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에는 꽃이 피네3779 죽단화(겹황매화) Kerria japonica 산과바다 죽단화(겹황매화) Kerria japonica 2024. 4. 11. 담음 * 황매화보다 1주일 정도 늦게 피는군요.(같은 장소의 꽃 비교) * 죽단화는 꽃잎이 노란색 겹꽃인데 황매화는 노란색 꽃잎이 5장으로 다르군요. * 죽단화와 황매화는 노란색 꽃으로 줄기와 잎이 같아 꽃이 없으면 구분하기가 어렵군요. 죽단화(겹황매화) Kerria japonica DC. pleniflora (Witte) Rehder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장미목 >장미과 >황매화속(Kerria) 죽단화는 겹황매화 죽도화라고도 부른다. 황매화의 변종으로 중부 이남에 자라는 낙엽 활엽 떨기나무로 일본과 중국에 분포한다. 높이 1.5~2.0m, 어린 가지는 녹색이고 털이 없다. 잎은 어긋나며, 난형 또는 긴 난형으로, 끝은 .. 2024. 4. 11. 지면패랭이꽃 Moss Phlox 산과바다 지면패랭이꽃 Moss Phlox 2024. 4. 11. 담음 * 지면패랭이꽃의 색깔이 붉은색, 자주색, 분홍색, 흰색 등으로 다양하더군요. * 꽃이 패랭이꽃과 비슷하고 지면으로 퍼지기 때문에 지면패랭이꽃이라고 한다. 지면패랭이꽃 Phlox subulata L.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가지목(통꽃식물) >꽃고비과 >풀협죽도속(Phlox) 멀리서 보기에 잔디 같지만 아름다운 꽃이 피기 때문에 꽃잔디 라고도 하며, 꽃이 패랭이꽃과 비슷하고 지면으로 퍼지기 때문에 지면패랭이꽃이라고 한다. 높이 10cm이고 잔디처럼 땅을 덮고 많은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마주나며 주로 끝이 뾰족한 바소모양이고 가장자리가 꺼칠하고 잎자루가 없다. 꽃은 4~9월에 피고 붉은색, 자주색, 분홍색, 흰색 등으로 줄기 윗부분.. 2024. 4. 11. 뜰보리수 Cherry elaeagnus 산과바다 뜰보리수 Cherry elaeagnus 2024. 4. 11. 담음 * 5월 말경이면 빨갛게 익은 열매가 빈약한 꽃보다 훨씬 예쁘더군요. * 보리수나무, 뜰보리수, 왕보리수의 꽃은 빈약하고 꽃만 보아서는 구분이 잘 안 되는데 개화기 열매의 크기와 익는 시기가 다르군요. 종 개화 빨간 열매 열매 크기 뜰보리수 4~5월 6월~7월 익음 길이 1.5cm 정도 왕보리수 5~6월 9월~10월 익음 길이 1.5cm 이상 보리수나무 5~6월 9월~11월 익음 길이 1cm 미만 뜰보리수 Elaeagnus multiflora Thunb.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도금양목 >보리수나무과 >보리수나무속(Elaeagnus) 일본 원산으로 민가 주변에 심어 기르는 낙엽 떨기나무이다. 높이 2~3m이다. 어린 가지에 .. 2024. 4. 11. 박태기나무 Chinese Redbud 산과바다 박태기나무 Chinese Redbud 2024. 4. 11. 담음 * 매년 4월이 되면 꽃이 하루가 다르게 피며 잎도 예쁘게 나오는군요. * 밥풀떼기 모양의 꽃봉오리가 열리어 홍자색 꽃이 나비 모양으로 피어 예쁘고 줄기와 가지에 다닥다닥 꽃이 핀 모습이 밥알 붙은 주걱처럼 보인다고 해서 밥풀떼기나무, 이것이 변하여 박태기나무라는 이름이 생겼다고 하는군요. 박태기나무 Cercis chinensis Bunge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장미목 >콩과 >박태기나무속(Cercis) 잎은 어긋나며 거의 가죽질인데 길이 5~8cm, 나비 4~8cm의 심장형으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끝이 뾰족하며 밑 부분에서 5개의 커다란 맥이 발달한다. 앞면은 윤기가 나며 털이 없고 뒷면은 황록색이며 잎맥 밑 부분에 잔털.. 2024. 4. 11. 황새냉이 Cardamine flexuosa 산과바다 황새냉이 Cardamine flexuosa 2024. 4. 5. 담음 * 황새냉이 좁쌀냉이 미나리냉이는 4장의 흰색 꽃잎이 같아 보이고 같은 시기에 꽃을 피워 동정하기 혼돈스러운데 잎 모양과 줄기가 달라 구분이 되는군요. 