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과바다
선사의 선시
虛應堂普雨(허응당보우) (1509~1565)의 禪詩 (1)~(10)
● 虛應堂普雨(허응당보우) (1509~1565. 法號 虛應堂 · 懶庵. 奉恩寺 住持)
허응당보우(虛應堂普雨, 1509~1565, 조선 중기의 승려)는 1530년(중종 25) 16세에 금강산 마하연에 입산, 1548년 강원감사 정만종의 천거로 명종의 어머니인 문정왕후의 신임을 얻어 봉은사 주지가 되었고, 1551년 문정왕후의 도움으로 선교양종제(禪敎兩宗制)를 부활시켜 승과를 실시했는데 이때 서산(西山)과 사명(四溟)이 각각 선종과 교종의 승파에 장원으로 뽑혔으며, 1565년 문정왕후가 죽자 유생들의 상소로 승직을 박탈당하고 제주도 귀양, 제주목사인 변협(邊恊)에게 피살당하였습니다. 저서로는 허응당집(虛應堂集)(3권)이 있으며 양주 회암사지에 그의 부도도 추정되는 무명의 부도가 있습니다.
보우가 활약했던 시대는 조선왕조의 숭유억불 정책이 확고하게 정착되면서 성리학이 극성했던 시기였다. 이때는 조광조, 이황, 이이와 같은 조선을 대표하는 유학자들이 활동했던 시기였다. 이러한 성리학 극성기에 명종의 모후인 문정대비(文定大妃)의 도움으로 오래전에 폐지된 불교의 제도를 부활하려는 보우를 유자들은 ‘요승’, ‘권승’이라며 철저하게 폄하했지만, 보우는 조선불교를 중흥시킨 뛰어난 고승이었다.
유가의 강력한 반대 속에서 불교부흥을 위해 매진했던 보우의 삶과 행적은 승려 한 개인이 전체 유림을 대상으로 싸운 한 판의 처절한 전투였다. 보우는 이 전투에서 비참하게 죽음을 당했지만, 선교양종과 승과를 복구하고, 도승제(度僧制)를 부활하는 등의 탁월한 업적을 이룩하였다.
출처 : 불교신문
조선불교의 중흥조. 스님은 일찍이 불학에 능통하였을 뿐만 아니라 시와 서에 능하여 사대부들과 교류하였다. 15세에 출가하여 마하연사, 표훈사 등 금강산 일대에서 20여 년간 수행하다 세상을 나와 호남지역을 유람하다 곳곳에서 자행되는 극심한 폐불과 법난을 몸소 겪고 양주 회암사로 돌아와 몸져누웠다. 병고를 떨치고 일어날 즈음 당시 봉은사의 명곡조사가 노환으로 물러나게 되자 문정대비는 보우대사를 천거 봉은사에 주석케 하였다. 문정대비의 후원을 얻은 보우대사는 쇠락해가는 조선불교를 중흥하기 위한 근본도량을 봉은사로 하고 이곳에서 중흥불사를 시작하였다.먼저 승려 5000여명 도첩을 주어 승려의 신분을 보장하였고, 선교양종을 부활하였으며, 승과고시를 실시함으로써 불교 인재발굴의 장을 마련, 서산*사명과 같은 당대의 고승을 배출할 수 있었다. 스님은 시문에 능하였고, 불교에 있어서는 선과 교에 탁월한 식견을 갖추어「선교일체론」을 주장하였으며, 유불선(孺佛仙) 삼교에도 두루 통달하였다. 스님의 이러한 사상은 후학들이 편찬한 허응당 문집에 잘 나타나 있다. 조선 중기의 고승. 호는 허응(虛應) 또는 나암(懶庵), 보우는 법명이다.
가계 등은 미상이며, 15세에 출가하여 승려가 되었고, 그 뒤 금강산일대의 장안사(長安寺)·표훈사(表訓寺) 등지에서 수련을 쌓고 학문을 닦았다. 6년 동안의 정진(精進) 끝에 마음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법력(法力)을 얻었고, 그밖에도 대장경을 모두 섭렵하는 한편 <주역>도 공부하였다. 당시 그를 지도해준 스승이 누구였는지는 명확하게 나타나 있지 않으나 여러 가지 문헌을 종합해보면, 경기도 용문사(龍門寺)의 견성암(見性庵)에 있던 지행(智行)에게서 많은 영향을 받았음을 알 수 있다.
