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과바다
양원음(梁園吟) -이백(李白)
양원의 노래
我浮黃河去京闕(아부황운거경궐) : 내가 황하에 배 띄워 장안에서 멀리 나와
掛席欲進波連山(괘석욕진파련산) : 자리 내걸고 나아가려는데 물결이 산처럼 연속으로 다가오네.
天長水闊厭遠涉(천장수활염원섭) : 하늘은 높고 물은 넓어 멀리 갈 수 없어
訪古始及平臺間(방고시급평대간) : 옛 사적 찾아 평대에나 내려가 보련다.
平臺為客懮思多(평대위객우사다) : 평대의 나그네 되니 근심 걱정 많아
對酒遂作梁園歌(대주수작량원가) : 술을 들며 양원가를 지어본다.
卻憶蓬池阮公詠(각억봉지완공영) : 문득 봉지에 완공의 읊은 노래가 생각나
因吟淥水揚洪波(인음록수양홍파) : 이내 읊조리니 맑은 물은 큰 물결 드날리는구나.
洪波浩蕩迷舊國(홍파호탕미구국) : 큰 물결 드넓어 장안 일 모르겠고
路遠西歸安可得(로원서귀안가득) : 길이 멀어 서쪽에는 어이 갈 수 있을까
人生達命豈暇愁(인생달명기가수) : 인생의 천명을 알게 되면 어찌 수심할 겨를이 있으며
且飲美酒登高樓(차음미주등고루) : 장차 아름다운 술을 마시며 높은 누대에 오르리라
平頭奴子搖大扇(평두노자요대선) : 더벅머리 아이놈은 큰 부채를 부치니
五月不熱疑清秋(오월불열의청추) : 오월이 서늘하여 맑은 가을 같도다.
玉盤楊梅為君設(옥반양매위군설) : 옥반에 버들과 매화는 그대 위해 내어놓고
吳鹽如花皎白雪(오염여화교백설) : 오나라 소금은 꽃 같아 백설보다 희구나
持鹽把酒但飲之(지염파주단음지) : 소금으로 안주 삼아 술 들어 마실지니
莫學夷齊事高潔(막학이제사고결) : 백이 숙제처럼 고결한 것만 일삼지 말아라
昔人豪貴信陵君(석인호귀신릉군) : 옛날 신릉군은 호걸이요 귀인이었지만
今人耕種信陵墳(금인경종신릉분) : 지금 신릉군의 무덤엔 사람들이 밭갈이 하고 있다네.
荒城虛照碧山月(황성허조벽산월) : 황성은 비어 푸른 산에 달 비쳐 있고
古木盡入蒼梧雲(고목진입창오운) : 고목은 모두 다 창오의 구름 속에 들었다네.
粱王宮闕今安在(량왕궁궐금안재) : 양왕의 궁궐 지금은 어디 있느뇨.
枚馬先歸不相待(매마선귀불상대) : 매승과 사마상여가 먼저가 서로 기다리지 않으리라
舞影歌聲散淥池(무영가성산록지) : 춤추던 그림자와 노래 소리는 맑은 못에 흩어지고
空餘汴水東流海(공여변수동류해) : 공연히 변수만 남아 동쪽 바다로 흘러가는구나.
沉吟此事淚滿衣(침음차사루만의) : 이 일을 읊으니 눈물이 옷깃을 적신다.
黃金買醉未能歸(황금매취미능귀) : 황금으로 술을 사 아직 돌아가지 못하니
連呼五白行六博(련호오백행륙박) : 연속해 오백을 부르며 육박을 벌여간다.
分曹賭酒酣馳暉(분조도주감치휘) : 편을 갈라 술내기하며 해 가는 줄 모르노라
歌且謠(가차요) : 노래하고 또 노래하니
意方遠(의방원) : 뜻은 멀고도 멀도다.
東山高臥時起來(동산고와시기래) : 동산에 높이 누웠다가도 때맞춰 일어나
欲濟蒼生未應晚(욕제창생미응만) : 천하의 백성을 다스리려니 아직 늦지는 않았도다.
* 梁園(양원) : 한漢 나라 때 양효왕梁孝王이 조성한 정원을 가리킨다. ‘梁苑’이라고도쓴다(지금의 허난성河南省 개봉開封 동남쪽에 있다).
* 黃河(황하) : 강이름. ‘黃雲’으로 쓴 자료도 있다.
* 京闕(경궐) : 도읍지에 있는 궁궐. 여기서는 장안長安을 가리킨다.
