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수과563

서양민들레 Broad-lobe dandelion, Bitterwort, Chicoria 산과바다 서양민들레 Broad-lobe dandelion, Bitterwort, Chicoria 2018. 3. 26. 담음 보통 민들레라고 만 불렀는데 총포조각의 젖혀진 모양으로 보아 서양민들레로 구분하여 불러야 겠군요. * 서양민들레의 경우 두상꽃차례를 감싸는 꽃받침대(총포조각)중 바깥쪽에 있는 것들이 뒤로 젖혀져 있는 데 비해 * 민들레는 모든 꽃받침대들이 곧게 서 있어 다르군요. 서양민들레 Taraxacum officinale F.H.Wigg.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 >민들레속(Taraxacum) 유럽이 원산지인 귀화식물로 도시 주변이나 농촌의 길가와 공터에서 흔히 볼 수 있다. 뿌리가 땅속 깊이 들어가고 줄기는 없다. 잎은 뿌리에서 뭉쳐나고 사방으로 퍼지며 타원 모양이고 끝이 예리하게 뾰.. 2018. 3. 26.
할미꽃 Korean pasque flower 산과바다 할미꽃 Korean pasque flower 2018. 3. 17. 담음 꼬부라진 할미꽃 뒷동산의 할미꽃 꼬부라진 할미꽃 싹 날 때에 늙었나 호호백발 할미꽃 천만가지 꽃 중에 무슨 꽃이 못되어 가시 돋고 등 굽은 할미꽃이 되었나 뒷동산에 할미꽃 꼬부라진 할미꽃 젊어서도 할미꽃 늙어서도 할미꽃 하하하.. 2018. 3. 18.
구절초 九節草 Korean chrysanthemum 산과바다구절초 九節草 Korean chrysanthemum2017. 10. 5. 담음구절초는 우리나라 가을꽃을 대표하는 꽃으로 소박하고 토속적이고 정감이 넘치는 백의(白衣)의 꽃이다.* 연한분홍색꽃은 사랑이 이루어지기 전이라는군요. 무루익으면 흰색으로 변한답니다. * 한국에서 흔히 들국화라고 하는 자생식물에는 구절초를 일컫는 것이 보통이나 감국, 산국, 쑥부쟁이, 개미취 등의 국화과 식물들을 총칭한다. 흔히 일반인이 들국화라고 부르지만 들국화라는 식물은 없다.* 구절초는 구일초(九日草) 선모초(仙母草)라고도 하고 구절초라는 이름은 아홉 번 꺾이는 풀, 또는 음력 9월 9일에 꺾는 풀이라는 뜻에서 유래하였다는 군요.꽃의 분홍색은 수분 수정이 이루어 지면 흰색으로 변한다는군요.      구절초 Chrysan.. 2017. 10. 7.
개여뀌 Oriental smartweed 산과바다개여뀌 Oriental smartweed 2017. 10. 3. 담음 야산 기슭에서 자람을 담았는데 이삭꽃차례가 붉은빛이며 짧고 키가 작아 바닥가까이에 자람이 특이하고 큰 키에 이삭꽃차례가 길게 늘어져있는 명아자여뀌와는 다르군요.       개여뀌 Persicaria longiseta (De Bruyn) Kitagawa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마디풀목 >마디풀과 >여뀌속(Persicaria) 들이나 길가에 자란다. 높이 20∼50cm이다. 전체에 털이 없고 줄기는 붉은 자줏빛의 둥근 통 모양으로 곧게 선다. 가지를 많이 내며 마디에서 뿌리를 벋는다. 잎은 어긋나고 길이 4∼8cm, 나비 1∼2.5cm이며 넓은 바소꼴이다. 양면에 털이 나고 잎자루는 짧다. 잎집처럼 생긴 턱잎은 통 모양.. 2017. 10. 4.
