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과바다
繫辭上傳(계사상전) 제 11장
子曰 “夫易, 何爲者也? 夫易, 開物成務, 冒天下之道, 如斯而已者也.” 是故聖人以通天下之志, 以定天下之業, 以斷天下之疑.
공자께서 “대체로 易(易占)은, 무엇을 하기 위해 만든 것인가? 易은 시초를 두 손에 나누어 쥐고 셈하여 (점을 쳐 길흉을 알아서)사업을 이루게 하며, 천하의 도리를 포괄한 것이니, 이와 같을 뿐인 것이다.” 그러므로 성인은 이것으로 천하의 뜻에 관통하고, 이것으로 천하의 사업을 결정하며, 이것으로 천하의 의혹을 판단한다.
是故蓍之德圓而神, 卦之德方以知, 六爻之義易以貢. 聖人以此洗心, 退藏於密, 吉凶與民同患. 神以知來, 如以藏往, 其孰能與此哉! 古之聰明叡知,神武而不殺者夫!
이러한 이유로 시초의 덕은 둥글고 신묘하며, 괘의 덕은 반듯하고 지혜로우며, 여섯 효의 덕은 변화하여 알려준다. 성인은 이것으로 마음을 씻고, 물러나 은밀한 곳에 감추며, 길흉을 백성과 함께 근심한다. 주역점의 신묘함으로 미래의 일을 알고, (주역점의)밝은 지혜로움으로 지나간 일을 간직하니, 그 누가 이와 더불어 할 수 있겠는가! 옛날의 총명하고 지혜로우며 신묘한 용맹스러움이 있으면서도 함부로 사람을 죽이지 않은 자이겠는가!
* 옛날의 복희씨 같이 총명하고 지혜로우며 위풍당당하나 잔혹하지 않은 사람만이 이러한 경지에 이를 수 있었다는 뜻으로 진시황 같은 놈은 이런 경지에 이를 수 없다는 의미)
是以明於天之道, 而察於民之故, 是興神物以前民用. 聖人以此齊戒, 以神明其德夫.
그래서 하늘의 道(자연 현상의 변화의 법칙)를 밝히고 백성의 일을 살펴서, 신령한 물건을 일으켜 백성들이 사용함을 앞서서 이끌었다. 성인은 이것(易占)으로 제계(齊戒)하여 그 덕을 신묘하게 드러내었다.
* 齊戒 : 易占에 대하여 경건하고 공경한 마음을 갖게
是故闔戶謂之坤, 闢戶謂之乾. 一闔一闢謂之變. 往來不窮謂之通. 見乃謂之象, 形乃謂之器. 制而用之謂之法. 利用出入, 民咸用之謂之神.
그러므로 문을 닫는 것을 坤이라 하고, 문을 여는 것을 乾이라고 한다. 한 번 닫고 한 번 여는 것을 變이라고 한다. 가고 오는 것이 막힘이 없는 것을 通이라고 한다. 나타난 것을 象이라 하고, 형체가 드러난 것을 器라고 한다. (시초를 셈하여)괘를 만들어 사용하는 것을 점법이라고 한다. 점법을 이용하여 신출귀몰하게 점을 쳐, 백성들이 모두 사용하니 이것을 신묘하다고 한다.
* 乾坤은 주역점의 또 다른 표현. 합벽闔闢은 시초를 합하고 나누어 시초를 셈하는 것을 말한다. 일합일벽一闔一闢은 계사5장의 一陰一陽과 같은 말이다. 往來는 시초를 셈하는 것. 象은 하늘에 드러난 상인 일월성신이요, 形은 시초를 셈하여 괘효가 형체를 드러내는 것으로 즉 땅의 산천초목과 같은 것이며, 器는 시초를 셈하여 얻은 괘효를 가리킨다.
是故易有太極, 是生兩儀, 兩儀生四象, 四象生八卦, 八卦定吉凶, 吉凶生大業.
이러한 이유로 易에는 태극이 있으니, 이것이 兩儀를 낳고, 양의가 사상을 낳고, 사상이 팔괘를 낳고, 팔괘는 길흉을 정하고, 길흉은 대업을 낳는다.
* 兩儀는 天과 地. 四象은 6, 7, 8, 9의 네 수이며 春夏秋冬의 사계절을 상징. 7은 少陽으로 봄, 9는 老陽으로 여름, 8은 少陰으로 가을, 6은 老陰으로 겨울을 상징한다는 高亨의 해설이 명쾌하다. 팔괘는 건, 태, 이, 진, 손, 감, 간, 곤의 8괘를 말하고 8괘를 겹쳐 64괘를 만들어 점을 치고; 길흉을 피하니 대업을 이룰 수 있다는 말
是故法象莫大乎天地. 變通莫大乎四時. 縣象著明莫大乎日月. 崇高莫大乎富貴. 備物致用, 立成器以爲天下利, 莫大乎聖人. 探賾索隱, 鉤深致遠, 以定天下之吉凶, 成天下之亹亹者, 莫大乎蓍龜.
그러므로 象을 본받는 것은 천지보다 큰 것이 없고, 변하여(점대가 18번 변하는 것; 老陽, 老陰의 효가 변) 통하는 것은 사계절보다 큰 것이 없으며, 象을 걸어 밝음을 드러내는 것은 해와 달보다 큰 것이 없고, 숭고한 것은 부귀보다 큰 것이 없다. 시초를 갖추어 쓰임을 다하고, 괘효의 象을 세워 괘효를 이루어 천하를 이롭게 하는 것은 성인보다 큰 것이 없다. 사물의 심오한 도리를 찾고 은밀함을 구하며, 심오함을 취하고 원대함에 이르러, 천하의 길흉을 결정하고, 천하의 미묘함을 이루는 것은 시초와 거북보다 큰 것이 없다.
是故天生神物, 聖人則之. 天地變化, 聖人效之. 天垂象, 見吉凶, 聖人象之. 河出圖, 洛出書, 聖人則之. 易有四象, 所以示也. 繫辭焉, 所以告也, 定之以吉凶, 所以斷也.
이러한 이유로 하늘이 신령스런 물건(시초와 거북점)을 내었으니, 성인이 이를 본떴다. 천지가 변화하니 성인이 이를 본받았다. 하늘이 象을 드리워 길흉을 나타내니, 성인이 이를 본떴다. 황하에서 그림이 나오고, 낙수에서 글이 나오니, 성인이 이를 본떴다. 易에 사상이 있는 것을 보이기 위함이다. 점글(괘사와 효사)을 이은 것은 알려주기 위함이다. 길흉으로 정한 것은 판단하기 위함이다.
* 괘사와 효사를 이어 길흉을 정한 것은 미래의 일을 판단하기 위함이라는 뜻
산과바다 이계도
'易經(周易) > 계사상전(繫辭上傳)' 카테고리의 다른 글
繫辭上傳(계사상전) 제 12장 (0) | 2016.12.12 |
---|---|
繫辭上傳(계사상전) 제 10장 (0) | 2016.12.12 |
繫辭上傳(계사상전) 제 9장 (0) | 2016.12.12 |
繫辭上傳(계사상전) 제 8장 (0) | 2016.12.12 |
繫辭上傳(계사상전) 제 7장 (0) | 2016.12.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