* 挂席(괘석) : 돛을 올리다(= 괘범掛帆. 양범揚帆). 사령운謝靈運은「遊赤石進帆海」란 자신의 시에서 ‘揚帆采石花, 挂帆拾海月(돛을 올린 채 굴을 따고, 돛을 펼친 채 해파리를 줍네)’라고 읊었는데 이선 李善은 주를 달고 ‘揚帆挂席其義一也(양범과 괘석은 그 뜻이 같다)’라고 하였다. 맹호연孟浩然도 「晩泊潯陽望廬山」이란 시에서 ‘挂席幾千里, 名山都未逢(돛 올린 배 타고 몇 천 리를 오면서도 / 이름난 산들 모두 보지 못했네)’이라고 읊었다.
* 遠涉(원섭) : 넓은 지역을 건너가다.
* 平臺(평대) : 춘추시 대송宋 나라의 평공平公이 지은 고대古臺의 이름으로 허난성河南省 상구商丘 동북쪽에 있다.
* 蓬池(봉지) : 고대의 대택大澤으로 지금의 허난성河南省 개봉開封 동남쪽에 있다.
* 阮公(완공) : 완적阮籍(210~263), 삼국시대 위魏나라의 시인으로 「徘徊蓬池上」이라는 시를 남겼다.
* 淥水(녹수) : 고대의 곡명曲名이다. 맑은 물이라는 뜻으로도 쓰인다.
* 洪波(홍파) : 큰 파도.
* 舊國(구국) : 고향. 고도. 고국.
* 達命(달명) : 천명 또는 운명을 알다(= 지명知命).
* 平頭奴子(평두노자): 머리에 아무것도 쓰지 않은 노복
* 吳鹽(오염) : 오吳나라에서 생산된 소금. 백발을 가리키기도 한다.
* 莫學夷齊事高潔(막학제이사고결) : ‘咄咄書空字還滅’ 또는 ‘何用孤高比雲月’로 쓴 자료도 있다.
* 信陵君(신릉군) : 인명(?~B.C.243). 이름은 무기無忌이고 위魏나라 소왕昭王의 아들이며 안리왕安釐王의 이복동생이다. 형이 즉위 한 뒤 신릉(지금의 허난성河南省 영릉현寧陵縣) 지역에 봉해져 신릉군이 되었다. 수 천 명의 인재를 빈객으로 거느려 제齊나라의 맹상군孟嘗君 전문田文, 조趙나라의 평원군平原君 조승趙勝, 초楚나라의 춘신군春申君 황헐黃歇과 함께 이른바 전국사군戰國四君으로 꼽힌다.
* 虛照(허조) : ‘遠照’로 쓴 자료도 있다.
* 蒼梧雲(창오운) : 구의산九嶷山 위의 구름을 가리킨다. 《예기禮記∙ 단궁상檀弓上》에 ‘舜葬于蒼梧之野(순임금이 창오의 들에 묻혔다)’라고 하였다. ‘蒼梧’는 지명이다.
* 梁王賓客(양왕빈객) : ‘梁王宮闕’로 쓴 자료도 있다.
* 枚馬(매마) : 한대漢代의 저명한 사부가辭賦家 매승枚乘과 사마상여司馬相如의 별칭이다.
* 汴(변): 개봉開封의 별칭이다.
* 莫言(막언) : ‘未能’으로 쓴 자료도 있다.
* 五白(오백) : 고대에 행해지던 놀이의 이름
* 六博(육박) : 고대에 행해지던 놀이의 이름
* 分曹(분조) : 여러 무리로 나누다. 특히 둘로 나누다.
* 賭酒(도주) : 술내기
* 馳輝(치휘) : 세월. 시절. 나는 듯이 달리는 시간 또는 낮동안의 시간을 가리키기도 한다.
* 東山高臥(동산고와) : 동진東晉의 태부太傅였던 사안謝安(320~385)이 동산에 은거하며 조정의 부름을 마다했던 고사를 인용한 것이다. 동산은 저강浙江 상우현上虞縣 서남쪽에 있다.
* 濟蒼生(제창생) : 백성을 구제하다. ‘蒼生’은 백성을 가리킨다. 풀이 우거진 곳을 가리키는 말로도 쓴다.
산과바다 이계도
'*** 詩 *** > 詩仙 李白 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득백로사송송사부입삼협(賦得白鷺鷥送宋少府入三峽) - 이백(李白) (0) | 2020.10.25 |
---|---|
백로자(白鷺鶿) -이백(李白) (0) | 2020.10.25 |
공성작(空城雀) - 이백(李白) (0) | 2020.10.24 |
채련곡(採蓮曲) - 이백(李白) (2) | 2020.10.24 |
추등파릉망동정(秋登巴陵望洞庭) - 이백(李白) (0) | 2020.10.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