흰명아주여뀌 Water pepper 산과바다 흰명아주여뀌 Water pepper 2017. 10. 3. 담음 * 이삭꽃차례로 흰색이며 이삭이 밑으로 처짐이 특이하군요. * 흰색꽃을 피는 흰여뀌도 있는데 명아자여뀌는 홍자색(종종 백색)으로 피며 꽃차례는 이삭이 길고 끝이 아래로 쳐지는데 비해 흰여뀌는 꽃차례가 아래로 향하지 않음이 구분되는군요.        흰명아주여뀌 Persicaria lapathifolia f. alba Y.N.Lee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마디풀목 >마디풀과 >여뀌속(Persicaria) 꽃이 흰 명아주여뀌이며, 명아주여뀌와 같은 장소( 물가나 습지의 밭)에서 난다. 줄기의 가지는 굵고, 붉은빛이 돌며 원줄기에 흑갈색 점이 있다.잎은 어긋나기, 타원상 피침형 또는 피침형, 길이 7~20cm, 맥과 가장자리.. 2017. 10. 4.
진득찰 Sigesbeckia glabrescens 산과바다 진득찰 Sigesbeckia glabrescens 2017. 10. 1. 담음 총포조각이 꽃을 둘러싸고 있음이 가막사리와 비슷한데..... 진득찰은 녹색인 5개의 총포조각(꽃받침)에 점액을 분비하는 선모(腺毛)가 빽빽하게 있어서 만져보면 진득거림이 가막사리와 다르군요. 진득찰 Sigesbeckia glabrescens (Makino) Makino .. 2017. 10. 2.
파대가리 Green kyllinga 산과바다 파대가리 Green kyllinga 2017. 9. 30. 담음 야산 두꺼비논 논둑아래 양지바른 습지에서 담았는데 방동사니와 같이 살면서 비슷하게 가늘고 긴 포가 2-3개 달리어 잎 같으며 꽃차례보다 길게 달려있음이 특이하군요.  포가 방동사니와 비슷하게 달리어 파대가리의 이명으로 큰송이방동사니 라고도 하는군요. * 파대가리는가늘고 긴 포가 아래로 향해있는데 방동사니는 위로 향해 있어 구분이 확실하고,   또 파대가리는 화경끝에 머리모양꽃차례가 1개 달리며 지름 7-10mm정도 녹색의 소수가 조밀하게 달려있음이 방동사니와 구분되는군요. * 방동사니와 비교아래는 파대가리      파대가리 Kyllinga brevifolia Rottb.      속씨식물문 >외떡잎식물강 >사초목 >사초과 >방동사니.. 2017. 9. 30.
털별꽃아재비 Shaggy soldier, Hairy galinsoga 산과바다 털별꽃아재비 Shaggy soldier, Hairy galinsoga 2017. 9. 26. 담음 * 털별꽃아재비는 별꽃아재비에 비해 전체에 부드러운 털이 더욱 밀생하고, 꽃은 별꽃아재비보다 1개월이 늦은 6~9월에 피고, 설상화와 여윈열매에 깃털이 있는 것으로 구분하는군요. 털별꽃아재비 Galinsoga ciliata (Raf.) S.F.Blake .. 2017. 9. 26.
미국쑥부쟁이 Frost aster(White heath aster) 산과바다 미국쑥부쟁이 Frost aster(White heath aster)  2017. 9. 24. 담음 * 흰색 꽃만 보아왔는데 옅은 붉은 보라색의 꽃도 있군요.      미국쑥부쟁이 Aster pilosus Willd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초롱꽃목 >국화과 >참취속(Aster) 산지나 들판 길가 등에서 자란다. 북아메리카 원산의 귀화식물로서 1970년대 말 강원도 춘천시 중도 지방에서 처음 발견되었다. 중도국화 털쑥부쟁이라고도 한다. 줄기는 무모(無毛) 또는 거센털, 원뿔 모양으로 분지(分枝)하며, 아래쪽은 목질화(木質化)되고, 높이 30~100cm, 가지는 총상(總狀)을 이루며 작은 가지들은 한쪽을 향하여 배열한다.잎은 경질(硬質)이고 기부의 잎은 주걱모양으로, 끝이 둔두(鈍頭)이고.. 2017. 9. 24.
