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과바다
선사의 선시
西山大師, 休靜大師, 淸虛休靜 (1520~1604)의 禪詩 (1)~(10)
● 西山大師, 休靜大師, 淸虛休靜 (1520~1604. 俗名은 崔汝信. 兒名 雲鶴.
本貫은 完山<全州>. 字 玄應, 號 淸虛. 法名 休靜. 平南 安州 出生.
壬辰倭亂 때 僧軍을 이끌고 平壤奪還作戰에 參加하여 功을 세웠다.
妙香山에 오래 머물렀기 때문에 妙香山人 또는 西山大師<別號>로 불린다)
서산대사(西山大師)[1520~1604]의 본관은 완산(完山)이며 속명은 최여신(崔汝信), 자는 현응(玄應), 호는 청허(淸虛), 법명은 휴정(休靜)이다. 별호는 서산대사·백화도인(白華道人)·풍악산인(楓岳山人)·두류산인(頭流山人)·묘향산인(妙香山人)·조계퇴은(曹溪退隱)·병로(病老) 등이다. 임진왜란 때 전국에 승첩을 돌려 승군을 조직하고 왜군과 싸워 큰 공을 세웠다.
* 활동 사항
서산대사는 1520년(중종 20) 평안도 안주에서 태어났다. 9세 때 어머니가 죽고 이듬해 어머니마저 사망하자 안주목사 이사증(李思曾)을 따라 서울로 옮겨 성균관에서 3년 동안 글과 무예를 익혔다. 과거를 보았으나 뜻대로 되지 않아 친구들과 같이 지리산의 화엄동(華嚴洞)·칠불동(七佛洞) 등을 구경하면서 여러 사찰에 기거하던 중 영관대사(靈觀大師)의 설법을 듣고 불법(佛法)을 연구하기 시작하였다.
그곳에서 『화엄경(華嚴經)』·『원각경(圓覺經)』·『능엄경(楞嚴經)』·『유마경(維摩經)』·『반야경(般若經)』·『법화경(法華經)』 등을 읽으며 교리를 탐구하던 중 깨달은 바 있어 스스로 시를 짓고 삭발한 다음 숭인장로(崇仁長老)를 스승으로 모시고 출가하였다. 1540년 수계사(授戒師) 일선(一禪), 증계사(證戒師) 석희(釋熙)·육공(六空)·각원(覺圓), 전법사(傳法師) 영관을 모시고 계(戒)를 받았다. 그 뒤 영관으로부터 인가를 받고 각지를 떠돌며 수행에만 전념하다가 1549년(명종 4) 승과(僧科)에 급제하였고, 대선(大選)을 거쳐 선교양종판사(禪敎兩宗判事)가 되었다.
1556년 선교양종판사직이 승려의 본분이 아니라며 물러나 금강산·두륜산·태백산·오대산·묘향산 등을 다니며 수행하였으며, 후학을 지도하였다.
1589년(선조 22) 『정감록(鄭鑑錄)』의 미신에 의하여 정여립(鄭汝立)이 역모(逆謀)를 꾀한 사건이 일어났는데, 역모에 가담한 요승 무업(無業)이 휴정과 유정(惟政)이 자신과 함께 역모에 가담하였다고 주장하여 투옥되었다가 무죄 석방되었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선조는 평양을 거쳐 의주로 피난하였다. 이때 선조는 묘향산으로 사신을 보내 나라의 위급함을 알리고 서산대사를 불렀다. 이에 서산대사는 전국에 격문을 돌려서 각처의 승려들이 구국에 앞장서도록 하였다. 이에 제자 처영(處英)은 지리산에서 궐기하여 권율(權慄)의 휘하에 들었고, 유정은 금강산에서 1,000여 명의 승군을 모아 평양으로 왔다. 서산대사는 1,500명의 의승을 순안 법흥사(法興寺)에 집결시키고 승군을 통솔하였으며, 명나라 군사와 함께 평양을 탈환하였다. 이후 선조가 서울로 돌아오자 묘향산으로 돌아가 나라의 평안을 기원하였다.
