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전체 글11016

여수 야경시티투어 산과바다 여수 야경시티투어 2013. 6. 3. 19:30-22:00(5,000원) 산과바다는 서산꽃님과 함께 여수엑스포역-국가산업단지-돌산대교-오동도분수-엑스포역 예약(여수시청홈페이지)을 하면 탑승하는데 안심이되고 비수기엔 그냥와서 17:00경 엑스포역 옆에서 탑승한다. 돌산공원에서 바라본 장군도(.. 2013. 6. 8.
붉은인동 Sempervirens 산과바다 붉은인동 Sempervirens2013. 5. 31. 담음영주선비촌 돌담과 냇가에 붉은색 꽃이 피어 아름다웠다.                붉은인동 Lonicera sempervirens L.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꼭두서니목 >인동과 >인동속 Lonicera 반상록 활엽 덩굴성 수목으로 한국의 전역에 분포하며 산이나 들에서 자란다. 줄기가 다른 물체를 감으면서 길이 5m까지 뻗는다. 줄기는 연한 초록빛 또는 분홍빛을 띠며, 거친 털이 빽빽히 나 있다. 잎은 마주나며 길이 3~8cm의 긴 타원형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늦게 난 잎은 상록인 상태로 겨울을 난다.꽃은 5∼8월에 잎겨드랑이에서 붉은색으로 핀다. 꽃자루가 없고 윤상에 수상화서로 모여 핀다. 꽃은 긴 원통형으로 길이.. 2013. 6. 2.
희방사(喜方寺)에 가보다. 산과바다 희방사(喜方寺)에 가보다. 2013. 5. 31. 둘둘모임-박범익 강경원 이계도(6명) 경북 영주시 풍기읍 수철리 소백산에 있는 절. 희방사(喜方寺) 대한불교조계종 제16교구 본사인 고운사(孤雲寺)의 말사이다. 643년(선덕여왕 12)에 두운(杜雲)이 창건하였으며 1850년(철종 1) 화재로 소실되어 강월(江月)이 중창하였으나 6·25 때 4동 20여 칸의 당우와 사찰에 보관되어오던 『월인석보』권1과 권2의 판본(版本)도 함께 소실되었다. 그러나 주존불(主尊佛)만은 무사하여 두운이 기거하던 천연동굴 속에 봉안하였다가 1953년에 주지 안대근(安大根)이 중건한 뒤 대웅전에 봉안하였다. 문화재로는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26호인 동종(銅鍾)과 누구의 것인지 알 수 없는 높이 1.5m와 1.3m의 부.. 2013. 6. 2.
소수서원과 선비촌을 다녀오다. 산과바다 허~이~! 벗님아 한눈팔지마! 물에 빠질라......! 다리로 건너지 않고 벗님들이 징검다리로 건너 간다는군요. 영주 순흥면 소수서원과 선비촌을 다녀오다. 2013. 5. 31. 둘둘모임-박범익 강경원 이계도(6명) 경북 영주시 순흥면(順興面)에 위치 소수서원에서 입장료를 지불하고 서원을 .. 2013. 6. 2.
부석사(浮石寺)에 다녀오다. 산과바다 부석이 있어서 부석사라 했는가 보다. 부석사(浮石寺)에 다녀오다. 2013. 5. 31. 둘둘모임-박범익 강경원 이계도 (6명) 경북 영주시 부석면에 위치 부석사는 우리나라 화엄종의 본찰로 초조인 의상 이래 그 전법 제자들에 의해 지켜져 온 중요한 사찰이다. 신라의 불교는 눌지왕 때에 들어와 법흥왕 때에 수용된 뒤에 크게 발전하였다. 부석사 오르는 길이 아름답군요. 중국을 통하여 전입된 교학 불교는 신라 불교로 하여금 종파성을 띠게 하였는데 가장 특징적으로 운위되는 종파는 화엄종과 법상종이다. 그 가운데에서도 전법 사실이 뚜렷하고 종찰이 확실한 것은 의상의 화엄종이다. 의상은 676년 부석사에 자리 잡은 뒤 입적할 때까지 이곳을 떠나지 않았고 그의 법을 이은 법손들 역시 마찬가지였다. 부석사 원.. 2013. 6. 2.
백화로 변이된 식물 산과바다 백화로 변이된 식물 줄기를 감싼 잎줄기가 특이하고..... 2013. 5. 28. 상단산성 축대아래를 돌면서 담음(북동방향) 산과바다 이계도 2013. 6. 1.
소백산(小白山 1,440m 비로봉)에 오르다 산과바다 소백산(小白山 1,440m 비로봉)에 오르다 2013. 5. 30. 둘둘모임-박범익 강경원 이계도 (6명) 충북 단양군-경북 영주시 풍기에 위치 야생화 탐사차 다시 올라보고싶군요. 일행들과 등산하다보니 옆으로 나설 수가 없더군요. 삼가탐방지원센터-삼가야영장-비로사-비로봉-연화봉 방향 능.. 2013. 6. 1.
