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禪詩/寒山詩集(寒山, 拾得, 豊干) 詩

한산시(寒山詩) 119

by 산산바다 2024. 3. 23.

산과바다

寒山詩集 : 한산(寒山) 습득(拾得) 풍간(豊干)

 

 

          한산시(寒山詩) 119

        《詩 三百三首 其一一九

 

田家避暑月(전가피서월) : 더울 때를 피해 온 시골집에서

斗酒共誰歡(두주공수환) : 한 말 술 누구와 함께 즐길까?

雜雜排山果(잡잡배산과) : 이런저런 산 과실 늘어놓고서

疏疏圍酒樽(소소위주준) : 듬성듬성 술독들 둘러놓았네.

蘆莦將代席(노소장대석) : 거친 갈대로 자리를 대신하고

蕉葉且充盤(초엽차충반) : 술상 대신 파초 잎 펼쳐 놓았네.

醉後支頤坐(취후지이좌) : 술 취해 턱 괴고 앉아있자니

須彌小彈丸(수미소탄환) : 수미산이 총알보다 작아 보이네.

 

酒樽(주준) : 술독, 술 항아리

須彌(수미) : 수미산. 수미산은 고대 인도에서 세계의 한가운데에 높이 솟아 있다고 하는 산으로, 그 높이가 8만 유순(由旬: 1 유순은 4백리)이고 물속으로도 8만 유순이며, 가로의 길이도 또한 이와 같다고 했다. 큰 물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로도 쓰인다.

() : 지탱하다. 버티다. 괴다. ‘(:괴다)’로 쓴 자료도 있음

 

 

 

 

산과바다 이계도

'禪詩 > 寒山詩集(寒山, 拾得, 豊干) 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산시(寒山詩) 121  (0) 2024.03.23
한산시(寒山詩) 120  (0) 2024.03.23
한산시(寒山詩) 118  (0) 2024.03.22
한산시(寒山詩) 117  (0) 2024.03.22
한산시(寒山詩) 116  (0) 2024.03.2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