서산대사는 1604년 1월 묘향산 원적암(圓寂庵)에서 설법을 마치고 자신의 영정(影幀)을 꺼내어 그 뒷면에 “80년 전에는 네가 나이더니 80년 후에는 내가 너로구나[八十年前渠是我 八十年後我是渠]”라는 시를 적어 유정과 처영에게 전하게 하고 가부좌하여 앉은 채로 입적하였다. [네이버 지식백과] 서산대사(西山大師)
(1) 賈島(가도) : 人名 당나라 시인
黑白投身處 ~ 出家는 沙門(사문)이 몸 둘 곳이요
堆敲着字時 ~ 堆敲(퇴고)를 分明히 할 때라.
一生功與業 ~ 一生의 功과 業이
可笑苦吟詩 ~ 괴로이 詩만 읊나니 可笑롭구나.
가도(賈島, 779년~843년)는 당나라의 시인이다. 자는 양선(浪仙) 또는 낭선(閬仙)이다.
가도는 범양(范陽, 현 베이징 시) 사람으로 처음에는 진사 시험에 성공하지만 때려 치고 승려가 되어 법호를 무책이라고 불렀다. 이후에 낙양(洛陽)에 나와 한유(韓愈)에게 문장을 배웠고, 그 재주와 학식을 인정받아 환속해 진사로 뽑혔다. 835년에 장강 현(쓰촨성)의 주부가 되어, 841년에 보주사창참사가 되어 사호에 부임하라는 명을 받고, 부임 전에 쇠고기를 과식해 향년 65세의 나이로 죽었다.
송나라 시인 소동파는 맹교(孟郊)와 함께 ‘교한도수(郊寒島瘦)’라 불렀으며, 또 ‘퇴고(堆敲)’라는 말을 낳기도 하였다.
* 沙門(사문) : 머리를 깎고 불문에 들어 도를 닦는 사람. 곧 출가한 승려
* 퇴고(堆敲) : 詩文을 지을 때 字句를 여러 번 생각하여 고침
(2) 覺行大師(각행대사) : 각행대사
雲房高臥遠塵紛 ~ 禪房에 높이 누워 世上 어지러움을 멀리하고
只愛松風不閉門 ~ 다만 솔바람이 좋아서 禪房門을 열어 놓았네.
一柄寒霜三尺劍 ~ 서릿발 같은 三尺劍으로
爲人提起斬精魂 ~ 마음속의 精靈 모두 잘랐네.
僧兼山水三知己 ~ 스님과 山 그리고 물은 眞正한 세 親舊가 되고
鶴與雲松一世間 ~ 鶴과 더불어 구름과 소나무와 함께하는 世間이로다.
虛寂本心如不識 ~ 텅 비고 고요한 본래 마음을 얻지 못하면
此生安得此身閑 ~ 이 生에 어찌 이 몸이 閑暇함 얻으랴.
(3) 感興集古詩(감흥집고시) : 感興을 모은 古詩
天道分明人自昧 ~ 天道는 分明한데 사람 自身이 不足하고 어두워
功名得失漫欣悲 ~ 富貴功名과 득실에 어지러이 기뻐하고 또 슬퍼한다.
年當少日須思老 ~ 젊을 때 늙음을 생각하고
身在安時莫忘危 ~ 몸이 편할 때 危急함을 잊지 말라.
高祖宅中花似錦 ~ 한고조 劉邦(유방)의 뜰에 꽃은 緋緞(비단) 같았고
魏王堤畔柳如絲 ~ 魏王(위왕) 曹操(조조)의 못 둑의 실버들로 푸르렀다.
良辰美景忍虛負 ~ 좋은 철에 좋은 경치 헛되이 보내지 마라.
驟雨飄風無定期 ~ 소나기와 모진 바람 一定한 때 없나니.
(4) 回望淚沾巾(회망루첨건) : 돌아보며 手巾에 눈물 적시네.
愛國憂宗社 ~ 나라를 사랑하고 종사를 걱정함엔
山僧亦一臣 ~ 산승도 신하인데 다르겠는가.
長安何處是 ~ 임금 계신 곳 그 어디 메인고
回望淚沾巾 ~ 돌이켜 바라보니 눈물만 하염없네.
