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 詩 ***/東坡居士 蘇軾 詩

屈原塔(굴원탑) : 소식(蘇軾)

by 산산바다 2022. 9. 6.

산과바다

굴원

蘇軾 詩 HOME

 

 

 

                      屈原塔(굴원탑) : 소식(蘇軾)

                      굴원을 기리기 위해 세운 탑

 

原題屈原塔在忠州原不當有塔於此意者後人追思故為作之

굴원탑은 충주에 있는데 원래 이 탑이 이곳에 있어야 할 것이 아닌데 뜻있는 후대 사람이 굴원을 추모하여 이곳에 세운 것이다.

 

楚人悲屈原千歲意未歇精魂飄何處父老空哽咽至今滄江上投飯救饑渴

遺風成競渡哀叫楚山裂屈原古壯士就死意甚烈世俗安得知眷眷不忍決

南賓舊屬楚山上有遺塔應是奉佛人恐子就淪滅此事雖無憑此意固已切

古人誰不死何必較考折名聲實無窮富貴亦暫熱大夫知此理所以持死節

 

 

楚人悲屈原(초인비굴원) : 초나라 사람들은 굴원의 신세를 슬퍼하여

千載意未歇(천재의미헐) : 천년 토록 그 마음 식을 줄을 모르네

精魂飄何處(정혼표하처) : 정결한 그 영혼 어디를 떠도는가?

父老空哽咽(부노공경연) : 어르신들 공연히 목이 메이네.

至今滄江上(지금창강상) : 오늘날에 이르도록 滄江(푸른 장강) 위에서

投飯救飢渴(투반구기갈) : 밥을 던져 굴원의 기갈을 구해 주네.

遺風成競渡(유풍성경도) : 전해진 풍속이 용주 경기 이루니

哀叫楚山裂(애규초산열) : 애절한 절규에 초 지방의 산이 찢어지네.

屈原古壯士(굴원고장사) : 굴원은 옛날의 장엄한 선비였지

就死意甚烈(취사의심열) : 죽음으로 가는 마음 무척이나 장렬했네.

世俗安得知(세속안득지) : 세인들이 어떻게 알 수 있었으리

眷眷不忍決(권권불인결) : 임금을 잊지 못해 선뜻 결행치 못했음을

南賓舊屬楚(남빈구속초) : 그 옛날 초나라 땅 남빈 고을에

山上有遺塔(산상유유탑) : 산 위에 전해 오는 탑이 있네.

應是奉佛人(응시봉불인) : 틀림없이 부처님을 받드는 이가

恐子就淪滅(공자취윤멸) : 그대 자취 없어질까 두려워서 세웠으리

此事雖無憑(차사수무빙) : 이 일이야 근거가 없을지 모르지만

此意固已切(차의고이절) : 이 마음은 참으로 너무나 애절하네.

古人誰不死(고인수불사) : 옛사람 가운데 죽지 않는 이 없거늘

何必較考折(하필교고절) : 장수와 요절을 따져서 무엇하리?

名聲實無窮(명성실무궁) : 명성은 실로 끝이 없는 법이고

富貴亦暫熱(부귀역잠열) : 부귀는 역시 잠시만 뜨거운 법이네.

大夫知此理(대부지차리) : 삼려대부 굴원은 이 이치를 잘도 알아

所以持死節(소이지사절) : 죽음으로서 절개를 굳게 지켰네.

 

 

屈原塔 可以指

* 屈原塔 (蘇軾)

* 屈原塔 (蘇轍)

 

* 屈原塔(굴원탑) : 굴원을 기리기 위해 세운 탑이다. 이 시의 원제는 屈原塔,在忠州,原不當有塔于此,意者後人追思,故爲作之(굴원탑, 충주에 있는데 원래 이탑이 이곳에 있어야 할 것이 아닌데 뜻있는 후대 사람이 굴원을 추모하여 이곳에 세운 것이다)’라고 되어 있다.

 

* 굴원(屈原)

* 굴원 : (B.C. 343년 추정 ~ B.C. 278년 추정) 전국시대(戰國时代) 초(楚)의 충신·시인. 자는 원(原), 이름은 평(平). 왕족 출신으로 회왕(懷王)의 좌도(左徒)가 되어 내정과 외교에 우수한 능력을 발휘했으나 다른 신하들의 미움을 받았으며, 경양왕(頃襄王)때 대부(大夫)의 참언으로 영도에서 추방된 뒤 초(楚)와 왕을 걱정하며 동정호(洞庭湖) 근처를 방랑하다가 멱라수(汨罗水)에 몸을 던져 죽었다.

이때가 5월 5일로 그 후부터 이곳에 공물(供物)을 바치는 습속이 생겨났다. 이소(離騷)를 비롯하여 어부사(漁父辞) 등 그의 작품들은 왕에게 버림받은 뒤 씌어진 것으로, 우수가 짙게 스며있는 작품이며 고대문학사상 가장 뛰어난 시인으로 평가되며 초사문학(楚辞文学)의 창시자로서 초사(楚辞)에 모두 25편의 작품이 수록되어 있다.

 

* 千載(천재) : 천년. 긴 세월을 가리킨다.

* 精魂(정혼) : 영혼. 정신.

* 哽咽(경인) : 목이 메다.

* 滄江(창강) : 굴원이 몸을 던져 죽은 멱라수(汨羅水)를 가리킨다.

* 投飯(투반)競渡(경도) : 중국의 단오절 풍속과 관련된 것으로 굴원의 억울한 죽음을 애도하는 뜻으로 후대의 사람들이 굴원의 시신을 찾기 위해 배를 타고 북을 치며 물고기를 쫓고, 물고기들이 물에 잠긴 굴원의 몸을 훼손시키지 말라는 뜻으로 먹이를 던져 주던 것이 오늘날 용선제(龍船祭)와 쫑즈(粽子)의 기원이 되었다고 한다.

* 眷眷(권권) : (가엽게 여기어) 늘 마음속으로 잊지 않는 모양

* 淪滅(윤멸) : 사라지다. 소멸하다.

* 南賓(남빈) : 지명

 

 

 

 

산과바다 이계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