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과바다
周易下經 주역하경
63 수화기제(水火旣濟)
기제(旣濟, ☳☱) : 만사형통하고 안정된다. 더 바라지 말고 현상 유지에 힘써라.
旣濟, 亨小, 利貞, 初吉終亂.
彖曰, “旣濟, 亨”, 小者亨也. “利貞”, 剛柔正而位當也. “初吉”, 柔得中 也, “終止則亂”, 其道窮也.
象曰, 水在火上, 旣濟, 君子以思患而豫防之.
初九, 曳其輪, 濡其尾, 无咎.
象曰, “曳其輪”, 義无咎也.
六二, 婦喪其茀, 勿逐, 七日得.
象曰, “七日得”, 以中道也.
九三, 高宗伐鬼方, 三年克之, 小人勿用.
象曰, “三年克之”, 憊也.
六四, 繻有衣袽, 終日戒.
象曰, “終日戒”, 有所疑也.
九五, 東鄰殺牛, 不如西鄰之禴祭, 實受其福.
象曰, “東鄰殺牛”, 不如西鄰之時也, “實受其福”, 吉大來也.
上六, 濡其首, 厲.
象曰, “濡其首, 厲”, 何可久也!
旣濟(기제) : <기제>는
亨小(형소) : 형통할 것이 적으니,
利貞(이정) : 바르게 함이 이로우니,
初吉終亂(초길종란) : 처음은 길하고 마침은 어지러우니라.
彖曰(단왈) : 단에 이르기를
旣濟亨小者亨也(기제형소자형야) : '기제형'은 작은 것이 형통함이니,
利貞剛柔正而位當也(이정강유정이위당야) :
'이정'은 <강>효와 <유>효가 발라서 자리에 마땅함이라.
初吉柔得中也(초길유득중야) : '초길'은 <유>효가 중정을 얻음이요,
終止則亂其道窮也(종지칙란기도궁야) : 마침에 그치면 어지러움은 그 도가 궁함이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水在火上旣濟(수재화상기제) : 물이 불 위에 있는 것이 기제괘의 괘상이니,
君子以思患而豫防之(군자이사환이예방지) : 군자가 이로써 근심될 것을 생각하여 미리 막느니라.
初九(초구) : 초구는
曳其輪(예기륜) : 그 수레를 끌며
濡其尾无咎(유기미무구) : 그 꼬리를 적시면 허물이 없으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曳其輪(예기륜) : '예기륜'은
義无咎也(의무구야) : 의리가 허물이 없느니라.
六二(육이) : 육이는
婦喪其茀(부상기불) : 지어미가 그 포장을 잃음이니,
勿逐七日得(물축칠일득) : 좇지 않으면 7일만에 얻으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七日得(칠일득) : '칠일득'은
以中道也(이중도야) : 중도로써 함이다.
九三(구삼) : 구삼은
高宗(고종) : 고종이
伐鬼方(벌귀방) : 귀방을 쳐서
三年克之(삼년극지) : 삼년만에 이김이니,
小人勿用(소인물용) : 소인은 쓰지 말지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三年克之憊也(삼년극지비야) : '삼년극지'는 곤함이라.
六四(육사) : 육사는
繻有衣(수유의) : 물이 새는데, 천을 가지고
終日戒(종일계) : 종일토록 경계함이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終日戒(종일계) : '종일계'는
有所疑也(유소의야) : 의심하는 바가 있음이라.
九五(구오) : 구오는
東隣殺牛(동린살우) : 동쪽 이웃의 소를 잡음이
不如西隣之禴祭實受其福(부여서린지약제실수기복) :
서쪽 이웃의 간략한 제사로 실제로 복을 받음만 못하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東隣殺牛(동린살우) : '동린살우'가
不如西隣之時也(부여서린지시야) : 서쪽 이웃의 때만 같지 못하니
實受其福(실수기복) : '실수기복'은
吉大來也(길대래야) : 길함이 크게 옴이라.
上六(상육) : 상육은
濡其首厲(유기수려) : 그 머리를 적심이니 위태하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濡其首厲(유기수려) : '유기수려'가
何可久也(하가구야) : 어찌 오래할 수 있으리오
산과바다 이계도
'易經(周易) > 주역하경(周易下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64 화수미제(火水未濟) (0) | 2016.12.11 |
---|---|
62 뇌산소과(雷山小過) (0) | 2016.12.11 |
61 풍택중부(風澤中孚) (0) | 2016.12.11 |
60 수택절(水澤節) (0) | 2016.12.11 |
59 풍수환(風水渙) (0) | 2016.12.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