1548년(명종 3) 12월 봉은사(奉恩寺) 주지에 취임하여 제일 먼저 문정대비로 하여금 <경국대전>의 금유생상사지법 (禁儒生上寺之法)을 적용하여, 능침(陵寢)에 침입하여 난동을 부리고 물건을 훔친 유생들 중에서 가장 횡포가 심했던 황언징(黃彦澄)을 처벌하게 하였다. 뿐만 아니라, 봉은사와 봉선사(奉先寺)에는 방(榜)을 붙여 잡된 사람들의 출입을 금지시킴으로써 유생들의 횡포를 막게 하였다. 이러한 일은 조선시대 와서 처음 있는 일로서 유생들의 심한 반발을 사게 되었고 끝내는 이 문제가 조정에까지 비화되었다.
이때부터 문정대비·보우와 유생들 사이에는 치열한 암투가 전개되었다. 이후 문정대비로 하여금 선교 (禪敎) 양종을 다시 부활시키는 비망기(備忘記)를 내리게 함으로써 1551년 5월에는 선종과 교종이 다시 부활되었다. 선교 양종을 부활하라는 문정대비의 비망기가 내려진 뒤 6개월 사이에 상소문이 무려 423건이나 되었고, 역적 보우를 죽이라는 것이 75계(啓)나 되었다. 그러나 보우는 "지금 내가 없으면 후세에 불법(佛法)이 영원히 끊어질 것이다."라는 사명감과 신념을 가지고 불법을 보호하고 종단을 소생시키는 일에 목숨을 걸었다.
1565년 4월 7일에 문정대비가 죽고, 대비의 장례를 마친 유생들은 곧바로 보우의 배척과 불교탄압을 주장하는 상소문을 올렸다. 그 가운데 이이(李珥)가 <논요승보우소 (論妖僧普雨疏)>를 올려 그를 귀양 보낼것을 주장함에 따라 명종은 보우를 제주도로 귀양보낼 것을 허락하였다. 보우는 1565년 6월 12일에서 7월 28일 사이에 붙잡혀 제주도에 유배되었고, 제주목사 변협(邊協)에 의하여 죽음을 당하였다. 보우의 죽음이 서울에 알려진 것은 10월 15일이었다. 보우는 억불정책 속에서 불교를 중흥시킨 순교승으로 평가받고 있다. 또한 그는 선교일체론 (禪敎一體論)을 주창하여 선과 교를 다른 것으로 보고 있던 당시의 불교관을 바로잡았고, 일정설(一正說)을 정리하여 불교와 유교의 융합을 강조하였다.
저서로는 <허응당집(虛應堂集)>3권과 <나암잡저(懶庵雜著)>1권, <수월도량공화불사여환빈주몽중문답 (水月道場空花佛事如幻賓主夢中問答)>1권, <권념요록(勸念要錄)>1권 등이 있다.
(1) 開窓賞春(개창상춘) : 창문을 열고 봄 경치를 구경하며 즐김
春風吹黜竹房寒 ~ 竹房의 추위를 봄바람이 쫓아내니
轄開禪窓賞物歡 ~ 禪窓을 활짝 열고 기뻐하는 사물을 感賞한다.
氷泮喜聞深澗響 ~ 얼음 녹으니 시냇물의 소리 듣기 좋고
雪銷驚見遠山顔 ~ 눈 녹은 먼 山들의 그 얼굴도 놀랍구나.
靑歸巷柳嚬眉染 ~ 푸른빛은 버들을 찾아 찡그린 눈썹 물들이고
紅入園桃笑額班 ~ 붉은빛은 복사꽃에 드니 웃는 이마의 반점이다.
賞極飜然閑擧首 ~ 한껏 感賞하다가 다시 가만히 머리 들면
烟中蒼翠數峰巒 ~ 안개 속에 보이는 수많은 푸른 봉우리들.
(2) 見山茶花(견산다화) : 산다화를 보면서
齋餘仙洞訪雲中 ~ 齋를 마치고 구름 속 仙洞을 찾아가니
鶴老人歸菴自空 ~ 鶴은 늙고 사람은 돌아가 庵子는 절로 비었네.
