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과바다
周易下經 주역하경
52 간위산(艮爲山)
간(艮, ☴☱) : 움직이지 않는 산과 같다. 경솔한 행동을 자제하고 자신의 길을 가라. 의지하는 마음은 금물이다.
艮其背, 不獲其身, 行其庭, 不見其人. 无咎.
彖曰, 艮, 止也. 時止則止, 時行則行, 動靜不失其時, 其道光明. “艮其 止”, 止其所也. 上下敵應, 不相與也, 是以“不獲其身, 行其庭, 不見其人, 无咎”也.
象曰, 兼山, 艮, 君子以思不出其位.
初六, 艮其趾, 无咎, 利永貞.
象曰, “艮其趾”, 未失正也.
六二, 艮其腓, 不拯其隨, 其心不快.
象曰, “不拯其隨”, 未退聽也.
九三, 艮其限, 列其夤, 厲薰心.
象曰, “艮其限”, 危薰心也.
六四, 艮其身, 无咎.
象曰, “艮其身”, 止諸躬也.
六五, 艮其輔, 言有序, 悔亡.
象曰, “艮其輔”, 以中正也.
上九, 敦艮, 吉.
象曰, “敦艮之吉”, 以厚終也.
艮其背(간기배) : 그 등에 그치면
不獲其身(부획기신) : 그 몸을 얻지 못하며,
行其庭(행기정) : 그 뜰에 행하여도
不見其人(부견기인) : 그 사람을 보지 못하여
无咎(무구) : 허물이 없으리라.
彖曰(단왈) : 단에 이르기를
艮止也(간지야) : <간>은 그침이니,
時止則止(시지칙지) : 때가 그칠 때면 그치고
時行則行(시행칙행) : 때가 행할 때면 행하여,
動靜不失其時(동정부실기시) : 움직이며 그침에 때를 잃지 아니함이
其道光明(기도광명) : 그 도가 광명하니
艮其止止其所也(간기지지기소야) : '간기지'는 그곳에 그침이라.
上下敵應(상하적응) : 상하가 적응하여
不相與也(부상여야) : 서로 더불지 못하니
是以(시이) : 이로써
不獲其身行其庭不見其人无咎也(부획기신행기정부견기인무구야) :
자신을 추구하는 일에서 얻는 바도 없고 뜰을 거닐어도 그 사람을 보지 못하니 허물은 없으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兼山艮(겸산간) : 산이 아울러 있는 것이 간괘의 괘상이니
君子以思不出其位(군자이사부출기위) : 군자는 생각을 그 자리에서 벗어나지 아니하느니라.
初六(초육) : 초육은
艮其趾无咎(간기지무구) : 그 발꿈치에 그치면 허물이 없으니,
利永貞(이영정) : 길이 바르게 함이 이로우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艮其趾(간기지) : '간기지'는
未失正也(미실정야) : 바름을 잃지 아니함이라.
六二(육이) : 육이는
艮其腓(간기비) : 그 장딴지에 그침이니,
不拯其隨(불증기수) : 구원하지 못하고 따르는 자라.
其心不快(기심부쾌) : 그 마음이 유쾌하지 아니하도다.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不拯其隨(불증기수) : '불증기수'는
未退聽也(미퇴청야) : 물러나 듣지 아니함이라.
九三(구삼) : 구삼은
艮其限(간기한) : 그 허리에 그치니
列其夤(열기인) : 등뼈가 찢어지는 듯하고
厲薰心(열기려훈심) : 불안한 생각에 마음이 찌는 듯 하다.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艮其限(간기한) : 그 허리에 그치니
危薰心也(위훈심야) : 위태로움에 마음이 찐다.
六四(육사) : 육사는
艮其身(간기신) : 그 몸에 그침이니
无咎(무구) : 허물이 없느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艮其身(간기신) : '간기신'은
止諸躬也(지제궁야) : 그 몸에 그침이라.
六五(육오) : 육오는
艮其輔(간기보) : 그 중간에 그침이라.
言有序(언유서) : 말이 차례가 있음이니
悔亡(회망) : 후회가 없으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艮其輔(간기보) : '간기보'는
以中正也(이중정야) : 중정하여 바름이라.
上九(상구) : 상구는
敦艮吉(돈간길) : 도타웁게 그침이니 길하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敦艮之吉(돈간지길) : '돈간지길'은
以厚終也(이후종야) : 도탑게 함으로써 마침이라
산과바다 이계도
'易經(周易) > 주역하경(周易下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54 뇌택귀매(雷澤歸妹) (0) | 2016.12.11 |
---|---|
53 풍산점(風山漸) (0) | 2016.12.11 |
51 진위뇌(震爲雷) (0) | 2016.12.11 |
50 화풍정(火風鼎) (0) | 2016.12.11 |
49 택화혁(澤火革) (0) | 2016.12.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