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 詩 ***/東坡居士 蘇軾 詩

渚宮(저궁) : 소식(蘇軾)

by 산산바다 2022. 9. 8.

산과바다

노랑제비꽃

蘇軾 詩 HOME

 

 

 

                     渚宮(저궁) : 소식(蘇軾)

                     물가의 궁전

 

渚宮寂寞依古郢楚地荒茫非故基二王臺閣已鹵莽何況遠問縱橫時

楚王獵罷擊靈鼓猛士操舟張水嬉釣魚不復數魚鱉大鼎千石烹蛟螭

當時郢人架宮殿意思絕妙般與倕飛樓百尺照湖水上有燕趙千峨眉

臨風揚揚意自得長使宋玉作楚詞秦兵西來取鐘簴故宮禾黍秋離離

千年壯觀不可復今之存者蓋已卑池空野迥樓閣小惟有深竹藏狐貍

臺中絳帳誰復見臺下野浮清漪綠窗朱戶春晝閉想見深屋彈朱絲

腐儒亦解愛聲色何用白首談孔姬沙泉半涸草堂在破窗無紙風颸颸

陳公蹤跡最未遠七瑞寥落今何之百年人事知幾變直恐荒廢成空陂

誰能為我訪遺跡草中應有湘東碑

 

 

渚宮寂莫依古郢(저궁적막의고영) : 저궁은 적막하게 옛 영 땅에 남았는데

楚地荒茫非故基(초지황망비고기) : 초나라 당은 황량하여 옛 터전이 아니로다

二王臺閣己鹵莽(이왕대각기로망) : 두 왕 시절의 누각이 이미 거칠고 황폐하고

何況遠間縱橫時(하황원간종횡시) : 합종하고 연횡 하던 먼 옛날을 물으랴?

楚王獵罷擊靈鼓(초왕엽파격영고) : 초왕이 사냥을 끝내면 영고를 울려대고

猛士操舟張水嬉(맹사조주장수희) : 힘센 사내들 배를 몰며 물놀이를 펼쳤겠네.

釣魚不復數魚鼈(조어불복수어별) : 낚시함에 더 이상 고기와 자라를 세지 않고

大鼎千石烹蛟螭(대정천석팽교리) : 천석 짜리 큰 솥에는 교룡과 이룡을 삶았겠네.

當時郢人架宮殿(당시영인가궁전) : 당시에 영인 들이 궁전을 지었나니

意思絶妙般與倕(의사절묘반여수) : 공수반과 공수처럼 구상이 절묘했겠네.

飛樓百尺照湖水(비루백척조호수) : 날렵한 누각 백 자나 솟아 호수에 비치면

上有燕趙千蛾眉(상유연조천아미) : 누각 위엔 연, 조나라 미인들이 득실댔겠네.

臨風揚揚意自得(임풍양양의자득) : 바람을 맞으며 의기양양 마음이 흡족하여

長使宋玉作楚辭(장사송옥작초사) : 언제나 송옥에게 초사를 짓게 했겠네.

秦兵西來取鐘簴(진병서래취종거) : 진나라 군사가 서쪽에서 와 종을 떼어 간 후

故宮禾黍秋離離(고궁화서추이리) : 초나라 고궁은 논으로 변해 벼 이삭 늘어졌네.

千年壯觀不可復(천년장관불가복) : 천년의 장관은 회복할 길이 없고

今之存者蓋已卑(금지존자개이비) : 지금 남아 있는 것도 이미 보잘것 없어졌네.

池空野逈樓閣小(지공야형누각소) : 연못은 비고 들은 넓고 누각은 작은데

惟有深竹藏狐狸(유유심죽장호리) : 깊숙한 대숲에는 여우 너구리가 숨어 있네.

臺中絳帳誰復見(대중강장수복견) : 누대 안의 붉은 휘장에 더 이상 누가 보이랴

臺下野水浮淸漪(대하야수부청의) : 누대 아래 들판의 강에 맑은 물결만 가득하네

綠窗朱戶春晝閉(녹창주호춘주폐) : 봄 낮에도 닫혀 있는 푸른 창과 붉은 문이

想見深屋彈朱絲(상견심옥탄주사) : 고요한 이 집에서 고운 악기 탔을 테지

腐儒亦解愛聲色(부유역해애성색) : 고리타분한 선비도 음악과 여색을 알았거늘

何用白首談孔姬(하용백수담공희) : 허연 머리로 공자와 주공을 얘기해 무엇하리

沙泉半涸草堂在(사천반학초당재) : 모래땅 샘은 반쯤 마르고 초당은 아직 남았는데

破窗無紙風颸颸(파창무지풍시시) : 부서진 창에 종이가 없어 바람이 솔솔 부네.

陳公踪迹最未遠(진공종적최미원) : 진공의 종적이야 오래되지 않았지만

七瑞寥落今何之(칠서요락금하지) : 칠서는 쓸쓸하게 지금 어디로 갔는가?

百年人事知幾變(백년인사지기변) : 백 년 인간사야 변화가 많을 줄 알지만

直恐荒廢成空陂(직공황폐성공피) : 다만 황폐해져 빈 언덕으로 변할까 두렵네.

誰能爲我訪遺迹(수능위아방유적) : 그 누가 나를 위해 유적을 찾아 주려나?

草間應有湘東碑(초간응유상동비) : 풀밭 속에 틀림없이 상동비가 있을 텐데

 

 

* 저궁(渚宮) : 물가의 궁전. 춘추시대[春秋時代] []나라 성왕[成王]이 세운 궁전. 오늘날의 강릉현(江陵縣) 남쪽에 있었음. <팔월십오일야금중독직대월억원구(八月十五日夜禁中獨直對月憶元九)-백거이(白居易)>詩에

渚宮東面煙波冷 浴殿西頭鐘漏深 그대 있는 강릉(江陵)의 저궁 동쪽은 물안개 차가우리, 이곳 욕전 서편 한림원은 종루 소리도 밤 깊었다네.

 

* 湘東王(상동왕) : 明帝(439~472): 이름은 유욱(劉彧), 자는 체병(体炳)이다. 文帝11번째 아들이다. 처음에 회양왕(淮陽王)에 봉해졌다가 상동왕(湘東王)에 봉해졌다. 景和 元年(465) 12월에 前廢帝가 피살되자 황제에 즉위하여 연호를 태시(泰始)라 하였다. 즉위 초 사방에서 반란이 발생하였는데, 강주자사(江州刺史) 진안왕(晉安王) 유자훈(劉子勛)의 반란을 평정한 뒤 효무제(孝武帝)의 아들 28인을 살해하였다. 만년에 살인을 좋아하였고 또 태자가 어린 것을 염려하여 아우들을 모두 죽였다고 전한다.

 

 

 

 

산과바다 이계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