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 詩 ***/樂天 白居易 詩

향로봉하신치초당(香鑪峯下新置草堂) - 백거이(白居易)

by 산산바다 2021. 1. 31.

산과바다

향로봉(香鑪峯)

白居易 詩 HOME

 

 

 

        향로봉하신치초당(香鑪峯下新置草堂) - 백거이(白居易)

        향로봉 아래에 초당 지어

 

 

香鑪峯北面(향로봉배면) : 향로봉 북쪽

遺愛寺西偏(유애사서편) : 유애사의 서쪽 치우친 곳

白石何鑿鑿(백석하착착) : 흰 바위는 어찌나 착착하고

淸流亦潺潺(청류역잔잔) : 맑게 흐르는 물도 잔잔하도다.

有松數十株(유송삭십주) : 소나무가 수십 그루 있고

有竹千餘竿(유죽천여간) : 대나무가 천여 그루나 있도다.

松張翠傘蓋(송장취산개) : 소나무는 비취빛 우산 펼친 듯 하고

竹倚靑琅玕(죽의청랑간) : 대나무는 푸른 옥돌에 의지하여 있다.

其下無人居(기하무인거) : 그 아래에 사는 사람 아무도 없어

悠哉多歲年(유재다세년) : 아득하다, 많은 세월이 흘렀구나.

有時聚猿鳥(유시취원조) : 때때로 원숭이와 새들이 모여들고

終日空風煙(종일공풍연) : 종일토록 쓸쓸히 바람과 이내만 인다.

時有沈冥子(시유침명자) : 당시에 깊숙한 곳에 사는 녀석 있었으니

姓白字樂天(성백자낙천) : 성은 백이요 자는 낙천이었단다.

平生無所好(평생무소호) : 평생토록 좋아하는 것이 없다가

見此心依然(견차심의연) : 이것을 보고 마음이 흡족했단다.

如獲終老地(여획종노지) : 마침내 늙어 죽을 곳을 얻은 듯하여

忽乎不知還(홀호부지환) : 갑자기 돌아갈 줄을 몰라 했어라.

架巖結茅宇(가암결모우) : 바위사이 가로 질러 작은 초가집 짓고

斲壑開茶園(착학개다원) : 골짜기를 파서 차밭을 만들었단다.

何以洗我耳(하이세아이) : 어디 가서 나의 귀를 씻으리오

屋頭飛落泉(옥두비낙천) : 처마모리에서 날아 떨어지는 샘이 있도다.

何以洗我眼(하이세아안) : 어디 가서 나의 눈을 씻으리오.

砌下生白蓮(체하생백련) : 섬돌 아래에는 백련 꽃이 피었구나.

左手攜一壺(좌수휴일호) : 왼손에는 술 한 병을 들고

右手挈五絃(우수설오현) : 오른손에는 거문고 끼고 다녔단다.

傲然意自足(오연의자족) : 도도하게도 뜻이 절로 만족하여

箕踞於其間(기거어기간) : 그 사이에 다리를 걸터앉았단다.

興酣仰天歌(흥감앙천가) : 술에 취하여 하늘을 쳐다보고 노래하니

歌中聊寄言(가중료기언) : 노래 속에 애오라지 할 말을 담았도다.

言我本野夫(언아본야부) : 나는 본시 시골 사람으로

誤爲世網牽(오위세망견) : 잘못하여 세속의 그물에 걸렸단다.

時來昔捧日(시내석봉일) : 지난날엔 때를 만나 임금 받들었는데

老去今歸山(노거금귀산) : 늙어버린 지금에는 산으로 돌아왔단다.

倦鳥得茂樹(권조득무수) : 날다 지친 새는 무성한 숲을 얻고

涸魚反淸源(학어반청원) : 마른 물의 물고기는 맑은 물로 돌아왔단다.

捨此欲焉往(사차욕언왕) : 여기를 버리고 어디로 가겠는가,

人間多險難(인간다험난) : 인간세상은 험난한 일들이 너무나 많은 것을.

 

 

 

 

산과바다 이계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