쇠물푸레나무 Fraxinus rhynchophylla 산과바다 쇠물푸레나무 Fraxinus rhynchophylla 2013. 5. 2. 담음 꽃잎이 이팝나무와 비슷하게 생겼는데 쇠물푸레나무는 꽃술이 뚜렷하게 보인다. 이화령에서 5월 2일 담았는데 동정하지 못하다가 이제야 올리는데 맞는지 모르겠다. 이화령에서 바라본 연풍방향의 도로 백두대간이 복원된 이화령 터널 쇠물푸레나무 Fraxinus sieboldiana 속씨식물 >쌍떡잎식물강 >용담목 >물푸레나무과 >물푸레나무속 물푸레나무과(―科 Oleaceae)에 속하는 낙엽교목. 중부 이남에서 흔히 자라며 키는 10m 정도이다. 잎은 마주나는데 5~9장의 잔잎으로 이루어져 있다. 꽃은 5월경에 흰색 꽃이 새 가지의 끝이나 잎겨드랑이에 원추(圓錐)꽃차례로 피며 꽃받침과 꽃잎은 짧고 가늘다. 열매는 9월에 홍자색으.. 2013. 5. 29.
아까시나무 False acasia 산과바다 아까시나무 False acasia2013. 5. 28. 담음상당산성을 돌면서 아까시나무 꽃향에 취해 어려운줄 모르고 한바퀴 돌아온다.양봉의 주 밀원이 되기도 했는데 지난해에 벌들이 다 죽었나?            아까시나무 Robinia pseudo acacia L.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장미목 >콩과 >아까시나무속(Robinia) 산과 들에서 자란다. 높이 약 25m이다. 나무껍질은 노란빛을 띤 갈색이고 세로로 갈라지며 턱잎이 변한 가시가 있다. 잎은 어긋나고 홀수 1회 깃꼴겹잎이다. 작은 잎은 9∼19개이며 타원형이거나 달걀 모양이고 길이 2.5∼4.5cm이다. 양면에 털이 없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꽃은 5∼6월에 흰색으로 피는데, 어린 가지의 잎겨드랑이에 총상꽃차례로 .. 2013. 5. 29.
은방울꽃 Convallaria keiskei 산과바다 은방울꽃 Convallaria keiskei 2013. 5. 28. 담음 은방울꽃 Convallaria keiskei Miq. 속씨식물 > 외떡잎식물강 > 아스파라거스목 > 은방울꽃과 > 은방울꽃속 백합과(百合科 Liliaceae)에 속하는 외떡잎 다년생초. 뿌리줄기가 옆으로 기면서 자라고 땅 위에는 잎과 꽃자루만 나온다. 잎은 2.. 2013. 5. 28.
찔레꽃 Baby Rose 산과바다 찔레꽃 Baby Rose2013. 5. 28. 담음            찔레꽃 Rosa multiflora Thunb.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장미목 >장미과 >장미속(Rosa) 찔레나무, 가시나무라고도 하며 학명은 Rosa multiflora Thunb.이다. 찔레나무·가시나무라는 이름은 모두 찔리는 가시가 있는 나무라는 뜻이다.키는 2m 정도 자란다. 줄기와 어린 가지에 잔털이 많고 갈고리 같은 가시가 달려 있지만 없는 경우도있다.잎은 5~9장의 잔잎으로 이루어진 겹잎으로, 잔잎은 길이가 2~8㎝ 정도이며 가장자리에는 톱니들이 있다. 잎자루 밑에 턱잎[托葉]이 있고, 턱잎 가장자리에는 빗살 같은 톱니가 있으며, 턱잎의 아래쪽은 잎자루와 합쳐져 있다.꽃은 5월경에 흰색 또는.. 2013. 5. 28.
백당나무 Sargent Viburnum 산과바다 백당나무 Sargent Viburnum2013. 5. 28. 담음꽃의 가장자리에 하얀 장식꽃이 예쁘군요. 한그루인데 잎모양이 달라 보이는군요.            백당나무 Viburnum opulus L. var. calvescens (Rehder) H. Hara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산토끼목 >산분꽃나무과 >산분꽃나무속(Viburnum) 접시꽃나무라고도 한다. 산지의 습한 곳에서 자란다. 높이 약 3m이다. 나무껍질은 불규칙하게 갈라지며 코르크층이 발달한다. 새 가지에 잔털이 나며 겨울눈은 달걀 모양이다.잎은 마주나고 넓은 달걀 모양이며 길이와 나비가 각각 4∼12cm이다. 끝이 3개로 갈라져서 양쪽의 것은 밖으로 벌어 지지만 위쪽에 달린 잎은 갈라지지 않으며, 가장자리에.. 2013. 5. 28.