唯有山茶花萬朶 ~ 오직 만송이 山茶花만 있어서
倚岩依舊笑春風 ~ 바위에 기대어 예전처럼 봄바람에 웃고 있구나.
* 산다(山茶) : 동백나무
(3) 遣興(견흥) : 흥취를 보내며
宇宙逍遙孰我當 ~ 누가 나처럼 宇宙를 逍遙할 것인가?
尋常隨意任彷徉 ~ 늘 기분대로 자유롭게 徘徊하노라.
石床坐臥衣裳冷 ~ 돌 寢床에 앉고 누우니 옷이 차갑고
花塢歸來杖屨香 ~ 꽃 언덕에 돌아오니 신발이 香氣롭구나.
局上自知閑日月 ~ 바둑판 위에서야 세월이 閑暇로움을 알겠거니와
人間那識擾興亡 ~ 인간 세상 興亡의 擾亂(요란)함을 어찌 알리오?
淸高更有常齋後 ~ 늘 하는 供養 뒤의 맑고 높은 氣運
一抹茶煙染夕陽 ~ 한 줄기 茶 煙氣가 夕陽을 물들이네.
(4) 高閑(고한) : 閑寂한 곳
庵在雲重處 ~ 庵子는 겹겹 구름 속에 있고
從來不設扉 ~ 本디 사립門도 없다네.
坮森含晩翠 ~ 늦 푸른 杉(삼)나무와
庭菊帶斜暉 ~ 저녁 햇살 어린 국화가 있나니.
木落經霜菓 ~ 서리 맞은 열매 떨어지고
僧縫過夏衣 ~ 스님은 여름 지난 옷을 꿰맨다.
高閑吾本意 ~ 아 閑寂함이 내 옛 뜻이거늘
吟賞自忘歸 ~ 돌아갈 길 잊고 詩 한 首 읊는다.
(5) 空溪(공계) : 빈 냇가에서
百萬人蹤絶 ~ 수많은 인적도 끊어지고
三祗客路窮 ~ 긴긴 세월 나그네 길도 끝이 나네.
落花浮碧淥 ~ 떨어진 꽃잎은 맑은 물에 떠가고
白日徹西東 ~ 빛나던 해는 동서로 통과하네.
* 普愚(1301~1382) : 고려 말의 승려. 공민왕의 신임으로 王師가 되었어나 신돈의 시기로 물러났다. 신돈의 사후 國師가 됨.
(6) 橋灘夜行(교탄야행) : 교탄을 밤에 가다
淸平杳無際 ~ 淸平은 아득하여 끝없고
日落且行舟 ~ 해지자 또 배를 타고 간다.
風高帆影疾 ~ 바람 세차니 돛대 그림자 빨라지고
月出水光幽 ~ 달뜨자 물빛 그윽하구나.
岸進邀烟棹 ~ 언덕으로 나가니 안개 속에 배를 맞이하고
灘鳴喚鷁頭 ~ 여울소리 뱃머리에 울려 퍼진다.
篷窓孤客思 ~ 船窓가 외로운 나그네 思念에 잠겼다.
夜裏轉驚秋 ~ 밤 되자 가을 깊어감에 새삼 놀란다.
(7) 寄醉仙(기취선) : 醉仙에게 주다.
<1>
百里關山棧道難 ~ 백리 관산 棧道는 險難해
不知行蓋若爲還 ~ 행차 가마 잘 되돌아갔는지 모르겠다.
澗邊丹桂香珠樹 ~ 개울가 붉은 桂樹나무는 香氣롭고
別後相思幾獨攀 ~ 헤어진 뒤 그리워 몇 番을 홀로 올랐던가.
<2>
初訪盟雲不下山 ~ 처음 찾아서 山을 내려가지 않는다고 구름에 盟誓하고는
如何未月返塵寰 ~ 어찌하여 한 달 못되어 塵世로 돌아가셨소.
莫懷澗愧林慚計 ~ 개울물과 숲에 부끄럽다 생각하지 마시고
須辦重來扣掩關 ~ 반드시 다시 와서 닫힌 門을 두드리도록 힘쓰시게나.
