢字成語한글 발음漢字成語의미 해석강신降神「제사(祭祀) 지낼 때 초헌(初獻)하기 전(前)에 먼저 신(神)이 내리게 하는」 뜻으로, 향(香)을 피우고 술을 따라 모사(茅沙) 위에 붓는 일. 주문(呪文)이나 또는 다른 술법(術法)으로 신(神)을 내리게 함.건좌습우乾左濕右제사(祭祀)의 제물(祭物)을 진설(陳設)할 때, 마른 것은 왼쪽, 젖은 것은 오른쪽에 놓음. 출전:국립민속박물관(國立民俗博物館)계상배언稽顙拜言‘머리를 조아려 사뢴다.’는 뜻으로, 상제(喪制)가 편지(便紙ㆍ片紙) 첫머리나 자기(自己) 이름 다음에 쓰는 한문(漢文) 투(套)의 말.고서비동考西妣東제사(祭祀) 지낼 때, 아버지 신위(神位)는 서쪽, 어머니 신위(神位)는 동쪽에 모심... 2025. 2. 5.
39. 백중(伯仲)에 관련된 漢字成語 산과바다한자성어(漢字成語) HOME  39. 백중(伯仲)에 관련된 漢字成語한글 발음漢字成語의미 해석갑론을박甲論乙駁「갑(甲)이 논(論)하면 을(乙)이 논박(論駁)한다.」는 뜻으로, 서로 논란(論難)하고 반박(反駁)함을 이르는 말.난백난중難伯難仲‘누가 맏형(-兄)이고 누가 둘째 형(兄)인지 분간(分揀)하기 어렵다.’는 뜻으로, 비교(比較)되는 대상(對象)의 우열(優劣)을 가리기 어려움을 이르는 말.난위형난위제難爲兄難爲弟‘누구를 형(兄)이라 하고 누구를 아우라 하기 어렵다.’는 뜻으로, 두 사물(事物)이 비슷하여 낫고 못함을 정(定)하기 어려움을 이르는 말. 출전:세설신어(世說新語)  유래 난형난제難兄難弟‘누구를 형(兄)이라 하고 누구를 아우라 하기 어렵다.’는 뜻으로, 두 사물(事物)이 비슷하여 낫고 못함을.. 2025. 2. 5.
38. 가난(家難)에 관련된 漢字成語 산과바다한자성어(漢字成語) HOME  38. 가난(家難)에 관련된 漢字成語한글 발음漢字成語의미 해석가도벽립家徒壁立‘빈한(貧寒)한 집안이라서 아무것도 없고, 네 벽만 서 있다.’는 뜻으로, 살림이 심(甚)히 구차(苟且)함을 이르는 말. 출전:한서(漢書)의 사마상여전(司馬相如傳)가도사벽家徒四壁‘집안이 네 벽 뿐’이라는 뜻으로, 집안 형편(形便)이 매우 어렵다는 것을 이르는 말. 출전:한서(漢書)의 사마상여전(司馬相如傳)가무담석家無擔石‘석(石)은 한 항아리, 담(擔)은 두 항아리. 집에 조금도 없다.’는 뜻으로, 집에 재물(財物)의 여유(餘裕)가 조금도 없음.가빈낙백家貧落魄‘집안이 가난하여 혼백(魂魄)이 땅에 떨어진다.’는 뜻으로, 집안이 가난하여 뜻을 얻지 못하고 실의(失意)에 빠짐. 출전:사기(史記)의 역.. 2025. 2. 5.
37. 외로움(孤獨)에 관련된 漢字成語 산과바다한자성어(漢字成語) HOME  37. 외로움(孤獨)에 관련된 漢字成語한글 발음漢字成語의미 해석객창한등客窓寒燈「객창에 비치는 쓸쓸하게 보이는 등불(燈-)」이란 뜻으로, 외로운 나그네의 신세를 말함.고근약식孤根弱植‘외로운 뿌리, 약(弱)한 식목(植木)’이라는 뜻으로, 친척(親戚)이나 돌보는 사람이 없는 사람을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고독단신孤獨單身도와주는 사람 없이 외로운 처지(處地)에 있는 몸.고립무원孤立無援고립(孤立)되어 구원(救援)을 받을 데가 없음.고립무의孤立無依고립(孤立)되어 의지(依支)할 데가 없음.고성낙일孤城落日‘외딴 성(城)과 서산(西山)에 지는 해’라는 뜻으로, 세력(勢力)이 다하고 남의 도움이 없는 매우 외로운 처지(處地)를 이르는 말.고신원루孤臣冤淚임금의 사랑을 잃게 된 외.. 2025. 2. 5.
36. 위기(危機)에 관련된 漢字成語 산과바다한자성어(漢字成語) HOME  36. 위기(危機)에 관련된 漢字成語한글 발음漢字成語의미 해석간두竿頭1. 장대(長-)나 대막대기 따위의 끝. 2. ‘백 자나 되는 높은 장대(長-) 위에 올라섰다.’는 뜻으로, 몹시 어렵고 위태(危殆)로운 지경(地境)을 이르는 말.간두지세竿頭之勢‘대막대기 끝에 선 형세(形勢)’라는 뜻으로, 매우 위태(危殆)로운 형세(形勢)를 이르는 말.간불용발間不容髮1. ‘머리카락 하나 들어갈 틈도 없다.’는 뜻으로, 주도면밀(周到綿密)하여 빈틈이 조금도 없음을 이르는 말. 2. 사태(事態)가 매우 다급(多急)하여 여유(餘裕)가 조금도 없음을 이르는 말.간어제초間於齊楚약자(弱者)가 강자(強者)들 틈에 끼어서 괴로움을 겪음을 이르는 말. 중국(中國)의 주나라(周--) 말엽(末葉) .. 2025. 2. 4.
