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과바다
장간행2수(長干行二首) - 이백(李白)
장간 마을의 노래
其一
妾發初覆額(첩발초복액) : 제 앞머리가 이마를 덮을 정도로 자랐을 때
折花門前劇(절화문전극) : 꽃을 꺾어 대문 앞에서 놀았지요.
郎騎竹馬來(낭기죽마내) : 임은 죽마 타고와
繞床弄靑梅(요상농청매) : 우물 난간 맴돌면서 푸른 매화를 희롱했었죠.
同居長干里(동거장간리) : 우리는 장천리에 같이 살면서
兩小無嫌猜(량소무혐시) : 두 어린것 천진난만 했었지요.
十四爲君婦(십사위군부) : 열네 살에 임의 아내 되어
羞顔未嘗開(수안미상개) : 부끄러워 얼굴 한번 들지 못했지요.
低頭向暗壁(저두향암벽) : 고개 숙여 어두운 벽만 향하고
千喚不一回(천환부일회) : 천 번을 불러도 한 번도 돌아보지 않으셨죠.
十五始展眉(십오시전미) : 열다섯이 되어 비로소 얼굴 들고
愿同塵與灰(원동진여회) : 티끌 되고 재가 되도록 함께 하기를 원했었죠.
常存抱柱信(상존포주신) : 항상 굳은 약속 믿었는데
豈上望夫台(개상망부태) : 어찌 망부대에 오를 줄이야
十六君遠行(십륙군원항) : 열여섯 살이 되어 임은 멀리 떠나
瞿塘灩預堆(구당염예퇴) : 구당과 염초에 가셨죠.
五月不可觸(오월부가촉) : 오월엔 암초에 걸리지 않아야 하리
猿鳴天上哀(원명천상애) : 원숭이 울음소리 하늘 위로 구슬프다.
門前遲行跡(문전지항적) : 임의 대문 앞 사람의 출입은 적고
一一生綠苔(일일생녹태) : 날마다 푸른 이끼만 자라요.
苔深不能掃(태심부능소) : 이끼가 짙어져도 다 걷어내지 못하고
落葉秋風早(낙섭추풍조) : 가을바람은 일찍 불어 낙엽은 우수수
八月蝴蝶來(팔월호접내) : 팔월에 호랑나비 날아와
雙飛西園草(쌍비서원초) : 서쪽들을 쌍쌍이 날아요.
感此傷妾心(감차상첩심) : 이 정경 감상에 젖어 나의 마음 아파요.
坐愁紅顔老(좌수홍안노) : 근심에 겨워 고운 얼굴 늙어간다오.
早晩下三巴(조만하삼파) : 조만간 삼파에서 돌아오시면
預將書報家(예장서보가) : 미리 편지로 알려 주세요.
相迎不道遠(상영부도원) : 마중 가는 길 멀리도 않아요.
直至長風沙(직지장풍사) : 곧 바로 장풍사로 달려가겠어요.
* 長干行(장간행):樂府曲名.
* 長幹行(장간행) : 육조 시대의 악부 ‘잡곡가사(雜曲歌辭)’로 《장간곡長幹曲=長干曲》이라고도 한다. 원래 장강(長江) 하류에서 유행하던 민가로, 내용은 젊은 남녀의 생활과 애정을 노래한 것들이 많다. 최호 말고 이백李白, 최국보(崔國輔) 등 도 《장간곡=장간행》을 썼다. 장간(長幹)은 장간리(長幹里), 즉 고대 금릉(金陵 -지금의 남경南京)에 있던 마을 이름이다. 고대 강동에서는 산간의 공지를 ‘간(幹)’이라고 불렀는데, 《여지기승輿地紀勝》에서 “長幹是秣陵縣東里巷名, 江東謂山隴之間曰幹, 金陵五里有山岡, 其間平地民庶雜居, 有大長幹, 小長幹, 東長幹, 並是地名(장간은 말릉현 동쪽에 있는 마을 이름이다. 강동에서는 산 언덕 사이의 땅을 ‘간’이라고 하는데, 금릉에서 5리 되는 곳에 작은 산이 있고, 그사이에 있는 평지에 사람들이 섞여 사는 대장간, 소장간, 동장간이 있다. 이들 모두 지명이다).”라고 하였다. ‘행行’은 가행(歌行)을 말한다.
* 郞騎竹馬來(낭기죽마래) : 죽마竹馬에 대한 이야기가 작품에 나온 것은 이백의 장간행이 최초인 것으로 보고 있다. 진晉나라 장화張華가 쓴 《박물지博物誌》에 "小兒五歲曰鳩車之戱七歲曰竹馬之戱(어린아이들이 다섯 살 때는 구거놀이를 하고 일곱 살 때는 죽마놀이를 했다)." 라고 전하고 있다. 이후 구거죽마鳩車竹馬는 어린 시절의 놀이를 상징하게 되었다. 구거鳩車는 바퀴가 달린 새 모양의 탈 것이었던 듯하다.