<3>
仙洞曾同上紫宮 ~ 仙洞에서 일찍이 함께 紫微宮(자미궁)에 오르니
夜深寒殿月䑃朧 ~ 밤 깊어 싸늘한 佛殿에 달빛 몽롱(䑃朧)하였네.
水晶簾外知誰共 ~ 수정주렴 밖으로 함께 온 분은 누구인지 아는가.
桂子風零雪上紅 ~ 桂樹열매 바람에 떨어져 눈 위에 붉어라.
<4>
淸平岑寂絶來賓 ~ 淸平山 적막하여 찾는 손님 끊기고
丹竈生涯日月新 ~ 丹藥 제조하던 생애가 날로 달로 새롭구나.
料得醉仙曾見去 ~ 짐작컨대 취선(醉仙)은 일찍 보고 갔기에
夢隨蝴蝶入雲頻 ~ 꿈속 나비 따라 자주 구름 속에 들어오시리라.
<5>
琴臺分石坐淸流 ~ 琴松臺 盤石 맑은 물가에 앉아서
笑執銀花當酒籌 ~ 웃으며 銀花를 잡고 술 마시려하니
定裏忽思君上洛 ~ 禪定 속에 홀연 그대 서울로 간 생각나서
計程今已弟兄遊 ~ 旅程 계산해보니 이미 兄弟들과 노닐고 있으리.
<6>
小資迷路墮官人 ~ 조잔한 바탕으로 길을 잃고 官人으로 타락하여서
俯仰無依泣海濵 ~ 굽어보고 우러러보며 依支할 곳 없어 바닷가에서 울었는데
那料醉仙飛折扎 ~ 어찌 짐작이나 하였으랴! 취선(醉仙)이 便紙 붙여와
得敎窮子免沈淪 ~ 窮한 사람 보잘것없는 꼴을 免하게 해 주셨구려.
<7>
琴臺上與映池中 ~ 琴松臺와 映池 속에는
桂子依前滿落紅 ~ 桂樹열매 예전처럼 붉게 가득 떨어져있네.
當日鶴邊同賞客 ~ 당시 鶴 곁에서 함께 감상하던 나그네
出雲空獨對香風 ~ 구름 벗어나자 부질없이 홀로 香氣로운 바람 맞네.
* 醉仙(취선) : 술에 취해서 세상사에 구애됨이 없는 사람을 멋스럽게 이르는 말
(8) 寄醉仙(기취선) : 醉仙에게 주다.
<1>
仙洞三更月 ~ 선동 삼경의 달
懷君意自新 ~ 그대 그리움 절로 새롭네.
帳空松鶴怨 ~ 휘장 비어 소나무의 鶴 원망하고
山寂雪猿嗔 ~ 山은 고요하니 눈(雪) 속에 원숭이 성을 내네.
望眼愁生眩 ~ 바라보던 눈(眼)은 시름에 아찔하고
來期恨隔春 ~ 온다는 期約 봄 지나야하니 恨스럽네.
移文今欲草 ~ 移文 지금 草案하려고 하니
莫作後周倫 ~ 뒤처져 求하는 무리는 되지 마시게.
<2>
自君離瀑下 ~ 그대 瀑布 아래를 떠나고 나서
盤石更無人 ~ 盤石에 다시 사람 없네.
仙洞關松月 ~ 仙洞은 소나무 달빛에 잠기고
天壇鎖玉塵 ~ 天壇은 눈 속에 갇혔구나.
詩書千卷客 ~ 詩書 千 卷을 지닌 客은
蔬笋一林身 ~ 채소와 죽순 먹고 숲속에 사는 신세다.
憶共琴臺話 ~ 琴松臺에서 함께 이야기 나누던 때 생각하니
千峯杜宇春 ~ 一千 봉우리에 봄을 알리는 두견새 소리 들린다.
* 醉仙(취선) : 술에 취해서 세상사에 구애됨이 없는 사람을 멋스럽게 이르는 말
(9) 寄醉仙(기취선) : 醉仙에게 주다.
以我山中計 ~ 내 山中의 계산으로
冥推世上情 ~ 世上 人情 조용히 따져보니
帝城忠孝重 ~ 임금 宮城에서 忠孝가 重要하고
仙洞石泉輕 ~ 仙洞 石泉은 가벼울 터라.