황새냉이속 잎 모양 줄기 황새냉이 깃모양 겹잎, 좁게 갈라져 피침형 비스듬 바로 서고, 아래에 털 좁쌀냉이 깃꼴 7~8장 갈라져 작은 잎, 전체에 털 황새냉이에 비해 곧게 서고, 전체에 털 미나리냉이 겹잎 넓은 피침형, 난상 긴 타원형, 끝 뾰쪽 가장자리 톱니 전체 부드러운 털 황새냉이 Cardamine flexuosa With.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양귀비목 >십자화과 >황새냉이속(Cardamine) 이년생 초본으로 원산지는 한국이고 전국 각지에 분포하며 논밭 근처와 습.. 2024. 4. 6. 수수꽃다리 Syringa dilatata 산과바다 수수꽃다리 Syringa dilatata 2024. 4. 5. 담음 지난해에도 4월 초에 담았었는데 어김없이 때가 되니 꽃이 피는군요. 라일락을 우리말 이름으로 인 줄 알았는데 잎 모양이 달라 구분되는 다른 種이군요. * 라일락은 잎 길이가 폭에 비해서 길고 잎의 끝머리가 긴 점첨두인 반면 * 수수꽃다리는 꽃이 작고 잎의 길이와 폭이 비슷하고 잎의 끝머리가 짧은 점첨두인 점이 다르므로 구분이 되는군요. * 점첨두(漸尖頭, acuminate) - 식물의 잎끝이 점차 좁아지면서 뾰족해지는 모양. 수수꽃다리 Syringa oblata Lindl. var. dilatata (Nakai) Rehder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물푸레나무목 >물푸레나무과 >수수꽃다리속(Syringa) 산기슭이나 마을 주변.. 2024. 4. 5. 복숭아나무 peach tree 산과바다 복숭아나무 peach tree 2024. 4. 5. 담음 * 복숭아꽃을 보면 어렸을 때 불렀던 노래를 생각하며 잠시 향수에 젖어 나의 살던 고향은 노래를 흥얼거리며 꽃을 담았답니다. 고향의 봄 나의 살던 고향은 꽃피는 산골 복숭아꽃 살구꽃 아기진달래 울긋불긋 꽃 대궐 차린 동네 그 속에서 놀던 때가 그립습니다. 꽃동네 새 동네 나의 옛 고향 파란들 남쪽에서 바람이 불면 냇가에 수양버들 춤추는 동네 그 속에서 놀던 때가 그립습니다. 이원수 작사 홍난파 작곡 복숭아나무(=복사나무) Prunus persica Batsch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장미목 >장미과 >벚나무속(Prunus) 복사나무라고도 한다. 높이 6m 정도다. 나무줄기나 가지에 수지(樹脂)가 들어 있어, 상처가 나면 분비된다. 잎은.. 2024. 4. 5. 쇠뜨기 Horsetail 산과바다 쇠뜨기 Horsetail 2024. 4. 5. 담음 * 여러해살이 양치식물로 포자낭이 달리는 생식줄기가 먼저 나와 스러진 후 광합성을 하는 녹색의 영양줄기가 나온다. * 소가 잘 뜯어먹는다는 데서 우리말 이름이 생겼으며, 생식줄기 끝에 달리는 포자낭수가 뱀의 머리를 닮아서 ‘뱀밥’이라 부르기도 한다. 쇠뜨기 Equisetum arvense L. 양치식물문 >속새강 >속새목 >속새과 >속새속(Equisetum) 전국의 산과 들 양지바른 곳에 흔하게 자라는 여러해살이 양치식물이다. 세계적으로는 사막을 제외한 북반구 전역에 걸쳐 분포한다. 속이 빈 원통형의 줄기가 마디져 있고 각 마디마다 가지가 나오며 마디를 엽초가 둘러싸고 있는 독특한 특징을 지닌다. 생식줄기와 영양줄기 두 종류이며, 포자낭이 달리.. 2024. 4. 5. 황매화 黃梅花 Kerria 산과바다 황매화 黃梅花 Kerria 2024. 4. 4. 담음 * 황매화와 죽단화는 정원에 심어 기르는(관상용) 종으로만 알았더니 숲속에서도 자생하는 식물이더군요. * 황매화와 죽단화는 줄기와 잎 모양이 똑같아서 꽃이 피지 않으면 구분이 안 되는군요. * 황매화는 황색 꽃의 꽃잎이 5장이고 * 죽단화는 황색 꽃의 꽃잎이 겹으로 되어 겹황매화라고도 하는군요. 황매화 Kerria japonica(L.) DC. for. japonica 속씨식물 >쌍떡잎식물강 >장미목 >장미과 >황매화속(Kerria) 장미과(薔薇科 Rosaceae)에 속하는 낙엽활엽관목. 일본이 원산지이며 관상용으로 흔히 심는다. 키는 2m에 달하며 줄기는 녹색으로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털이 없다. 잎은 길이가 2~9cm, 너비가 3~3.5c.. 2024. 4. 4. 수양벚나무 Weeping Willow 산과바다 수양벚나무 Weeping Willow 2024. 