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 산에는 꽃이 피네3779

피라칸타 Pyracantha 산과바다 피라칸타 Pyracantha 2023. 10. 9. 담음 * 지난 5월 초에 꽃을 담았었는데  * 피라칸타를 피라칸사, 피라칸사스라고도 하는데 정명은 피라칸타(Pyracantha)이군요. * 가을에 붉은 열매가 다닥다닥 붙어 옹기종기 모여 있고 열매에 꽃받침을 붙인 채로 빨갛게 익어감이 예뻐 보이는군요.             피라칸타 Pyracantha angustifolia (Franch.) C. K. Schneid.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 장미목 >장미과 >피라칸타속(Pyracantha) 어린 가지에 연한 황색의 짧은 털이 밀생한다. 줄기는 높이 1~2m이고 가시가 있으며 가지가 많이 갈라져서 엉키고 수관(樹冠)이 둥글다.잎은 호생 하고 두꺼우며 선상 타원형이고 길이 5.. 2023. 10. 9.
알방동사니 Smallflower flatsedge 산과바다 알방동사니 Smallflower flatsedge 2023. 10. 9. 담음 습지 풀밭에서 자람을 담음       알방동사니 Cyperus difformis L.      속씨식물문 >외떡잎식물강 >벼목 >사초과 >방동사니속(Cyperus) 묵정논, 얕은 못이나 습지 가장자리, 하천 변, 양지, 약습(弱濕)~과습(過濕)에 서식한다.줄기는 한해살이로 식물체가 연약하며 향은 없다. 뿌리줄기(根莖)가 없고 수염뿌리가 있다. 삼각형 횡단면 가장자리가 물결형이 아니다. (비교: 병아리방동사니는 물결형이며, 너도방동사니는 뿌리줄기가 있다.)잎은 황갈색 잎집(葉鞘)이 있고, 꽃대보다 아주 짧다.꽃은 8~10월에 피며, 둥근 구슬모양(球狀)의 꽃차례(花序)로 어두운 자갈색을 띤다. 비늘조각(鱗片) 끝은 둥글.. 2023. 10. 9.
올챙이고랭이 Roxburgh‘s Bulrush 산과바다                 올챙이고랭이 Roxburgh‘s Bulrush                   2023. 10. 8. 담음                   습지 풀밭에서 자람을 담음                   * 세모고랭이와 비슷한데 줄기가 세모져서 올챙이고랭이와 다르군요.                  * 송이고랭이와 비슷한데 줄기가 세모져서 다르군요.           올챙이고랭이 Scirpus juncoides Roxb.          속씨식물문 >외떡잎식물강 >사초목 >사초과 >고랭이속(Scirpus) 습지에서 자란다. 줄기는 높이 40~50cm로 가늘고 녹색이다.원대는 모여나고 마디와 잎이 없으며 밑부분에 잎집이 있다. 잎집은 막질(膜質:얇은 종이처럼 반투명한 것)이.. 2023. 10. 9.
파대가리 green kyllinga 산과바다 파대가리 green kyllinga 2023. 10. 8. 담음 * 야산 기슭 습지 풀밭에서 자람을 담음 * 파대가리와 알방동사니 비교(모양이 비슷) 종사초과 >속소수 모양소수 길이파대가리방동사니속타원상 피침형 녹색 머리모양꽃차례 1개씩3~3.5mm 알방동사니방동사니속좁은 난형~선형 눌린 공모양 다닥다닥 조밀2~8mm× 1~1.2mm       파대가리 Kyllinga brevifolia Rottb.      속씨식물문 >외떡잎식물강 >사초목 >사초과 >방동사니속(Cyperus) 풀밭의 습지에서 흔히 자란다. 줄기는 높이 5-20cm이며 곧게 서고 줄기가 뻗으면서 마디에서 화경과 뿌리가 자라며 적자색 비늘조각으로 덮이고 밑부분에서 잎이 자란다.잎은 길이 5~8cm, 폭 2~3mm이며 엽초는 갈색.. 2023. 10. 9.
자귀풀 Indian jointvetch 산과바다 자귀풀 Indian jointvetch 2023. 10. 8. 담음 자귀풀은 차풀과 잎 모양이 비슷하여 구분하기 쉽지 않은데 꽃 모양이 달라 구분이 되는군요. * 자귀풀은 분절이 있고 나비모양의 황색꽃이 피는데 * 차풀은 분절이 없고 황색꽃잎이 5개이고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으로 구분 되는군요. 자귀풀 Aeschynomene indica L.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장미목 >콩과 >자귀풀속(Aeschynomene) 전국 각처의 낮은 지대의 밭둑에나 습지에 난다. 줄기는 높이 50-80cm로서 줄기는 연하고 윗부분은 속이 비어 있으며 흔히 원줄기, 엽축 및 화경에 반구형의 기반이 있는 잔털이 드문드문 돋는다. 잎은 엽병이 짧고 20-30쌍의 소엽으로 구성된 1회우상복엽이며 소엽은 선상 타원형.. 2023. 10. 9.
