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과바다
魚蠻子(어만자) : 소식(蘇軾)
고기로 식량을 삼고 배로 집을 삼는 자
江淮水爲田,舟楫爲室居。魚蝦以爲糧,不耕自有余。異哉魚蠻子,本非左衽徒。連排入江住,竹瓦三尺廬。
於焉長子孫,戚施且侏儒。擘水取魴鯉,易如拾諸途。破釜不著鹽,雪鱗芼靑蔬。一飽便甘寢,何異獺與狙。
人間行路難,踏地出賦租。不如魚蠻子,駕浪浮空虛。空虛未可知,會當算舟車。蠻子叩頭泣,勿語桑大夫。
江淮水爲田(강회수위전) : 회수의 강물을 밭으로 삼고
舟楫爲室居(주즙위실거) : 배와 노는 사는 집이 되네.
魚蝦以爲糧(어하이위량) : 물고기와 새우 잡아 식량으로 하니
不耕自有餘(불경자유여) : 밭 갈지 않아도 넉넉하다네.
異哉魚蠻子(이재어만자) : 이상하다~ 고기 잡는 어만자여
本非左袵徒(본비좌임도) : 본래 미개한 무리는 아니었는데
連排入江住(연배입강주) : 뗏목으로 강에 들어가 사니
竹瓦三尺廬(죽와삼척려) : 대나무 지붕의 삼척 오두막이네.
於焉長子孫(어언장자손) : 여기서 자손을 기르지만
戚施且侏儒(척시차주유) : 곱추와 난장이라네.
擘水取魴鯉(벽수취방리) : 물을 가르며 방어와 잉어 잡는데
易如拾諸途(역여습제도) : 길에서 줍듯이 쉽구나.
破釜不著鹽(파부불저염) : 깨어진 솥에 소금을 뿌리지 않아
雪鱗芼靑蔬(설린모청소) : 허연 살 고기에 퍼런 푸성귀 국
一飽便甘寢(일포편감침) : 배부르면 단잠을 자니
何異獺與狙(하리달여저) : 수달과 원숭이와 다를 것이 없구나
人間行路難(인간행로난) : 인간사 가는 길 어렵다네.
踏地出賦租(답지출부조) : 발 닿는 땅마다 세금을 물리니
不如魚蠻子(불여어만자) : 어만자만 못하네.
駕浪浮空虛(가랑부공허) : 물결 타고 허공에 떠 사는~
空虛未可知(공허미가지) : 허공은 알 수 없지만
會當算舟車(회당산주거) : 배와 수레도 마땅히 계산하네.
蠻子叩頭泣(만자고두읍) : 어만자는 머리를 조아리며
勿語桑大夫(물어상대부) : 제발 관리에게 말하지 말라 하네.
* 魚蠻子 : 고기로 식량을 삼고 배로 집을 삼는 자
* 左袵(좌임) : 좌임(左衽) : 중국 북방의 미개한 이민족
* 連排(연배) : 뗏목 배 : 세로로 늘어선 줄 배, 늘어설 배
* 於焉(어언) : 여기서 우시(于是)
* 戚施(척이) : 곱추 施 : 기울 이
* 擘 : 나눌 벽 / 엄지손가락 벽 = 巨擘
* 魴鯉(방리) : 방어와 잉어
* 鱗(린) : 물고기 린, 비늘 린 片鱗 逆鱗 濯鱗淸流 鱗潛羽翔
* 芼(국 모) : 나물 모
* 桑大夫(상대부) : 漢 武帝 때 염철(鹽鐵)을 관리하고 평진법(平進法)을 만든 상홍양(桑弘洋)을 말함.
산과바다 이계도
'*** 詩 *** > 東坡居士 蘇軾 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永遇樂(彭城夜宿燕子樓 夢盼盼 因作此詞) 영우락(팽성야숙연자루 몽반반 인작차사) : 소식(蘇軾) (0) | 2022.09.28 |
---|---|
江郊(並引) 강교(병인) : 소식(蘇軾) (0) | 2022.09.28 |
行香子(過七里灘) 행향자(과칠리탄) : 소식(蘇軾) (0) | 2022.09.28 |
漁父四首(어부사수) : 소식(蘇軾) (0) | 2022.09.28 |
陽關曲{中秋作 本名(小秦王) 入腔卽<陽關曲>) 양관곡 : 소식(蘇軾) (0) | 2022.09.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