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과바다
周易下經 주역하경
59 풍수환(風水渙)
환(渙, ☲☴) : 분열과 이산의 위기이나, 대동단결을 꾀하면 큰 사업이 가능하다.
渙, 亨, 王假有廟, 利涉大川, 利貞.
彖曰, “渙, 亨”, 剛來而不窮, 柔得位乎外而上同. “王假有廟”, 王乃在中 也, “利涉大川”, 乘木有功也.
象曰, 風行水上, “渙”, 先王以享于帝立廟.
初六, 用拯馬壯吉.
象曰, 初六之吉, 順也.
九二, 渙奔其机, 悔亡.
象曰, “渙奔其机”, 得願也.
六三, 渙其躬, 无悔.
象曰, “渙其躬”, 志在外也.
六四, 渙其羣, 元吉, 渙有丘, 匪夷所思.
象曰, “渙其羣元吉”, 光大也.
九五, 渙汗其大號, 渙王居, 无咎.
象曰, “王居无咎”, 正位也.
上九, 渙其血去逖出, 无咎.
象曰, “渙其血”, 遠害也.
渙(환) : <환>은
亨(형) : 형통하니,
王假有廟(왕가유묘) : 왕이 묘당에 이르며
利涉大川(이섭대천) : 큰내를 건넘이 이로우니,
利貞(이정) : 바르게 함이 이로우니라.
彖曰(단왈) : 단에 이르기를
渙亨剛來而不窮(환형강래이부궁) : '환형'은 <강>효가 와서 궁하지 않고,
柔得位乎外而上同(유득위호외이상동) : <유>효가 밖에서 자리를 얻고 위로 같이 함이라.
王假有廟(왕가유묘) : '왕가유묘'는
王乃在中也(왕내재중야) : 왕이 이에 중정함이요,
利涉大川(이섭대천) : '이섭대천'은
乘木有功也(승목유공야) : 나무를 타서 공이 있음이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風行水上渙(풍행수상환) : 바람이 물위에 행함이 환괘의 괘상이니
先王以享于帝立廟(선왕이향우제입묘) : 군자가 상제께 제사를 올리며 묘당을 세우느니라.
初六(초육) : 초육은
用拯馬壯吉(용증마장길) : 써서 구원하되 말이 건장하니 길하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初六之吉順也(초육지길순야) : '초육지길'은 순함이라.
九二(구이) : 구이는
渙奔其机(환분기궤) : <환>에 그 책상에 달려가면
悔亡(회망) : 뉘우침이 없어지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渙奔其机(환분기궤) : '환분기궤'는
得願也(득원야) : 원함을 얻음이라.
六三(육삼) : 육삼은
渙其躬无悔(환기궁무회) : <환>에 그 몸이 뉘우침이 없느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渙其躬(환기궁) : '환기궁'은
志在外也(지재외야) : 뜻이 밖에 있음이라.
六四(육사) : 육사는
渙其群元吉(환기군원길) : <환>에 그 무리함이라. 크게 길하니,
渙有丘匪夷所思(환유구비이소사) : <환>에 언덕이 있음이 평등하게 생각할 바가 아니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渙其群元吉(환기군원길) : '환기군원길'은
光大也(광대야) : 빛나고 큼이라.
九五(구오) : 구오는
渙汗其大號(환한기대호) : <환>에 그 크게 부르짖음을 땀나듯이 하면,
渙王居无咎(환왕거무구) : <환>에 임금의 거함이니 허물이 없으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王居无咎(왕거무구) : '왕거무구'는
正位也(정위야) : 자리가 바름이라.
上九(상구) : 상구는
渙其血去(환기혈거) : <환>에 그 피가 가며,
逖出无咎(적출무구) : 두려운데에서 나가면 허물이 없으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渙其血(환기혈) : '환기혈'은
遠害也(원해야) : 해를 멀리함이라
산과바다 이계도
'易經(周易) > 주역하경(周易下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61 풍택중부(風澤中孚) (0) | 2016.12.11 |
---|---|
60 수택절(水澤節) (0) | 2016.12.11 |
58 태위택(兌爲澤) (0) | 2016.12.11 |
57 손위풍(巽爲風 (0) | 2016.12.11 |
56 화산여(火山旅) (0) | 2016.12.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