쥐꼬리망초 Water willow 산과바다 쥐꼬리망초 Water willow 2023. 10. 8. 담음 * 꽃이 지고 난 후 수상꽃차례가 쥐꼬리 닮아서 쥐꼬리망초가 되었군요. * 화관은 보통 연한 붉은색으로 보이는데 흰색으로 된 흰쥐꼬리망초(16. 9. 6)도 있더군요. 쥐꼬리망초 Justicia procumbens L. 쌍떡잎식물강 >속씨식물목 >쥐꼬리망초과 >쥐꼬리망초속(Justicia) 한해살이풀로 산기슭이나 길가에서 자란다. 줄기는 밑 부분이 옆으로 자라고 윗부분이 곧게 서며 높이가 10∼40cm이고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마디가 굵고 단면은 사각형이며 잔털이 있다. 잎은 마주나고 타원 모양의 바소꼴이며 길이가 2∼4cm이고 양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잎자루는 길이가 5∼15mm이다. 꽃은 7∼9월에 피고 줄기와 가지 .. 2023. 10. 9.
수염가래꽃 Chinese Lobelia 산과바다 수염가래꽃 Chinese Lobelia 2023. 10. 8. 담음 * 5월부터 10월 상순까지도 오랫동안 꽃을 볼 수 있더군요. * 5~6월에 피는 꽃은 흰색으로 보이고 그 후에는 연한 자주색 꽃잎 5장이 좌우상칭으로 예쁘게 보이더군요. * 한글명 수염가래꽃은 ‘수염+가래+꽃’의 합성어다.           수염가래꽃 Lobelia chinensis Lour.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초롱꽃목 >초롱꽃과 >숫잔대속(Lobelia) 논두렁 또는 습지에 난다. 줄기는 높이 3~15cm이고 옆으로 뻗으며 군데군데에서 뿌리가 내리고 옆으로 선다.잎은 어긋나기 하여 2줄로 배열되며 엽병이 없고 피침형 또는 좁은 타원형이며 길이 1~2cm, 폭 2~4mm로서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2023. 10. 9.
메밀 Buckwheat 산과바다 메밀 Buckwheat 2023. 10. 8. 담음 * 산기슭 습지 풀밭에서 자라는 야생종을 담음 메밀 Fagopyrum esculentum MOENCH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석죽목 >마디풀과 >메밀속(Fagopyrum) 한해살이풀(1년생 식용작물)로 각지에서 재배한다. 밭에서 재배한다. 줄기의 원줄기는 가지가 갈라지고 높이 40~70cm로서 속이 비어 있으며 연한 녹색이지만 흔히 붉은빛이 돌고 마디마다 부드러운 털이 있다. 잎은 어긋나기하고 엽병이 길며 심장형으로서 끝이 뾰족하고 양쪽 기부 열편의 끝도 뽀족하며 길이 3~10cm이고 털이 없으며, 잎집의 탁엽은 엷은 막질이고 매우 짧다. 꽃은 7~10월에 피며 총상꽃차례는 잎겨드랑이와 가지 끝에서 나오고 꽃자루 밑에 작은 포가 있다. 화피.. 2023. 10. 9.
수강아지풀(가라지조) Bottle grass , Green foxtail millet 산과바다 수강아지풀(가라지조) Bottle grass , Green foxtail millet 2023. 10. 7. 담음 * 길가 풀밭에서 자람을 담았는데 강아지풀과 모양이 같아 보이는데 강아지풀에 비해 이삭이 훨씬 길고 키가 1m 이상 정도로 커서 수강아지풀(가라지조)로 올린다. 조와 강아지풀의 잡종으로 가라지조라고도 하는군요. 수강아지풀 Setaria x pycnocoma (Steud.) Henrard ex Nakai 속씨식물문 >외떡잎식물강 >벼목 >화본과 >강아지풀속(Setaria) 들이나 황무지에서 자라며 높이 40∼150cm이다. 한해살이풀로 조와 강아지풀의 잡종이다. 잎은 줄 모양으로 납작하고 털이 없으며 길이 5∼20cm, 너비 5∼18mm이다. 잎몸은 강아지풀보다 더 넓고 잎혀는 1줄로.. 2023. 10. 8.