종교인으로서의 대사의 색즉공(色則空)이요 공즉생(空則色)의 경지를 말하고 있으나 그는 신앙인으로서 그친 것이 아니요, 우국의사(憂國義士)이기고 했다.
(5) 講圓覺(강원각) : 圓覺經을 講論하면서
廓然虛豁豁 ~ 텅 비고 확 트였으니
心口絶商量 ~ 마음과 입에 어떤 생각도 끊었네.
可憐常寂土 ~ 가련하도다 恒常 고요한 이 땅을
終作是非場 ~ 끝내 시비의 장이되다니.
白日雷聲動 ~ 밝은 해 비치는데 우레 소리 진동하여
碧潭驚老龍 ~ 푸른 못에 늙은 龍을 놀라게 하네.
淸風吹鷲嶺 ~ 맑은 바람은 영취산 고개로 불어오는데
明月上圭峯 ~ 밝은 달이 규봉에 솟아올랐네.
(6) 顧影有感(고영유감) : 물에 비친 모습을 보고
一別萱堂復 ~ 어머님 한번가신 후 돌아오시지 않고
滔滔歲月深 ~ 세월은 도도히 많이도 흘렀다.
老兒如父面 ~ 늙어 갈수록 아버님 얼굴을 닮아가
潭底忽驚心 ~ 蓮 못을 내려 보다 나도 몰래 깜짝 놀란다.
(7) 讀罷楞嚴(독파능엄) : 능엄경을 읽고 읊은 시
風定花猶落 ~ 바람은 고요하나 꽃은 오히려 떨어지고
鳥鳴山更幽 ~ 새가 우니 山은 더욱 그윽하네.
天共白雲曉 ~ 하늘은 흰 구름과 함께 밝아 오는데
水和明月流 ~ 물은 밝은 달과 더불어 흘러만 가네.
風靜花猶落(풍정화유락) : 바람 자도 꽃은 오히려 지고
鳥鳴山更幽(조명산갱유) : 새 울어도 산은 더욱 그윽하네.
天共白雲曉(천공백운효) : 하늘과 더불어 흰 구름 밝아오고
水和明月流(수화명월류) : 물은 밝은 달과 함께 흘려만 가네.
(8) 哭金居士女(곡김거사녀) : 金居士 女를 곡하며
一色通天海 ~ 햇빛은 바다 끝이며 하늘 끝에 닿는데
龐翁哭一聲 ~ 방씨 老人 哭하는 소리.
蛻形先父去 ~ 형체를 벗고 아비에 앞서 가니
雖與說無生 ~ 뉘와 함께 無生을 얘기하리.
(9) 哭亡僧(곡망승) : 죽은 중을 哭하며
來與白雲來 ~ 그대는 흰구름과 같이 와서
去隨明月去 ~ 밝은 달과 함께 가는구나.
去來一主人 ~ 오고가는 世上의 한 主人이니
畢竟在何處 ~ 필경 어딘가에 가 있으리.
(10) 過柯亭有感(과가정유감) : 柯亭을 지나며 느끼는 感懷
相思不見幾千里 ~ 그리워하면서 만나지 못함이 몇 千 里던가
君我年同五十三 ~ 그대와 나 同甲내기로 쉰셋이 아니던가.
身在北山眠竹枕 ~ 몸은 북산에 누워 대나무 목침을 베고 자나
心隨明月到江南 ~ 마음은 밝은 달 따라서 江南으로 간다네.
산과바다 이계도
'禪詩 > 禪師들의 禪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西山大師, 休靜大師, 淸虛休靜의 禪詩(선시) (21)~(30) (0) | 2022.11.01 |
---|---|
西山大師, 休靜大師, 淸虛休靜의 禪詩(선시) (11)~(20) (0) | 2022.11.01 |
四溟惟政(사명유정)의 禪詩(선시) (61)~(73) (0) | 2022.11.01 |
四溟惟政(사명유정)의 禪詩(선시) (51)~(60) (0) | 2022.11.01 |
四溟惟政(사명유정)의 禪詩(선시) (41)~(50) (0) | 2022.11.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