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과바다
산수국 Mountain Hydrangea
2018. 6. 25. 담음
야산 숲속 골짜기에서 담았는데 주변에 중성화(헛꽃-암술 수술이 없음)의 꽃받침조각이 흰색으로 3∼5개가 꽃잎처럼 생김이 특이하고 중앙에 양성화가 푸른빛으로 달리는군요.
산수국 Hydrangea serrata for. acuminata (Siebold & Zucc.) Wilson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장미목 >범의귀과 >수국속(Hydrangea)
산골짜기나 자갈밭에서 자란다. 높이 약 1m이다. 작은 가지에 털이 난다.
잎은 마주나고 긴 타원형이며 길이 5∼15cm, 너비 2∼10cm이다. 끝은 흔히 뾰족하며 밑은 둥근 모양이거나 뾰족하다.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고 겉면의 곁맥(가운데 잎줄에서 좌우로 갈라져서 가장자리로 향하는 잎줄)과 뒷면 맥 위에 털이 난다.
꽃은 7∼8월에 흰색과 하늘색으로 피며 가지 끝에 산방꽃차례로 달린다. 주변의 중성화는 꽃받침조각이 3∼5개이며 꽃잎처럼 생기고 중앙에는 양성화가 달린다. 꽃받침조각과 꽃잎은 5개, 수술은 5개이고 암술대는 3∼4개이다.
열매는 삭과(蒴果)로 달걀 모양이며 9월에 익는다. 관상용으로 심는다. 한국·일본·타이완 등지에 분포한다. 꽃말-변하기 쉬운 마음
* 꽃과 잎으로 차를 끓여 마신다.
* 민간요법 : 꽃, 잎, 뿌리, 줄기를 토상산(土常山)이라 하며 약용한다.
여름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려서 쓴다. 말라리아, 고열, 기침, 당뇨, 가슴 두근거림에 말린 것 1g을 물 700㎖에 넣고 달여서 마신다.
* 수국속(Hydrangea) : 꽃산수국, 나무수국, 등수국, 떡잎산수국, 떡잎산수국, 미국수국, 산수국, 수국, 큰나무수국, 탐라산수국 등이 있다.
ㆍ 탐라산수국(for. fertilis)은 주변에 양성화가 달린다.
ㆍ 꽃산수국(for. buergeri)은 중성화의 꽃받침에 톱니가 있다.
ㆍ 떡잎산수국(for. coreana)은 잎이 특히 두껍다.
* 산수국(15. 6. 15) * 산수국(14. 6. 14) * 산수국(14. 4. 16) * 산수국(11. 6. 28)
등수국 Hydrangea petiolaris S.et Z.
산과바다 등수국 Hydrangea petiolaris S.et Z. 2012. 6. 7. 담음 중성화(장식꽃 헛꽃)의 꽃받침은 3∼4개 인것이 백당나무와 다르군요. 등수국 Hydrangea petiolaris S.et Z. 현화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장미목 >범
domountain.tistory.com
* 바위수국속(Schizophragma)으로 속은 달라도 꽃이 비슷한
바위수국 Schizophragma hydrangeoides
산과바다 바위수국 Schizophragma hydrangeoides 2012. 6. 7. 제주에서 담음 흰색의 중성화인 꽃받침잎이 한장씩 달림이 백당나무와 다르게 특이하군요. 바위수국 Schizophragma hydrangeoides 쌍떡잎식물 >장미목
domountain.tistory.com
* 산분꽃나무속(Viburnum)으로 속은 달라도 꽃이 비슷한
덜꿩나무 Viburnum erosum
산과바다 덜꿩나무 Viburnum erosum 2014. 5. 15. 담음 들꿩이 이 나무의 빨간 열매를 좋아한다고 해서 들꿩나무에서 말이 변해서 덜꿩나무로라고 한다는 군요. 덜꿩나무 Viburnum erosum Thunb. 속씨식물 >쌍
domountain.tistory.com
백당나무 Sargent Viburnum
산과바다 백당나무 Sargent Viburnum2016. 6. 21. 담음 백당나무 Viburnum opulus L. var. calvescens (Rehder) H. Hara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산토끼목 >산분꽃나무과 >산분꽃나무속(Viburn
domountain.tistory.com
산분꽃나무
산과바다 산분꽃나무 2017. 4. 26. 담음 5월 중순경에 피는 같은 인동과의 덜꿩나무와 꽃이 비슷하군요. 몇 년 전에는 5월 초에 담았었는데 산분꽃나무는 4월 중 하순경에 덜꿩나무보다 일찍 꽃을
domountain.tistory.com
불두화 佛頭花 Snowball Tree
산과바다 불두화 佛頭花 Snowball Tree 2018. 5. 13. 담음 * 꽃의 모양이 부처의 머리처럼 곱슬곱슬하고 부처가 태어난 4월 초파일을 전후해 꽃이 만발하므로 佛頭花라고 부르고 절에서 정원수로 많이
domountain.tistory.com
산과바다 이계도
'★ 산에는 꽃이 피네 > 야생화(목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꽃댕강나무 Abelia (0) | 2018.07.05 |
---|---|
쉬땅나무 False spiraea (0) | 2018.07.01 |
개다래 Silver vine (0) | 2018.06.25 |
대추나무 Jujube tree (0) | 2018.06.16 |
자귀나무 Silk Tree (Mimosa Tree) (0) | 2018.06.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