큰방가지똥 prickly sowthistle 산과바다 큰방가지똥 prickly sowthistle 2023. 10. 7. 담음 * 큰방가지똥은 방가지똥보다 식물체 전체가 크며, 특히 잎가장자리 톱니 끝부분은 가시처럼 변함이 특이하고 아주 억세다. 꽃잎은 잘 보이지 않으나 설상화의 끝부분이 노란색으로 보여 엉겅퀴속은 아님을 알 수 있고 같은 방가지똥속 식물인 방가지똥은 꽃줄기에 선모가 있는데 큰방가지똥은 선모가 없어 구분이 되는군요. 큰방가지똥 Sonchus asper (L.) Hill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초롱꽃목 >국화과 >방가지똥속(Sonchus) 유럽 원산의 귀화식물로 길가나 빈터에 흔하게 자라는 한해 또는 두해살이풀이다. 높이 50∼100cm이다. 줄기는 곧게 서고 자줏빛을 띤 녹색으로 속이 비어 있으며 자르면 흰 즙이 나온다. 뿌리에.. 2023. 10. 8.
주름잎 Asian mazus 산과바다 주름잎 Asian mazus 2023. 10. 7. 담음 * 10월인데도 꽃이 보이는군요. * 곧게 서고 기부에서 가지가 뻗지 않으므로 선주름잎과 구별된다. 주름잎 Mazus pumilus (Burm.f.) Steenis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통화식물목 >현삼과 >주름잎속(Mazus) 논·밭둑이나 습지 등에서 흔하게 자란다. 줄기는 높이 5-20cm이고 밑에서 몇 개의 원줄기가 자란다. 잎은 마주나기하고 거꿀달걀모양 또는 긴 타원상 주걱모양이고 원두이며 밑부분이 흘러 엽병과 더불어 길이 2~6cm, 폭 8~15mm로서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약간 있다. 엽병은 위로 가면서 짧아지고 잎에 주름살이 지는 특색이 있어 주름잎이란 이름이 생겼다. 꽃은 5~8월에 피고 연한 자주색이며 원줄기 끝에 .. 2023. 10. 8.
별꽃아재비 Kew weed 산과바다 별꽃아재비 Kew weed 2023. 10. 7. 담음 * 털별꽃아재비는 별꽃아재비에 비해 전체에 부드러운 털이 더욱 밀생하고, 꽃은 별꽃아재비보다 1개월이 늦은 6~9월에 피고, 설상화와 여윈열매에 깃털이 있는 것으로 구분하는군요. * 별꽃아재비는 가지를 치고 윗부분에 털이 있군요. 별꽃아재비 Galinsoga parviflora Cav.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초롱꽃목 >국화과 >별꽃아재비속(Galinsoga) 한국, 북아메리카, 유럽, 일본, 월남 등지에 알려졌으며, 국내에서는 1976년에 보고 된 바 있다. 털별꽃아재비(Galinsoga ciliata)에 비하여 전체가 가냘프고 혀꽃에 관모가 없으며 총포조각에 샘털이 없고 통상화의 관모는 끝이 뭉툭하고 거꿀피침모양이며 혀꽃의 설상부가 .. 2023. 10. 8.
코스모스 Cosmos 산과바다 코스모스 Cosmos 2023. 10. 7. 담음 * 코스모스는 가을꽃으로만 각인되었는데 5월부터 10월까지도 오랜 기간 꽃이 보이는군요. * 꽃의 색깔이 흰색 분홍색 붉은색이 기본종인데 공원 등지에 식재된 개량종들은 다양한 색깔로 보이더군요.      코스모스 Cosmos bipinnatus Cav.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초롱꽃목 >국화과 >코스모스속(Cosmos) 멕시코가 원산지이며 관상용으로 흔히 심는다. 줄기는 높이가 1∼2m이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털이 없다. 잎은 마주나고 2회 깃꼴로 갈라지며, 갈라진 조각은 줄 모양이다.꽃은 6∼10월에 피고 가지와 줄기 끝에 두상화(頭狀花:꽃대 끝에 꽃자루가 없는 작은 꽃이 많이 모여 피어 머리 모양을 이룬 꽃)가 1개씩 달린.. 2023. 10. 8.
