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禪詩/寒山詩集(寒山, 拾得, 豊干) 詩

한산시(寒山詩) 091

by 산산바다 2024. 3. 22.

산과바다

寒山詩集 : 한산(寒山) 습득(拾得) 풍간(豊干)

 

 

          한산시(寒山詩) 091

        《詩 三百三首 其九一

 

世有多解人(세유다해인) : 이 세상에 잘난 사람 많고 많지만

愚癡徒苦辛(우치도고신) : 하는 짓이 어리석어 괴로움만 있네.

不求當來善(불구당래선) : 다음 세상 좋은 복은 구하지 않고

唯知造惡因(유지조악인) : 아는 게 악의 종자 뿌리는 것이라

五逆十惡輩(오역십악배) : 오역과 십악의 무리가 되고

三毒以爲親(삼독이위친) : 탐진치 삼독과 친구가 되네

一死入地獄(일사입지옥) : 죽은 뒤엔 곧바로 지옥에 들어

長如鎭庫銀(장여진고은) : 긴긴날 창고에 갇힌 보물처럼 지내리

 

五逆(오역) : 불교에서 말하는 다섯 가지 무거운 죄로 무간지옥無間地獄에 떨어진다고 해서 오무간업五無間業이라고도 한다. 남전불교와 북전불교에서 말하는 오역의 내용이 다르다.남전 상좌불교에서는 아버지를 죽이는 일, 어머니를 죽이는 일, 아라한阿羅漢을 죽이는 일, 출가수행자 집단인 승가의 화합和合을 깨뜨리는 일, 불타의 몸에서 피가 나게 하는 것을 말한다. 북전 대승불교에서 말하는 오역은 탑을 파괴하고 불상을 태우며 삼보의 물건을 빼앗거나 그와 같은 일을 시키는 것, 성문이나 연각의 법과 대승불교의 가르침을 비방하는 것, 출가자가 불법을 닦는 것을 방해 하거나 죽이는 것, 남전에서 말하는 오역 중의 한 가지를 범하는 것, 그리고 업보가 없다면서 열 가지 악한 일을 하거나 그렇게 타인에게 가르치는 것이다.

十惡(십악) : ()과 입()과 뜻()으로 짓는 열 가지 죄악. 즉 살생殺生, 도둑질(偸盜투도), 간통(邪淫사음) 등 몸으로 짓는 세 가지 죄와 거짓말(妄語망어), 꾸민 말(綺語기어), 두 가지 말(兩舌양설), 욕설(惡口악구) 등 입으로 저지르는 네 가지 죄와 욕심내는 마음(貪欲탐욕), 성내는 마음(瞋恚진에), 어리석은 마음(愚癡우치) 등 뜻으로 짓는 세 가지 죄를 말한다.

三毒(삼독) : 욕심(貪毒탐독), (瞋毒진독), 어리석음(痴毒치독)의 세 가지

鎭庫銀(진고은) : 오래오래 창고 속에서 쓰일 데 없이 자리만 지키고 있는 것. 많이 알고 있다면서도 실행하지 않는 것을 이른다.

 

 

 

 

산과바다 이계도

'禪詩 > 寒山詩集(寒山, 拾得, 豊干) 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산시(寒山詩) 093  (0) 2024.03.22
한산시(寒山詩) 092  (0) 2024.03.22
한산시(寒山詩) 090  (0) 2024.03.22
한산시(寒山詩) 089  (0) 2024.03.22
한산시(寒山詩) 088  (0) 2024.03.2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