4. 4. 담음 垂柳(수양), 水柳(수양) 처진개벚나무라고도 한다. 수양벚나무 Prunus verecunda var. pendula (Nakai)W.T.Lee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장미목 >장미과 >벚나무속(Prunus) 처진개벚나무라고도 한다. 상록 활엽 교목으로 전국의 산지에서 자란다. 높이가 15m에 이른다. 줄기의 일년생가지는 자줏빛이며 일년생가지에 털이 없고, 가지가 밑으로 처진다. 잎은 달걀모양, 넓은 또는 좁은 거꿀달걀모양이고 점첨두, 원저로 길이 5~8cm, 폭 2~4.5cm이며 가장자리의 톱니는 예리하고 잎 뒷면에 미모가 있다. 처음에는 털이 밀생하지만 점차 없어지고 양면 맥 위에만 남는다. 엽병은 길이 11~18mm로서 털이.. 2024. 4. 4. 살구나무 Apricot 산과바다 살구나무 Apricot 2024. 4. 4. 담음 * 살구꽃이 매화와 꽃이 같아 보이는데 살구꽃은 꽃이 피면서 홍자색의 꽃받침조각이 뒤로 젖혀지며 좀 늦게 피어 구분이 되는군요. 살구나무(杏) Prunus armeniaca var. ansu Maxim.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장미목 >장미과 >벚나무속(Prunus) 온대지방 북반부의 기후 조건에 적합하므로 한국 각지에서 재배할 수 있다. 내한성과 내조성, 내공해성은 강하나 내음성과 내건성은 약하며, 배수가 양호한 사질양토에서 개화와 결실이 잘된다. 영춘화처럼 봄을 반기는 살구꽃은 복숭아꽃과 함께 고향을 상징하는 관상수이다. 줄기는 가지가 많고 나무껍질에 코르크질이 발달하지 않은 것이 특징이다. 나무껍질에 코르크질이 발달하지 않은 것이 특징이.. 2024. 4. 4. 풀또기 Prunus triloba 산과바다 풀또기 Prunus triloba 2024. 4. 4. 담음 나무의 크기와 가지 잎이 앵두나무와 비슷해 보이는데 붉은(연분홍)색 겹꽃으로 가득 피움이 예쁘군요. 풀또기 Prunus triloba var truncata Kom.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장미목 >장미과 >벚나무속(Prunus) 산기슭 양지바른 곳에서 자란다. 원산지는 중국이며 갈잎떨기나무다. 높이 1∼3m이다. 나무껍질은 붉은빛을 띤 갈색으로 윤이 나며 옆으로 피목(皮目)이 있다. 어린 가지에는 희고 짧은 털이 빽빽이 난다. 잎은 어긋나고 달걀을 거꾸로 세워놓은 모양이거나 거꾸로 선 삼각 모양으로서 길이 3∼6cm이다. 끝은 뾰족하거나 일자(一字) 모양이고 밑은 넓은 쐐기 모양이며 가장자리에 겹 톱니가 있다. 겉면에는 잔털이 나.. 2024. 4. 4. 벚나무 Oriental cherry 산과바다 벚나무 Oriental cherry 2024. 4. 4. 담음 어김없이 때가 되니 꽃이 피고 지는군요. 5월 말경에 검게 익은 버찌를 따 먹을 수 있더군요. 벚나무 Prunus serrulata var. spontanea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장미목 >장미과 >벚나무속(Prunus) 장미과(薔薇科 Rosaceae)에 속하는 낙엽교목으로 키가 20m에 이르고 짙은 자갈색을 띠는 수피(樹皮)는 가로줄 무늬를 가진다. 잎은 어긋나는데 잎끝은 뾰족하며 잎의 기부는 조금 둥글다. 잎 가장자리에는 톱니가 있으며 잎자루에는 조그만 돌기가 양쪽에 하나씩 있다. 꽃은 흰색 또는 연분홍색으로 4~5월경 잎겨드랑이에 2~3송이씩 모여 핀다. 꽃잎은 5장이며 수술은 많고 암술은 1개이다. 열매는 6~7월에 장과.. 2024. 4. 4. 현호색 common corydalis 산과바다 현호색 common corydalis 2024. 4. 1. 담음 잎이 댓잎처럼 생겨서 댓잎현호색이라 하였는데 현호색으로 통합되었군요. 현호색 Corydalis remota Fisch. ex Maxim.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 양귀비목> 현호색과 >현호색속(Corydalis 현호색(玄胡索)은 산록의 습기가 있는 곳에서 자란다. 덩이줄기는 지름 1cm 정도이고 여기서 나온 줄기는 20cm 정도 자란다. 밑부분에 포 같은 잎이 1개 달리고 거기서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길며 1∼2회 3개씩 갈라진다. 