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 詩 ***/東坡居士 蘇軾 詩

浣溪沙(自適) 완계사(자적) : 소식(蘇軾)

by 산산바다 2022. 9. 30.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浣溪沙(自適) 완계사(자적) : 소식(蘇軾)

            유유자적(悠悠自適)하게 살리라. (浣溪沙는 사패명(詞牌名)이다.)

 

傾蓋相逢勝白頭故山空復夢松楸此心安處是菟裘

賣劍買牛真欲老乞漿得酒更何求願為辭社宴春秋

 

 

傾蓋相逢勝白頭(경개상봉승백두) : 수레 맞대고 잠시 만나도 백발이 되도록 알고 지낸 것보다 나은데

故山空復夢松楸(고산공부몽송추) : 고향의 소나무와 개오동이 공연히 꿈에 다시 보이네.

此心安處是菟裘(차심안처시토구) : 이 마음 편한 곳이 은거할 곳이로다.

 

賣劍買牛真欲老(매검매우진욕로) : 칼을 팔아 소를 사서 농부가 되어 늙고 싶고

乞漿得酒更何求(걸장득주갱하구) : 마실 것 구하려다 술을 얻거늘 다시 무엇을 구하리?

願為辭社宴春秋(원위사사연춘추) : 봄가을의 제사 잔치는 사양하고 싶다네.

 

 

* 浣溪沙(완계사) : 游蘄水清泉寺(유기수청천사) : 浣溪沙(완계사)는 당나라의 교방곡명이었다가 후에 사패명(詞牌名)이 되었으며, 소정화(小庭花)라고도 한다. 쌍조 42자이다.

* 自適(자적) : 무엇에도 속박됨이 없이 마음 내키는 대로 생활함. 유유자적(悠悠自適).

* 傾蓋相逢(경개상봉) : 잠깐 만나도 오래된 사람처럼 친하다. 수레를 타고 가다가 서로 마주쳐 잠깐 차양을 기울이고 이야기를 나누었는데 마치 오랜 친구인 것처럼 정감이 간다는 뜻이다. <사기 노중련, 추양열전>속담에백발이 되도록 알게 지냈으나 여전히 낯설고, 지나다 수레의 차양을 잠깐 기울였는데도 오래 된 것 같다.’고 했습니다.왜 그럴까요? 알고 모르고의 차이 때문입니다. (諺曰:「有白頭如新, 傾蓋如故.何則知與不知也.)”라는 표현이 있다.

* 松楸(송추) : 소나무와 개오동나무. 묘 자리 근처에 심는 나무.

* 菟裘(토구) : 벼슬에서 물러나 은거할 곳. 토구(菟裘)는 지금의 중국 산동성(山東省) 사수현(泗水縣) 있으며, 토구지지(菟裘之地)는 벼슬을 내놓고 은거하는 곳이나 노후에 여생을 보내는 곳을 이르는 말로 노()나라 은공(隱公)이 토구의 땅에서 은거하였다는 데서 유래하였다.

* 賣劍買牛(매검매우) : 칼을 팔아 소를 산다는 말로서 봉기한 농민들로 하여금 칼을 놓고 농사일을 하도록 한다는 말이었으나 후에는 직업을 고쳐 농사일에 종사함을 뜻하거나 잘못을 뉘우치는 말로 사용되었다. 전한(前漢)의 선제(宣帝)때 명신이었던 공수(龔遂)가 발해태수가 되자 농민들이 허리에 차고 있는 칼을 팔아 소를 사도록 하여 도적떼로 혼란한 지역을 다스렸다. <漢書 卷八十九 循吏傳 第五十九>

* 乞漿得酒(걸장득주) : 목이 말라 물을 구하다가 술을 얻다. 바라던(기대한)것 이상의 것을 얻다.

* 社宴(사연) : 옛날에는 봄과 가을 사일(社日)에 토지신에게 제사를 지내고 잔치를 벌였는데 그날 사용하는 술을 사주(社酒)라 불렀다. 사일이 되면 주민들은 술안주와 싱싱한 과일들을 들고 사신(社神)에게 제사를 지내고 함께 모여 술을 마시며 즐겁게 놀았다.

 

이 사()는 동파전집(東坡全集)에 실려 있으며 송() 신종(神宗) 원풍(元豊) 6(1083)에 지은 사로 소식(蘇軾)은 원풍(元豐) 3(1080) 2월 황주(黃州)로 좌천되어 원풍7(1084)까지 황주에 머물렀다. 황주에 머물면서 고향이 그립지만 머물러 사는 곳에 정을 붙이고 사는 편이 더 낫다며, 자신을 달래고 은둔하며 유유자적하게 살리라는 마음을 표현한 사이다.

 

 

 

 

산과바다 이계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