35. 원한(怨恨)에 관련된 漢字成語 산과바다한자성어(漢字成語) HOME  35. 원한(怨恨)에 관련된 漢字成語한글 발음漢字成語의미 해석각골분한刻骨憤恨뼈에 사무칠 만큼 분(憤)하고 한(恨)스러움. 또는 그런 일.각골지통刻骨之痛뼈에 사무칠 만큼 원통(冤痛)함. 또는 그런 일.각골통한刻骨痛恨뼈에 사무칠 만큼 원통(冤痛)하고 한스러움. 또는 그런 일.견원지간犬猿之間‘개와 원숭이의 사이’라는 뜻으로, 사이가 매우 나쁜 두 관계(關係)를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교아절치咬牙切齒몹시 분(憤)하여 이를 갊.권토중래捲土重來1. ‘땅을 말아 일으킬 것 같은 기세(氣勢)로 다시 온다.’는 뜻으로, 한 번(番) 실패(失敗)하였으나 힘을 회복(回復ㆍ恢復)하여 다시 쳐들어옴을 이르는 말. 중국(中國) 당나라(唐--) 두목(杜牧)의 오강정시(烏江亭詩)>에 .. 2025. 2. 4.
34. 한탄(恨歎)에 관련된 漢字成語 산과바다한자성어(漢字成語) HOME  34. 한탄(恨歎)에 관련된 漢字成語한글 발음漢字成語의미 해석가부소족취家富疎族聚「집이 부유(富裕)해지면 사이가 멀게 지내던 친척(親戚)들도 모여든다.」는 뜻으로, 인정(人情)의 야박(野薄)함을 이르는 말. 출전:신자(愼子)갈이천정渴而穿井‘목이 말라야 비로소 샘을 판다.’는 뜻으로, 자기(自己)가 급(急)해야 서둘러서 일을 함. 출전:설원(說苑)거세개탁擧世皆濁‘온 세상(世上)이 다 흐리다.’는 뜻으로, 지위(地位)의 높고 낮음을 막론(莫論)하고 모든 사람이 다 바르지 않음. 출전:굴원(屈原)의 어부사(漁父辭)  유래 격세지감隔世之感오래지 않은 동안에 몰라보게 변(變)하여 아주 다른 세상(世上)이 된 것 같은 느낌.고려공사삼일高麗公事三日‘고려(高麗)의 정책(政策)이나 법.. 2025. 2. 4.
33. 교훈(敎訓)에 관련된 漢字成語 산과바다한자성어(漢字成語) HOME  33. 교훈(敎訓)에 관련된 漢字成語한글 발음漢字成語의미 해석가빈사양처家貧思良妻‘집안이 가난해지면 어진 아내를 생각하게 된다.’는 뜻으로, 집안이 궁해(窮塞)지거나 어려워지면 어진 아내의 내조(內助)의 필요성(必要性)을 새삼 생각하게 된다는 말.가빈즉사양처家貧則思良妻‘집안이 가난해지면 어진 아내를 생각하게 된다.’는 뜻으로, 집안이 궁해(窮塞)지거나 어려워지면 어진 아내의 내조(內助)의 필요성(必要性)을 새삼 생각하게 된다는 말. 출전:십팔사략(十八史略)개과천선改過遷善지난날의 잘못을 고치어 착하게 됨.거안사위居安思危평안(平安)할 때에도 위험(危險)과 곤란(困難)이 닥칠 것을 생각하며 잊지말고 미리 대비(對備)해야 함. 출전: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경궁지조驚弓之鳥‘한 번.. 2025. 2. 4.
32. 배신(背信)에 관련된 漢字成語 산과바다한자성어(漢字成語) HOME  32. 배신(背信)에 관련된 漢字成語한글 발음漢字成語의미 해석가구향리폐家狗向裏吠「집에서 기르는 개가 집 안쪽을 향(向)해 짖는다.」는 뜻으로, 은혜(恩惠)를 원수(怨讐)로 갚음을 이르는 말.간명범의干名犯義명분(名分)을 거스르고 의리(義理)를 어기는 행위(行爲).객반위주客反爲主‘손이 도리어 주인(主人) 노릇을 한다.’는 뜻으로, 부차적(副次的)인 것을 주(主)된 것보다 오히려 더 중요(重要)하게 여김을 이르는 말.견리망의見利忘義눈앞의 이익(利益)을 보면 탐내어 의리(義理)를 저버림.망은배의忘恩背義은혜(恩惠)를 잊고 의리(義理)를 배반(背反)함.배부기가背夫棄家남편(男便)을 배반(背反)하고 집에서 나와 버림.배부도주背夫逃走남편(男便)을 배반(背反)하고 도망(逃亡)감.배은망.. 2025. 2.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