노랑코스모스 Yellow Cosmos 산과바다 노랑코스모스 Yellow Cosmos 2017. 9. 24. 담음 큰금계국과 꽃이 비슷한데 금계국은 5~6월에 노란색 꽃이 피고 잎모양과 꽃피는 시기가 다르고 노랑코스모스는 꽃색이  주황색으로 다르군요.   혀꽃의 꽃잎이 8개인데 겹꽃인 것도 보이고 꽃잎이 그 이상인 것도 있군요. * 코스모스(C. bipinnatus Cavanilles )에 비해 잎이 넓고 끝이 뾰족하게 갈라지며, 꽃이 주황색이므로 구분된다.      노랑코스모스 Cosmos sulphureus Cav.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초롱꽃목 >국화과 >코스모스속(Cosmos) 멕시코 원산으로 1930~1945년에 한국에 도입되어 관상용으로 식재되며, 인근의 자연으로 퍼져 서식하여 야생화가 되었다. 줄기는 높이 40~10.. 2017. 9. 24.
왕고들빼기 Indian lettuce 산과바다 왕고들빼기 Indian lettuce 2017. 9. 19. 담음 * 어린잎(로제트잎)은 뜯어 쌈싸먹고(삼겹살) 하였는데 어렸을때 씨앗똥이라 하여 뜯어다가 토끼에게 주면 잘 먹더군요. * 고들빼기 이고들빼기 까치고들빼기 등의 황색꽃이 비슷하고 씀바귀 꽃과도 비슷하군요. 왕고들빼기 Lactuca indica L.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초롱꽃목 >국화과 >왕고들빼기속(Lactuca) 밭머리 집 마을 빈터에서 자란다. 줄기는 높이가 1~2m에 달하고 줄기는 곧게 서며 윗부분에서 가지를 치고 털이 있거나 거의 없다. 잎의 근생엽은 꽃이 필 때 없어지며 줄기잎은 어긋나기하고 피침형 또는 긴 타원상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길이 10~30cm, 폭 1~5cm로서 밑부분이 직접 원줄기에 달리며 표면은 .. 2017. 9. 20.
고마리 Ditch persicaria 산과바다 고마리 Ditch persicaria 2017. 9. 18. 담음  * 꽃이 흰색이나 분홍색 또는 흰바탕에 붉은색으로 피는데 다른종이 아니군요.         고마리 Persicaria thunbergii (Siebold & Zucc.) H. Gross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마디풀목 >마디풀과 >여뀌속(Persicaria) 고만이라고도 한다. 도랑이나 산지의 물가에서 무리 지어 전국적으로 흔하게 자란다. 줄기는 모가 지고 길이가 1m에 달하며 상부는 비스듬히 서고 줄기는 능선을 따라 아래로 향한 가시가 있으며 털은 없다.잎은 어긋나기 하며 엽병이 있으나 윗부분 것은 엽병이 없고 창검 같으며 길이 4~7cm, 폭 3~7cm이고 표면은 누운 털이 성글게 있으며 변두리에 짧은 연모(緣毛.. 2017. 9. 20.
환삼덩굴 Asian hop 산과바다 환삼덩굴 Asian hop  2017. 9. 15. 담음 * ♀♂딴 그루이고 꽃모양이 다르군요.  * 암꽃은 수상꽃차례로 달리고 꽃이 핀 다음 달걀 모양의 원형으로 되는데 수꽃은 원추꽃차례에 달린다. 암꽃아래는 수꽃     환삼덩굴 Humulus japonicus Siebold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쐐기풀목 >삼과 >환삼덩굴속(Humulus) 한국 원산으로 길가나 빈터에서 흔하게 자라는 덩굴성 일년생 초본이다. 삼과의 덩굴성 1년 초. 들에서 흔히 자라는 초본성 덩굴식물이다. 원줄기의 잎자루에 밑을 향한 잔가시가 있어 거칠다.잎은 마주 달리고 손바닥 모양으로 5∼7개로 갈라지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양쪽 면에 거친 털이 있다.꽃은 7∼8월에 피고 암수딴그루이다. 수꽃은 황록색이.. 2017. 9. 17.
도깨비바늘 Spanish needles 산과바다  도깨비바늘 Spanish needles 2017. 9. 15. 담음 * 가막사리는 총포조각이 5-10개(길이 1.5-4.5cm정도)로 돌려나 있고 설상화가 없는 관상화인데  * 도깨비바늘은 총포조각이 줄모양이고 노란색 설상화가 1~3개정도 만 듬성듬성 달려있음이 특이하여 구분이 되는군요.               도깨비바늘 Bidens bipinnata L.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초롱꽃목 >국화과 >도깨비바늘속(Bidens) 네모진 줄기는 높이 30~100cm 정도로 자라며 털이 거의 없다. 잎은 마주나는데 중앙부의 것은 2회 우상으로 갈라지고 위로 갈수록 작아진다. 작은 잎은 장타원형으로 톱니가 있으며 잎자루는 길이 3.5~5cm 정도이다.꽃은 8~9월 가지 끝에 머리 모양의 .. 2017. 9. 17.