갈래조각은 도란형이고 윗부분이 깊게 또는 결각상으로 갈라지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뒷면은 분백색이다.꽃은 4월에 피고 연한 홍자색이며 총상꽃차례로.. 2024. 4. 2. 종지나물(미국제비꽃) Meadow 산과바다 종지나물(미국제비꽃) Meadow 2024. 4. 1. 담음 * 꽃잎이 흰색 바탕에 보라색 줄무늬가 방사되어 있음이 특이하고 예쁘군요. 종지나물 Viola papilionacea Pursh.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제비꽃목 >제비꽃과 >제비꽃속(Viola) 심장 모양 잎이 종지를 닮았다고 종지나물이다. 종지나물은 제비꽃속의 여러해살이풀로 1945년 8·15 광복 이후 미국으로부터 들어온 귀화식물로 미국제비꽃 이라고도 한다. 한국 토착종인 제비꽃류와 비슷하게 생겼다. 높이 20cm까지 자란다. 잎은 밑동으로부터 나오며 잎자루가 잎의 길이보다 길다. 잎은 종지 모양 혹은 심장 모양이며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는 자잘한 톱니가 있다. 꽃은 보라색으로 4∼5월에 피는데 이따금 흰색이나 황록색 꽃이 .. 2024. 4. 1. 살갈퀴 Vicia angustifolia 산과바다 살갈퀴 Vicia angustifolia 2024. 4. 1. 담음 * 새완두, 얼치기완두, 살갈퀴의 잎이 비슷하여 구분이 쉽지 않은데 꽃의 색과 개수 크기, 열매(꼬투리)속의 종자 수를 비교해 보면 쉽게 구분이 되더군요. 꽃 색과 수 종자 수 새완두 백자색꽃 3~4개씩 달림. 꼬투리에 2개 얼치기완두 연한 홍자색꽃 1~3개씩 달림 꼬투리에 3~6개 살갈퀴 홍자색 꽃 1~2개씩 달림 꼬투리에 10개 내외 * 꽃의 수와 종자 수가 새완두와 살갈퀴의 중간형이기 때문에 얼치기완두라고 한다. 살갈퀴 Vicia angustifoliavar var. segetilis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장미목 >콩과 >나비나물속(Vicia) 우리나라 각 처의 밭이나 들, 산록에서 덩굴져 자라는 이년생 초본이다. 네.. 2024. 4. 1. 봄맞이 Umbrella androsace 산과바다 봄맞이 Umbrella androsace 2024. 4. 1. 담음 봄맞이 Androsace umbellata (Lour.) Merr.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앵초목 >앵초과 >봄맞이꽃속(Androsace) 이른 봄 양지바른 따뜻한 들이나 풀밭에 흔히 자라 봄을 맞이하는 꽃으로 불린다. 앵초과(櫻草科 Primulaceae)에 속하는 1~2년생 초로 키가 10㎝ 정도 되는 아주 작은 식물로, 잎은 뿌리에서만 동그랗게 로제트를 이루며 나오고, 길이와 너비는 5~15㎜이다. 잎에는 잔털들이 있고 잎 가장자리에 조그마한 톱니들을 가지고 있다. 꽃은 4~5월에 흰색의 꽃이 뿌리에서 나온 꽃줄기 끝에 산형꽃차례를 이루어 핀다. 꽃은 지름 4~5㎜의 아주 작은 통꽃으로서 5갈래로 나누어져 있다. 열매는 .. 2024. 4. 1. 명자나무 Chinese-quince 산과바다 명자나무 Chinese-quince 2024. 4. 1. 담음 * 10여 일 전부터 꽃이 필동 말똥하며 봉오리가 예쁘게 꽃필 준비 하더니 이제는 백색, 분홍색, 빨간색의 3가지 색이 조화를 이루며 피는데 붉은색의 꽃이 보이는군요. 명자나무 Chaenomeles speciosa (Sweet) Nakai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장미목 >장미과 >명자나무속(Chaenomeles) 이른 봄에 진분홍색으로 피는 꽃은 화려하지는 않으나 은은하고 청초한 느낌을 주어 `아가씨나무`라고도 한다. 생장이 빠르다. 중국 원산이며 오랫동안 관상용으로 심어 왔다. 높이 2m 내외에 달하고 가지 끝이 가시로 변한 것이 있다. 줄기의 가지는 비스듬히 서며(풀명자는 줄기가 지면 가까이 눕는다) 나무껍질은 암자색이며 일년.. 2024. 4. 1. 이전 1 ··· 21 22 23 24 25 26 27 ··· 2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