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 詩 ***/東坡居士 蘇軾 詩

浣溪沙(遊蘄水清泉寺 寺臨蘭溪 溪水西流) 완계사(유기수청천사 사림난계 계수서류) : 소식(蘇軾)

by 산산바다 2022. 9. 30.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浣溪沙(遊蘄水清泉寺 寺臨蘭溪 溪水西流) 완계사(유기수청천사 사림난계 계수서류) : 소식(蘇軾)

            기수에 있는 청천사를 놀러 갔더니 절이 난계(蘭溪)에 접해 있고 개울물이 서쪽으로 흐르고 있다.

            (浣溪沙는 사패명(詞牌名)이다.)

 

山下蘭芽短浸溪松間沙路凈無泥蕭蕭暮雨子規啼

誰道人生無再少門前流水尚能西休將白髮唱黃雞

 

 

山下蘭芽短浸溪(산하란아단침계) : 산 아래 난초 싹은 개울에 잠겨 움트며

松間沙路淨無泥(송간사로정무니) : 소나무 사이 모랫길은 티 없이 깨끗하네.

蕭蕭暮雨子規啼(소소모우자규제) : 저녁 비 쓸쓸히 내리는데 두견새 우네.

誰道人生無再少(수도인생무재소) : 누가 인생은 다시 젊어질 수 없다고 말했나?

門前流水尚能西(문전류수상능서) : 문 앞에 개울물은 오히려 서쪽으로 흐를 줄 아니

休將白發唱黃雞(휴장백발창황계) : 백발이 되어 노란 닭이 새벽을 재촉하여 노래하지 말라.

 

 

* 浣溪沙(완계사) : 浣溪沙(완계사)는 당나라의 교방곡명이었다가 후에 사패명(詞牌名)이 되었으며, 소정화(小庭花)라고도 한다. 쌍조 42자이다. 이 사의 서문에기수에 있는 청천사를 놀러 갔더니 절이 난계(蘭溪)에 접해 있고 개울물이 서쪽으로 흐르고 있다 (游蘄水清泉寺寺臨蘭溪溪水西流.)”고 서술하였다.

* 蕲水(기수) : ()의 이름이며, 지금의 호북(湖北) 희수현(浠水縣)을 말한다.

* 清泉寺(청천사) : 절 이름. 지금의 기수현(蕲水縣) 성 밖에 있는 절.

* 蘭芽(난아) : 난초의 싹.

* 短浸溪(단침계) : 처음 자란 난초의 싹이 짧아 물에 잠겨 있음을 말한다.

* 蕭蕭(소소) : 쓸쓸함. [의성어] (바람이 부는 소리) 쏴쏴. 휙휙.

* 子規(자규) : 두견새.

* 無再少(무재소) : 다시 젊어지지 못한다.

* 尚能西(상능서) : 중국의 강은 일반적으로 서쪽에서 동쪽으로 흐르는데 물이 오히려 서쪽으로 흐르고 있다는 뜻. 인생도 물이 거꾸로 흐르듯이 다시 젊어질 수 있다고 비유한 표현.

* () : 하지 마라.

* 黃雞(황계) : 백거이(白居易)의 시취가(醉歌)/취가시기인상영롱(醉歌示妓人商玲瓏)누런 닭은 새벽을 재촉하여 오전 두 시(丑時)에 울고, 하얀 해는 한 해가 저무는 것을 재촉하여 오후 여섯시(酉時) 전에 진다. (黃雞催曉丑時鳴 白日催年酉前没)”는 표현을 인용한 것으로 새벽이 오기 전에 우는 닭과 빨리 지는 해를 한탄한 표현이다.

 

이 사()는 전송사(全宋詞)에 실려 있으며 송() 신종(神宗) 원풍(元豐) 5(1082) 3월 소식(蘇軾)47세 때 황주에 유배되어 있는중 병이 들었다가 처음 완쾌되어 청천사(清泉寺)에 놀러 가서 지은 사이다. 청천사(清泉寺)에서 봄날 난초의 싹이 트는 모습을 보고 날이 저물면서 비가 내리고 두견새 소리가 들리니, 삶을 되돌아보며 인생은 다시 젊어지지 않는다고 말하지만 늙어간다고 슬퍼만 하고 있지 말아야 한다는 노래이다. 소식은 완계사(浣溪沙)라는 제목으로 다수의 사를 지었다.

 

 

 

 

산과바다 이계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