* 常存抱柱信(상존포주신) : 《장자莊子 도척盜跖》에 나오는 “尾生與女子期於梁下, 女子不來, 水至不去, 抱梁柱而死(미생이 여자와 다리 밑에서 만나기로 했는데 여자가 오지 않았다. 미생은 물이 찰 때까지 자리를 뜨지 않고 있다가 마침내 다리 기둥을 껴안고 죽었다).”는 이야기 속의 남녀간 신의를 인용한 것
* 瞿塘灩澦堆(구당염예퇴) : 남자가 가는 곳은 삼협(三峽)과 무협(巫峽)을 지나야 했다. 특히 5월에는 물이 크게 불어 암초가 물 속에 잠기게 되므로 배가 난파되는 사고가 잦았다.
* 長風沙(장풍사) : 집에서 칠팔백 리나 떨어져 있는 먼 곳
其二
憶妾深閨裏(억첩심규리) : 처녀 때 규방에서 지낼 때는요
煙塵不曾識(연진불증식) : 연기 안개 구분도 못했답니다.
嫁與長干人(가여장간인) : 장간 사는 사람에게 시집오고 나서야
沙頭候風色(사두후풍색) : 모래톱에서 계절과 바람을 살피게 되었답니다.
五月南風興(오월남풍흥) : 오월에 남쪽바람 불어오면요.
思君下巴陵(사군하파릉) : 그대가 파릉으로 내려갈 걸 생각하고
八月西風起(팔월서풍기) : 팔월에 가을바람 불기 시작하면요
想君發揚子(상군발양자) : 그대가 양자강에서 출발할 걸 생각했답니다.
去來悲如何(거래비여하) : 오고 또 가는 것이 어찌 이다지도 슬픈가요.
見少離別多(견소리별다) : 보는 날은 짧고 떨어져 지내는 날 많은데
湘潭幾日到(상담기일도) : 상담에는 언제나 오실 건가요.
妾夢越風波(첩몽월풍파) : 제 꿈에는 바람 불고 파도 일었는데
昨夜狂風度(작야광풍도) : 어젯밤에도 미친 듯 바람이 불어
吹折江頭樹(취절강두수) : 강 언덕의 큰 나무를 넘어뜨렸어요.
淼淼暗無邊(묘묘암무변) : 물빛은 어두워 끝이 보이지 않았고
行人在何處(행인재하처) : 사람들은 어디 갔는지 보이지도 않던데요
好乘浮雲驄(호승부운총) : 바라느니 갈기 푸른 말 부운을 타고
佳期蘭渚東(가기란저동) : 난초 만발한 물가의 동쪽에서 그대 보고파요
鴛鴦綠蒲上(원앙록포상) : 원앙은 푸른 부들 위에서 놀고
翡翠錦屛中(비취금병중) : 물총새는 비단병풍 속에 있네요.
自憐十五餘(자련십오여) : 제 나이 열다섯 정말 안됐어요.
顔色桃花紅(안색도화홍) : 얼굴이 복사꽃처럼 곱게 피어나는데
那作商人婦(나작상인부) : 어쩌다가 장사꾼의 아내가 되어
愁水復愁風(수수부수풍) : 물 걱정 바람 근심 달고 사니 말이에요
* 妾(첩) : ‘석昔’으로 쓴 자료도 있음
* 巴陵(파릉) : 지금의 후난성湖南省 악양岳陽
* 湘潭(상담) : 후난성湖南省 일대를 말함
* 淼淼(묘묘) : 물길이 넓은 것을 이름
* 浮雲驄(부운총) : 서한西漢문제文帝가 가진 9마리 준마 중의 한 마리로 《서경잡기西京雜記》는 “漢文帝有良馬九匹, 皆天下駿足也. 名曰浮雲, 赤電, 絕群, 逸群, 紫燕騮, 祿螭驄, 龍子, 嶙駒, 絕塵, 號九逸(한문제에게 좋은 말 아홉 필이 있었는데 모두 천하의 준족이었다. 그 이름은 부운, 적전, 절군, 일군, 자연류, 녹리총, 용자, 인구, 절진이라 이들을 구일九逸이라고 불렀다).” 라고 전하고 있다.
* 蘭渚(난저) : 난초가 많이 피어있는 물가
* 翡翠(비취) : 물총새
* 長幹(=長干, 장간) : 지명, 건강建康(지금의 남경南京) 남쪽 5리 정도 되는 곳에 있었던 상인들의 집단 거주지
산과바다 이계도
'*** 詩 *** > 詩仙 李白 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숙무산하(宿巫山下) - 이백(李白) (0) | 2020.11.03 |
---|---|
관산월(關山月) - 이백(李白) (0) | 2020.11.03 |
여산요기노시어허주(廬山謠寄盧侍御虛舟) - 이백(李白) (0) | 2020.11.02 |
몽유천모음유별(夢游天姥吟留別) - 이백(李白) (0) | 2020.11.02 |
촉도난(蜀道難) - 이백(李白) (0) | 2020.11.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