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과바다
周易上經(주역상경)
23 산지박(山地剝)
박(剝 ☶☷) : 쇠퇴하고 멸망할 위기이다. 함부로 힘을 쓰지 말고 때가 오기를 기다려야 한다.
剝, 不利有攸往.
彖曰, “剝”, 剝也, 柔變剛也. 不利有攸往, 小人長也. 順而止之, 觀象也, 君子尙消息盈虛, 天行也.
象曰, 山附於地, 剝, 上以厚下安宅.
初六, 剝牀以足, 蔑, 貞凶.
象曰, “剝牀以足”, 以滅下也.
六二, 剝牀以辨, 蔑, 貞凶.
象曰, “剝牀以辨”, 未有與也.
六三, 剝, 无咎.
象曰, “剝之无咎”, 失上下也.
六四, 剝牀以膚, 凶.
象曰, “剝牀以膚”, 切近災也.
六五, 貫魚以宮人寵, 无不利.
象曰, “以宮人寵”, 終无尤也.
上九, 碩果不食, 君子得輿, 小人剝廬.
象曰, “君子得輿”, 民所載也, “小人剝廬”, 終不可用也.
剝不利有攸往(박부리유유왕) : <박>은 가는 바를 둠이 이롭지 아니하니라.
彖曰(단왈) : 단에 이르기를
剝剝也(박박야) : <박>은 깎는 것이니,
柔變剛也(유변강야) : <유>가 <강>을 변하게 함이니,
不利有攸往(부리유유왕) : 가는 바를 둠이 이롭지 않음은
小人長也(소인장야) : 소인이 성장이라.
順而止之觀象也(순이지지관상야) : 순하여 그침은 <상>을 봄이니,
君子尙消息盈虛天行也(군자상소식영천행야허) :
군자가 사라지고 불어나고 차고 비는 하늘의 행함을 숭상함이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山附於地剝(산부어지박) : 산이 땅에 붙은 것이 박괘의 괘상이니
上以厚下安宅(상이후하안택) : 상이 이를 본받아서 아래를 후하게하여 집을 편안히 한다.
初六(초육) : 초육은
剝牀以足(박상이족) : 상을 깎되 다리로써 함이니,
蔑貞凶(멸정흉) : 바른 것을 멸함이라. 흉하도다.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剝牀以足(박상이족) : '박상이족'은
以滅下也(이멸하야) : 아래를 멸함으로써라.
六二(육이) : 육이는
剝牀以辨(박상이변) : 상을 깎되 언저리로써 함이니,
蔑貞凶(멸정흉) : 바른 것을 없앰이라. 흉하도다.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剝牀以辨(박상이변) : '박상이변'은
未有與也(미유여야) : 더불음이 있지 아니함이라.
六三(육삼) : 육삼은
剝之无咎(박지무구) : 깎음에 허물이 없느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剝之无咎(박지무구) : '박지무구'는
失上下也(실상하야) : 상과 하를 잃음이라.
六四(육사) : 육사는
剝牀以膚凶(박상이부흉) : <상>을 깎되 살(피부)로써 함이니 흉하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剝牀以膚(박상이부) : '박상이부'는
切近災也(절근재야) : 절박하게 재앙에 가까이 있음이라.
六五(육오) : 육오는
貫魚以宮人寵(관어이궁인총) : 고기를 꿰어서 궁인의 사랑으로써 하면,
无不利(무부리) : 이롭지 않음이 없으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以宮人寵(이궁인총) : '이궁인총'은
終无尤也(종무우야) : 마침내 허물이 없으리라.
上九(상구) : 상구는
碩果不食(석과부식) : 큰 열매는 먹지 아니함이니,
君子得輿(군자득여) : 군자는 수레를 얻고
小人剝廬(소인박려) : 소인은 집을 깎으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君子得輿(군자득여) : '군자득여'는
民所載也(민소재야) : 백성을 실음이요,
小人剝廬(소인박려) : '소인박려'는
終不可用也(종부가용야) : 마침내 쓰지 못함이라
산과바다 이계도
'易經(周易) > 주역상경(周易上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25 천뢰무망(天雷无妄) (0) | 2016.12.11 |
---|---|
24 지뢰복(地雷復) (0) | 2016.12.11 |
22 산화비(山火賁) (0) | 2016.12.11 |
21 화뢰서합(火雷噬嗑) (0) | 2016.12.10 |
20 풍지관(風地觀) (0) | 2016.12.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