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과바다
吳中田婦嘆(和賈收韻) 오중전부탄(화가수운) : 소식(蘇軾)
오중 지방 농촌 아낙의 탄식(벼값에 화운하여)
今年粳稻熟苦遲,庶見霜風來几時。霜風來時雨如瀉,耙頭出菌鐮生衣。
眼枯淚盡而不盡,忍見黃穗臥青泥。茹苦一月被上宿,天晴獲稻隨車歸。
汗流肩赤載入市,价賤乞与如糠犧(粞)。賣牛納稅拆屋炊,慮淺不及明年饑。
官今要錢不要米,西北万里招鬼儿。龔黃滿朝人更苦,不如卻作河伯歸。
今年粳稻熟苦遲(금년갱도숙고지) : 올해는 벼가 하도 늦게 익어서
庶見霜風來幾時(서견상풍래기시) : 서릿바람 불기만을 간절히 기다리네.
霜風來時雨如瀉(상풍래시우여사) : 서릿바람 불 때 큰비가 쏟아져서
杷頭出菌鎌生衣(파두출균겸생의) : 쇠스랑과 낫자루에 곰팡이 피어나네.
眼枯淚盡雨不盡(안고루진우부진) : 눈물이 다 마르도록 비는 멎지 않아
忍見黃穗臥靑泥(인견황수와청니) : 벼 이삭이 진흙에 잠김을 차마 못 보겠네.
茅苫一月隴上宿(모점일월롱상숙) : 논두둑에 거적치고 한 달 동안 지내다가
天晴穫稻隨車歸(천청확도수거귀) : 날이 개자 벼를 베어 수레에 싣고 돌아왔네.
汗流肩赬載入市(한류견정재입시) : 땀 흘리며 멍든 어깨로 시장에 지고 가니
價賤乞與如糠粞(가천걸여여강서) : 벼 값이 헐값이라 싸라기처럼 줘버렸네.
賣牛納稅拆屋炊(매우납세탁옥취) : 소를 팔아 세금 내고 집을 뜯어 밥을 지으며
慮淺不及明年飢(려천불급명년기) : 내년에 굶을 일은 생각도 할 수 없네.
官今要錢不要米(관금요전불요미) : 관에서 요즘은 쌀 안 받고 돈만 받아
西北萬里招羌兒(서북만리초강아) : 서북 만리서 강족 상인을 불러오네.
龔黃滿朝人更苦(공황만조인갱고) : 훌륭한 관리가 많다지만 백성들은 더 괴로워
不知却作河伯婦(부지각작하백부) : 차라리 하백의 아내가 되느니만 못하네.
* 河伯 : 물과 강(江)을 관장하는 신. 황하의 신
* 하백(河伯) : 중국은 황허를 중심으로 고대문명이 발생했다. 신화적 주인공이 모두 어사(魚蛇)나 龍인 수신이다. 은족도, 주족도 황허와 깊은 관계가 있는 종족이다. 황허에 대한 제의와 신앙이 많은 신화를 만들었다. 그중에도 하백(河伯) 신화는 풍부한 고사성과 낭만성을 갖추고 있다.
일반적으로 하백(河伯)은 황허신이라고 말한다. 낙수에는 낙신이 있고, 강수에는 강비가. 상수에는 상군, 또는 상부인이 있다. 황허의 신은 역대 황제들이 끊임없는 제사를 올렸다. 하신은 물고기이거나 뱀 종류의 동물에서 신인동체의 하백(河伯)을 발전했다. 신인동체의 하백신(河伯神)은 세월이 흐르면서 차차 인격화의 과정을 거쳤다. 이런 이유로 하백(河伯)은 일반적인 강의 신이라는 의미를 가지면서, 황허의 물을 관리하는 현실세계의 질서가 신화에 투영되었다.
산과바다 이계도
'*** 詩 *** > 東坡居士 蘇軾 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莘老葺天慶觀小園有亭北向道士山宗說乞名與詩(신노즙천경관소원유정북향도사산종열걸명여시) : 소식(蘇軾) (0) | 2022.09.17 |
---|---|
遊道場山何山(유도장산하산) : 소식(蘇軾) (0) | 2022.09.17 |
和邵同年戲贈賈收秀才三首(화소동년희증가수수재삼수) : 소식(蘇軾) (0) | 2022.09.17 |
和致仕張郞中春晝(화치사장낭중춘주) : 소식(蘇軾) (0) | 2022.09.17 |
鴉種麥行(아종맥항) : 소식(蘇軾) (0) | 2022.09.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