縱欲抽身臥 ~ 설령 몸을 빼내 눕고자 한다면
何如捧笏行 ~ 어찌하여 홀(笏)을 받들고자 하겠는가?
願君持此偈 ~ 바라건대, 그대 이 偈頌을 지녔다가
試問弟兼兄 ~ 試驗 삼아 兄弟에게 물어보시길.
* 醉仙(취선) : 술에 취해서 세상사에 구애됨이 없는 사람을 멋스럽게 이르는 말
(10) 寄醉仙(기취선) : 醉仙에게 주다.
淸平在仙洞 ~ 淸平山에 仙洞이 있어
地地皆花田 ~ 땅마다 모두가 꽃밭이네.
本無官賦稅 ~ 본래 관청 부역과 세금 없으니
那有差胥牽 ~ 어찌 아전 보내 끌고 갈 일 있겠나.
澗底種白芷 ~ 溪谷 깊이 백지심고
歸來松下眠 ~ 돌아와 소나무 아래서 잔다.
此樂世不有 ~ 이 즐거움 世間에는 있지 않기에
人間人少憐 ~ 世上사람 어여삐 여기는 이 적다네.
君獨慕眞隱 ~ 그대 유독 眞實한 隱士 사모하여
舍笏來飄然 ~ 벼슬 버리고 바람에 나부끼듯 왔네.
月夕話幽趣 ~ 달밤에 그윽한 興趣 이야기하고
丹竈生茶煙 ~ 부엌에 茶 끓이는 煙氣 일어나네.
奇遇豈偶爾 ~ 기이한 만남 어찌 偶然이겠는가.
宿誓喜相圓 ~ 묵은 맹서에 기꺼이 합쳐진 인연.
意擬堅靜節 ~ 고요한 절조 굳건히 하여서
共老靑山邊 ~ 靑山에 함께 늙어가겠다 생각하였건만
俄而覲省出 ~ 갑자기 父母 뵙겠다고 나섰는데
眨眼驚新年 ~ 눈 깜빡할 사이 새해 되었기에 놀라네.
夢極猿哀夜 ~ 원숭이 슬피 우는 밤에 꿈은 다하고
思煩鶴怨天 ~ 鶴 원망하는 하늘에 그리움으로 괴롭네.
早知使我苦 ~ 일찍 내가 괴로울 줄 알았다면
陳榻何下懸 ~ 陳蕃(진번)이 걸상을 어찌 걸고 내렸겠는가?
已過悔無益 ~ 이미 지난 일 後悔해도 無益하니
將來知待焉 ~ 앞으로 기다려야 함을 알아야하리.
後雖更入壑 ~ 뒷날 다시 골짜기로 들어오더라도
誰當肯展筵 ~ 누가 기꺼이 자리 펼쳐주겠는가?
林慚猶可忍 ~ 숲에 부끄러움 오히려 참을 만 하지만
澗愧情難捐 ~ 개울에 부끄러운 마음 떨쳐내기 어렵구나.
山靈頻扣戶 ~ 山神靈 자주 門 두드리며
請作移文篇 ~ 移文篇 지어 달라 請하기에
今磨墨數斗 ~ 只今 먹물 몇 말 갈아놓고
俯仰吟蹁躚 ~ 굽어보고 우러르며 왔다갔다 읊조리네.
願君知此意 ~ 바라건대, 그대 이 뜻을 알아서
火急還雲泉 ~ 急히 雲泉으로 돌아오시게.
* 醉仙(취선) : 술에 취해서 세상사에 구애됨이 없는 사람을 멋스럽게 이르는 말
산과바다 이계도
'禪詩 > 禪師들의 禪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虛應堂普雨(허응당보우)의 禪詩(선시) (21)~(30) (0) | 2022.11.08 |
---|---|
虛應堂普雨(허응당보우)의 禪詩(선시) (11)~(20) (0) | 2022.11.08 |
虛白明照禪師(허백명조선사)의 禪詩(선시) (11)~(15) (0) | 2022.11.08 |
虛白明照禪師(허백명조선사)의 禪詩(선시) (1)~(10) (0) | 2022.11.08 |
海峯有璣(해봉유기)의 禪詩(선시) (1)~(2) (0) | 2022.11.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