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四書/孟子

孟子(맹자) 10. 致爲臣而歸(치위신이귀)

by 산산바다 2016. 2. 22.

산과바다

 

孟子(맹자) HOME

 

 

2 公孫丑 下(공손추 하)

 

10. 致爲臣而歸(치위신이귀)

 

孟子致爲臣而歸(맹자치위신이귀)하실새 : 맹자가 신하됨을 돌려 바치고 떠나가려할 때

(): 왕이

就見孟子曰前日(취견맹자왈전일): 나아가 맹자를 뵙고 말하기를, 전일부터

願見而不可得(원견이불가득)이라가 : 선생님을 뵙기를 바라면서 이루지 못하고 있던 터에

得侍(득시)하여는 : 이처럼 선생님을 모시게 되어

同朝甚喜(동조심희)러니 : 온 조정의 관원들마저 매우 기뻐했던 터에

今又棄寡人而歸(금우기과인이귀)하시니 : 이제 또 과인마저 버리고 떠나가시니

不識(불식)케이다 : 모르겠습니다,

可以繼此而得見乎(가이계차이득견호)잇가 : 앞으로 계속하여 뵙게 될 수 있을는지를

對曰不敢請耳(대왈불감청이)언정 : 맹자가 대답해 말하기를, 제가 감히 청하지는 못하오나

固所願也(고소원야니이다) : 본래 바라는 바입니다.

他日(타일): 훗날에

王謂時子曰我欲中國而授孟子室(왕위시자왈아욕중국이수맹자실)하고 : 왕이 시자에게 일러 말하기를, 내가 나라의 중아부에 맹자의 주택을 마련하고

養弟子以萬鍾(양제자이만종)하여 : 제자들을 봉양하기 위하여 만종의 록을 들여

使諸大夫國人(사제대부국인)으로 : 여러 대부와 나라 사람들로 하여금

皆有所矜式(개유소긍식)하노니 : 모두 맹자를 존경하고 본받도록 하게 하려는 터이니

子盍爲我言之(자합위아언지): 자네가 나를 위하여 말씀하여 주게

時子因陳子而以告孟子(시자인진자이이고맹자)어늘 : 시자가 진자를 통해 맹자에게 고하게 하니

陳子以時子之言(진자이시자지언)으로 : 진자는 시자의 말대로

告孟子(고맹자)한대 : 맹자에게 고하였다.

孟子曰然(맹자왈연)하다 : 맹자가 대답해 말씀하시기를, 그렇지

夫時子惡知其不可也(부시자악지기불가야)리오 : 시자가 어떻게 그것이 불가한 것인 줄 알겠는가

如使予欲富(여사여욕부)인댄 : 만일 나를 부유하게 하려 한다면

辭十萬而受萬(사십만이수만): 10만 종을 마다하고 10000종을 받게 하는 것이

是爲欲富乎(시위욕부호): 이것이 나를 부유하게 하려는 것인가?

季孫曰異哉(계손왈이재): 계손이 말하기를, 괴상하구나

子叔疑(자숙의): 자숙의여

使己爲政(사기위정)이라가 : 자기로 하여금 행정을 맡아보게 하다가

不用則亦已矣(불용칙역이의)어늘 : 자기 의견이 채택 되지 못하면 그만두면 그만인데

又使其子弟爲卿(우사기자제위경)하니 : 또 게다가 자기 자제들로 하여금 경이 되게 하니

人亦孰不欲富貴(인역숙불욕부귀)리오마는 : 사람이 누군들 부귀하게 되고 싶지 않겠는가만

而獨於富貴之中(이독어부귀지중): 특히 부귀 가운데

有私龍斷焉(유사룡단언)이라하니라 : 이익을 독담하려는 자가 있는 것이다.

古之爲市者(고지위시자): 옛날에 시장을 경영하는 사람들이

以其所有(이기소유): 자기들의 있는 것을 가지고

易其所無者(역기소무자)어든 : 자기들의 없는 것과 바꾸던 터에

有司者治之耳(유사자치지이)러니 : 과원이 이것을 감독하고 있었는데

有賤丈夫焉(유천장부언)하니 : 욕심이 많은 사나이가 있어서

必求龍斷而登之(필구룡단이등지)하여 : 반드시 용단인 높은 곳을 찾아 올라가 사방을 둘러보다가

以左右望而罔市利(이좌우망이망시리)어늘 : 시장에 이익이 날 만한 것을 전부 독차지하기 때문에

人皆以爲賤(인개이위천)이라 : 사람들이 모두 욕심자이라고 천하게 여겼느니라.

(): 그러므로

從而征之(종이정지)하니 : 감독관이 이에 따라서 세금을 부과하니

征商(정상): 장사꾼에 대하여 세금을 부과하는 것이

自此賤丈夫始矣(자차천장부시의)니라 : 욕심쟁이 사나이로부터 시작된 것이다.

 

 

 

 

산과바다 이계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