명아자여뀌 Knotweed, Pale smartweed 산과바다명아자여뀌 Knotweed, Pale smartweed2017. 9. 15. 담음야산 기슭 논둑에서 자람을 담았는데 이삭꽃차례가 길게 늘어져 있어 특이하군요. 여뀌 종류가 많아서 혼동스럽기도 한데 키가 작은 여뀌와 달리 키가 크고 꽃차례가 길고 꽃이삭의 끝이 아래로 쳐져있어 명아자여뀌로 올리는 군요.       명아자여뀌 Persicaria nodosa (Pers.) Opiz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마디풀목 >마디풀과 >여뀌속(Persicaria) 큰개여뀌라고도 한다. 빈터나 길가에서 흔히 무리 지어 자란다. 줄기는 높이가 0.5∼1m이고 굵은 가지가 갈라지며 흔히 붉은빛이 돌고 마디가 굵으며 검은빛이 도는 자주색 점이 있다.잎은 어긋나고 타원 모양의 바소꼴 또는 바소꼴이며 길이가 7.. 2017. 9. 16.
금방동사니 Microiria flatsedge 산과바다 금방동사니 Microiria flatsedge 2017. 9. 12. 담음 * 방동사니는 습생(濕生 )논이나 밭둑, 강가의 양지바른 풀밭에서 자라는데  * 금방동사니는 건생(乾生) 밭을 좋아하며, 평지의 길가, 경작지나 빈터 등에서 자라는 서식지가 다르군요.      금방동사니 Cyperus microiria Steud.      속씨식물문 >외떡잎식물강 >사초목 >사초과 >방동사니속(Cyperus) 금방동사니는 건생(乾生) 밭을 좋아하며, 평지의 길가, 경작지나 빈터 등에서 흔하게 자란다. 일부러 물을 공급하지 않고서도 농사를 지을 수 있는 밭 경작지에서 잘 산다. 줄기는 한해살이로 4~5월에 발아하며, 단생(單生)하거나 2~3개씩 모여서 나고 향기가 난다. 뿌리에도 강한 향기가 있다.잎은 뿌.. 2017. 9. 14.
개쑥갓 Groundsel 산과바다 개쑥갓 Groundsel 2017. 9. 13. 담음 쑥갓과 잎모양이 같아보이는데 꽃은 다르군요. 개쑥갓의 꽃은 보통 통상화이고 때로는 혀꽃도 나타난다. 순백색의 관모가 떠날 준비를 하는군요. . . . 쑥갓(14. 6. 28.담음)과 비교......쑥갓은 혀꽃이 보이는군요. 개쑥갓 Senecio vulgaris L. 식물계 >현화.. 2017. 9. 14.
한련초 旱蓮草 Eclipta 산과바다 한련초 旱蓮草 Eclipta 2017. 9. 9. 담음 야산 기슭의 양지바른 습지에서 담았는데 꽃이 없었으면 볼 수 없었을 것 같다. * 한련초는 한방에서 예장(鱧腸)이라 하며 지혈작용 혈분(血糞)을 비롯하여 보음(補陰), 보신(補腎-정력을 도움) 등의 효능을 가지고 있으며 근육과 뼈(근골 筋骨)를 튼튼하게 해준다고 한다. * 줄기를 꺾으면 진이 흘러나와서 조금 지나면 까맣게 바뀌는 것이 이 풀의 특징이군요.       한련초 Eclipta prostrata L.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국화목 >국화과 >한련초속(Eclipta) 예장초(鱧腸草) 하년초 금릉초(金陵草) 연자초(蓮子草) 묵연초(墨烟草) 묵채(墨菜) 저아초(猪牙草) 한련풀이라고도 한다. 논둑이나 밭의 습지에서 자란다. 밑.. 2017. 9.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