각시마 Dioscorea tenuipes 산과바다 각시마 Dioscorea tenuipes 2013. 5. 28. 담음 각시마는 호생(互生) 잎이 어긋나기 이고 참마는 대생(對生) 잎이 마주나기 로 구분하는군요. 각시마 Dioscorea tenuipes Fr. et Sav. 피자식물문 >외떡잎식물강 >백합목 >마과 덩굴성 다년초로 근경은 옆으로 벋고 갈라지며 줄기는 다른 물체.. 2013. 5. 28.
제비꿀 Thesium chinense 산과바다 제비꿀 Thesium chinense 2013. 5. 28. 담음 꽃잎은 없고 꽃받침이 보이는데 아주 작아 잘 보이지 않는군요. 한방에서 꿀풀과 함께 말린 것을 한약재 하고초(夏枯草)라 한답니다. 제비꿀(夏枯草) Thesium chinense Turcz.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단향목 >단향과 >제비꿀속(Thesium) 양지의 풀밭에서 자란다. 다른 식물의 뿌리에 반 기생하는 여러해살이 풀이다. 높이 10∼25cm이고 1개 또는 여러 대가 나오고 털이 없으며 분백색이 돈다. 잎은 어긋나고 선형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지만 3개로 갈라지기도 한다. 꽃은 양성화이고 5∼8월에 피며 잎겨드랑이에 1개씩 달린다. 포는 1개, 작은 포는 2개이다. 꽃잎은 없고 꽃받침은 밑쪽이 통처럼 생기며 윗부분이 4∼.. 2013. 5. 28.
계족산 장동산림욕장 황톳길을 걸으며 산과바다 계족산 장동산림욕장 황톳길을 걸으며 2013. 5. 26. 대전 대덕구 장동 산59에 위치 대 선배님들과 함께한 모임 (이영재님 윤혁중님부부 정의양님부부 오응식님부부 이덕규님부부 연규탁님 이계도 정석영님부부 서기석님부부 민병하님부부 17명 참석) * 칠순이 훨씬 넘은 고령에 정.. 2013. 5. 28.
원풍리 마애불상군(磨崖佛像群) 산과바다원풍리 마애불상군(磨崖佛像群)2013. 5. 24. 담음충북 괴산군 연풍면 신풍리에 위치     원풍리 마애불상군(磨崖佛像群)앞의 깨끗한 계곡물이 흐르고있다. 원풍리 마애불상군(磨崖佛像群)국가지정 보물 97호인 원풍리 마애불상군(磨崖佛像群)은 각기 다른 형상의 불상이 나란히 앉아 이불병좌상(二佛竝坐像)이라하고 주변을 자세히 살펴보면 작은 불상들이 많이 세겨져 있어서 원풍리 마애불상군(磨崖佛像群)이라한다. 이체불(二體佛)로도 불리는 마애불상군은 30m 높이의 암벽 중앙 부위에 가로 6m, 세로 5.5m 크기로 암각 되어있으며 고려중기인 12세기에 축조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산과바다 이계도 2013. 5. 25.
함박꽃나무 Oyama Magnolia 산과바다 함박꽃나무 Oyama Magnolia 2013. 5. 24. 신선암봉 오름길에(절골) 담음 목련하고는 다르고 산목련 이라고도 한다는군요. 꽃향이 진하고 좋아 꽃잎을 차로이용 함박꽃나무 Magnolia sieboldii K.Koch 속씨식물 >쌍떡잎식물강 >목련목 >목련과 >목련속 개목련, 산목련 이라고도 함. 목련.. 2013. 5. 25.
큰물칭개나물 water speedwell 산과바다 큰물칭개나물 water speedwell 2013. 5. 22. 담음 * 꽃은 큰개불알풀을 닮았는데 훨씬 작고 잎이 다르군요. * 큰물칭개나물(Veronica anagallisaquatica L.)은 작은 꽃자루의 길이가 3mm 정도로 살짝 굽으면서 위를 향하고, 물칭개나물보다 크고 꽃이 진하다. 큰물칭개나물 Veronicaa nagallis-aquatica L.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통화식물목 >질경이과 >개불알풀속(Veronica) 냇가에서 자란다. 높이 40~80cm이고 줄기는 곧게 서며 속이 비고 전체에 털이 거의 없다. 잎은 마주나기하고 윗부분의 잎은 긴 타원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원줄기를 둘러싸며 길이 4~10cm, 폭 1~3cm로서 가장자리는 밋밋하거나 낮은 톱니가 드문드문있다... 2013. 5.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