돌콩 Glycine soja 산과바다 돌콩 Glycine soja 2023. 10. 7. 담음 지난 9월 초에 꽃을 담았었는데 꼬투리가 달려 익어가는군요. * 돌콩 새콩 새팥의 비교 종 속 꽃 색 꼬투리 돌콩 콩속 홍자색 콩 열매 모양 새콩 새콩속 연한 자주색 콩 열매 모양 새팥 동부속 연한 황색 팥 열매(긴 원통 모양) 돌콩 Glycine soja Siebold & Zucc.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장미목 >콩과 >콩속(Glycine) 줄기는 덩굴성으로 길이가 2m에 달하며 밑으로 거슬러 난 갈색털이 있다. 잎은 어긋나기하고 엽병은 길이 7~16cm로서 길며 우상(羽狀) 3출복엽이며 짧은 털이 있다. 소엽은 타원상 피침형이고 길이 3~8cm, 폭 10~25mm로서 둔두이며 원저 또는 쐐기모양이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탁엽은 넓.. 2023. 10. 8.
새박 Japanese melonette 산과바다 새박 Japanese melonette 2023. 9. 30. 담음 * 지난 9월 초에 꽃이 1개씩 잎겨드랑이에서 나와 잎 넘어로 빼꼼 내다보며 나를 반겨 주는듯하더니 벌써 박이 주렁주렁 매달려 녹색이던 열매가 회백색으로 익어가는군요. * 제주도와 남부지방에서 자란다는 새박이 청주에서도 발견되는군요. * '새알처럼 생긴 박'이라는 뜻에서 이름이 유래되었다는군요. 새박 Melothria japonica Maxim.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박목 >박과 >새박속(Melothria) 한국에서는 제주도의 물가나 남부지방에 분포한다. 줄기는 가늘며 덩굴손으로 물체를 감고 오른다. 덩굴손이 잎과 마주난다. 잎은 어긋나며 세모진 달걀형으로 밑부분은 심장 모양이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길이 3~6cm, .. 2023. 10. 8.
붉은서나물 Erechtites hieraciifolia 산과바다 붉은서나물 Erechtites hieraciifolia 2023. 10. 7. 담음 * 흰색의 관모가 달려 풍산포(風散布) 준비를 하고 있음이 아름답군요. * 붉은서나물과 주홍서나물의 비교 종 두상화 잎모양 꽃자루 잎자루 붉은서나물 흰색에 가깝다. 결각이 심하다. 꼿꼿하다. 없다. 주홍서나물 주홍색이다. 결각이 약하다. 아래로 굽어있다. 있다. 붉은서나물 Erechtites hieracifolia (L.) Raf. ExDc.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초롱꽃목 >국화과 > 붉은서나물속(Erechtites) 산기슭의 그늘진 곳에서 자라는 1년생 초본으로 북아메리카 원산이다. 북반구의 온대지방과 호주, 뉴질랜드 등지에 귀화하여 자라며 도심지 주변에서도 흔하게 볼 수 있는 대형 초본이다. 줄기는 1~.. 2023. 10. 8.
배초향 Korean mint 산과바다 배초향 Korean mint 2023. 10. 7. 담음 * 꽃피는 철 지나서 꽃은 볼품이 없군요. * 꽃이 비슷한 꽃향유는 한쪽으로만 꽃이 핌이 배초향과 다르고 줄기가 네모지고 성숙한 배초향을 곽향이라고 하는군요. 배초향 Agastache rugosa (Fisch. &Mey.) Kuntze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통화식물목 >꿀풀과 >배초향속(Agastache) 배초향속 식물로 여러해살이풀이다. 일명 방아풀, 방애잎, 또는 깨나물이라고도 하며 전체에서 강한 향기를 풍기는 방향성 식물이다. 양지쪽 자갈밭에서 자란다. 높이 40∼100cm이다. 줄기는 곧게 서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네모진다. 잎은 마주나고 달걀 모양이며 길이 5∼10cm, 나비 3∼7cm이다. 끝이 뾰족하고 밑은 둥글며.. 2023. 10. 8.
괭이밥 Creeping sorrel 산과바다 괭이밥 Creeping sorrel 2023. 10. 7. 담음 10월인데도 노란 꽃이 산듯하게 보이는군요. 괭이밥 Oxalis corniculata L.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쥐손이풀목 >괭이밥과 >괭이밥속(Oxalis) 밭이나 길가에 난다. 줄기는 많은 대가 나와 옆으로 또는 위를 향해 비스듬히 자라며 전체에 잔털이 있고 줄기는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뿌리의 원뿌리는 깊이 땅속으로 들어가고 그 위에서 많은 대가 나온다. 잎은 어긋나기 하며 긴 엽병 끝에서 3개의 소엽이 옆으로 퍼져 있으나 광선이 없을 때는 오므라든다. 소엽은 거꿀심장모양이고 길이와 나비가 각 1~2.5cm로서 가장자리와 뒷면에 원줄기와 더불어 털이 약간 있으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다. 꽃은 지름 8mm 정도로 황색이고 .. 2023. 10.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