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과바다
題義公禪房(제의공선방)/題大禹寺義公禪房(제대우사의공선방) : 맹호연(孟浩然)
(대우사) 의공의 선방에서
義公習禪寂(의공습선적) : 의공스님 고요히 참선에 드시고자
結宇依空林(결우의공림) : 고요한 숲속에 의지해 선방을 지으셨네.
戶外一峯秀(호외일봉수) : 집 밖에는 빼어난 봉우리에
階前重壑深(계전골학심) : 섬돌 앞 겹친 골짜기들 깊기도 하구나.
夕陽連雨是(석양연우시) : 석양에 비는 부슬부슬 내리고
空翠落庭陰(공취낙정음) : 빈산의 푸른 기운 뜰 아래 내려앉네.
看取蓮花淨(간취연화정) : 정갈하게 핀 연꽃을 바라보다가
方知不染心(방지불염심) : 속세에 물들지 않은 마음 알았네.
* 義公(의공) : 당시 어느 고승
* 禪寂(선적) : 좌선하여 입정하다.
* 空翠(공취) : 산빛이 푸르고 밝다.
* 庭陰(정음) : 뜰에 해가 비치지 않는 곳
* 取(취) : 뜻 없는 어조사
* 不染心(불염심) : 진흙탕에 뿌리를 내리고도 아름다운 꽃을 피워내는 연꽃에 수행자의 청정한 마음을 비유해서 말한 것이다.
대우사(大禹寺)는 회계산에 있는 사찰이고 의공(義公)은 의(義)자가 들어가는 법호를 가진 승려를 말한다. 맹호연(孟浩然)이 오월 지역을 유람하다가 의공 선방을 방문한 뒤에 그 선방에 대하여 써준 시이다.
그러므로 이 시는 승려 의공을 찬미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그런데 보다시피 이 시에서 의공을 찬미한 것이 명시적으로 드러난 구절은 없다. 마지막 구만이 중의법으로 의공도 연꽃처럼 세속에 물들지 않고 청정한 것을 상상해 볼 수 있을 뿐이다.
의공은 적막한 가운데 참선하는 것이 일상이 되어 거처도 인적이 드문 숲에 마련했다, 이는 구체적 사실이다. 선방의 대문 밖에 보이는 큰 산과 바로 앞을 흐르는 여러 계곡물은 경치를 묘사한 것이지만 의공의 인품이기도 하다.
우족(雨足)은 빗줄기를 말한다. 석양이 이런 빗줄기를 이었다는 말은 비가 그치자 곧 날이 개어 아름다운 석양이 비치는 것을 말한다. 여름철 비가 그치고 석양이 비치는 저녁은 얼마나 청정하고 아름답겠는가. 또 허공에 비치는 숲의 푸른 기운이 그늘진 정원에 어려 있으니 얼마나 그윽하겠는가? 이 세상에 존재하는 참다운 기쁨이 마음에 충일해질 것이다. 이러한 묘사는 실제 의공의 거처를 묘사한 것이기도 하면서 또한 의공의 정신세계를 묘사한 것이기도 하다.
이 모두는 더러운 곳에서 자라도 그 더러움에 물들지 않고 맑고 깨끗하며 고귀한 꽃을 피우는 연꽃과 같다. 시 전편에 걸쳐 선방 주변의 경치를 묘사하였지 만 그 안에는 자연 의공의 인품에 대한 찬미가 담겨 있다. 그러므로 이 이 시는 산수시의 진면목을 보인 동시에 언어로 그려낸 한 폭의 격조 높은 산수화이기도 한 것이다.
산과바다 이계도
'*** 詩 *** > 孟浩然 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망동정호증장승상(望洞庭湖贈張丞相)/임동정호증장승상(臨洞庭湖贈張丞相) : 맹호연(孟浩然) (0) | 2022.06.26 |
---|---|
세모귀남산(歲暮歸南山) : 맹호연(孟浩然) (0) | 2022.06.26 |
진중기원상인(秦中寄遠上人)/진중감추기원상인(秦中感秋寄遠上人) : 맹호연(孟浩然) (0) | 2022.06.26 |
숙동려강기광능구유(宿桐廬江寄廣陵舊游)/宿廬江寄廣陵舊游 : 맹호연(孟浩然) (0) | 2022.06.26 |
청명일연매도사방(淸明日宴梅道士房)/연매도사산방(宴梅道士山房) : 맹호연(孟浩然) (0) | 2022.06.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