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과바다
제7편 盡心 下(진심 하)
37. 吾黨之士狂簡(오당지사광간)
萬章問曰孔子在陳(만장문왈공자재진)하사 : 만장이 묻기를 “공자께서 진에 계실 적에
曰盍歸乎來(왈합귀호래)리오 : ‘어찌 돌아가지 않으랴
吾黨之士狂簡(오당지사광간)하여 : 내 고장의 선비들은 과격하고 단순하여
進取(진취)하되 : 진취적이고
不忘其初(불망기초)라하시니 : 초지를 잃지 않는데.’하고 말했는데
孔子在陳(공자재진)하사 : 공자가 진나라에 있을 때
何思魯之狂士(하사로지광사)시니잇고 : 무엇 때문에 노나라의 과격한 선비들을 생각하셨을까요?”
孟子曰孔子不得中道而與之(맹자왈공자불득중도이여지)인댄 : 맹자가 이르기를 “공자께서는 ‘중도를 가는 사람을 얻어서 가르치지 못한다면
必也狂獧乎(필야광견호)인저 : 나는 반드시 과격한 사람과 고집 센 사람을 택할 것이다.
狂者(광자)는 : 과격한 사람은
進取(진취)요 : 진취적이고
獧者(견자)는 : 고집 센 사람은
有所不爲也(유소불위야)라하시니 : 하지 않는 일이 있으니까’하고 말씀하셨다.
孔子豈不欲中道哉(공자개불욕중도재)시리오마는 : 공자께서 어찌 중도를 가는 사람을 원하지 않으셨겠느냐?
不可必得(불가필득)이라 : 꼭 얻게 될 수는 없었기 때문에
故(고)로 : 그래서
思其次也(사기차야)시니라 : 그 다음가는 사람을 생각하셨던 것이다.”
敢問何如(감문하여)라야 : “감히 여쭈어 보겠습니다.
斯可謂狂矣(사가위광의)니잇고 : 어떻게 되어야 과격한 사람이라고 할 수 있습니까?”
曰如琴張曾晳牧皮者孔子之所謂狂矣(왈여금장증석목피자공자지소위광의)니라 : “금장·증석·복피 같은 사람들이 공자께서 말씀하신 과격한들이다.”
何以謂之狂也(하이위지광야)니잇고 : “무엇 때문에 이들은 과격한 사람들이라고 하십니까?”
曰其志嘐嘐然曰古之人古之人(왈기지교교연왈고지인고지인)이여하되 : “그들의 뜻은 몹시 커서 ‘엣날 사람은 옛날 사람은’ 하고 뇌인다.
夷考其行而不掩焉者也(이고기행이불엄언자야)니라 : 그들이 행한 것을 공평하게 살펴보면 그들의 말을 그대로 다 실천하지는 못하고 있는 것이다.
狂者(광자)를 : 과격한 사람도
又不可得(우불가득)이어든 : 또한 얻지 못하면
欲得不屑不潔之士而與之(욕득불설불결지사이여지)하시니 : 더러운 것을 접근시키려 하지 않는 선비를 얻어서 가르치기를 원하는 것으로
是獧也(시견야)니 : 그것이 고집 센 사람이다.
是又其次也(시우기차야)니라 : 이것은 또 그 다음 가는 사람이다.”
孔子曰過我門而不入我室(공자왈과아문이불입아실)이라도 : “공자께서 ‘내 문을 지나가면서도 내 집에 들어오지 않는 것을
我不憾焉者(아불감언자)는 : 내가 유감스럽게 생각지 않는 사람이 있다면
其惟鄕原乎(기유향원호)인저 : 그것은 향원일 뿐이다.
鄕原(향원)은 : 향원은
德之賊也(덕지적야)라하시니 : 덕을 해치는 것이다.”고 말씀하셨는데
曰何如(왈하여)면 : ‘어떻게 되어야
斯可謂之鄕原矣(사가위지향원의)니잇고 : 향원이라고 할 수 있읍니까?’
何以是嘐嘐也(하이시교교야)하여 : 그렇게 뜻이 큰 것으로 이쩌자는 것인가?
言不顧行(언불고행)하며 : 말은 자기의 행동을 돌아보지 않고
行不顧言(행불고언)이요 : 행동은 말을 돌아 돌보지 않으면서
則曰古之人古之人(칙왈고지인고지인)이여하며 : ‘옛날 사람은 옛날 사람은’하고 뇌인다.
行何爲踽踽凉凉(행하위우우량량)이리오 : 하는 짓은 무엇 하려고 그다지도 외롭고 찬가?
生斯世也(생사세야)라 :이 세상에 났으면
爲斯世也(위사세야)하여 : 이 세상에 맞게 살 것이다.
善斯可矣(선사가의)라하여 : 선하면 되는 것이다. 하고
閹然媚於世也者是鄕原也(엄연미어세야자시향원야)니라 : 고자같이 세상에 아부하는 자는 향원이다.
萬章曰一鄕(만장왈일향)이 : 만장이 말하기를 “한 고을에서
皆稱原人焉(개칭원인언)이면 : 다 원인이라고 부른다면
無所往而不爲原人(무소왕이불위원인)이어늘 : 아무데를 간들 원인이 아닐 수 없습니다.”
孔子以爲德之賊(공자이위덕지적)은 : “공자께서 덕을 해치는 사람이라고 하신 것은
何哉(하재)잇고 : 무엇 때문입니까?”
曰非之無擧也(왈비지무거야)하며 : “그를 비난하려 들면 이것이라고 들게 없고
刺之無刺也(자지무자야)하고 : 그를 풍자하려 들면 풍자할 거리가 없다.
同乎流俗(동호류속)하며 : 유속과 동조하고
合乎汚世(합호오세)하여 : 더러운 세상과 합류하고
居之似忠信(거지사충신)하며 : 가만히 있는 것은 충직하고 신용 있는 것 같고
行之似廉潔(행지사렴결)하여 : 행동하는 것은 청렴결백한 것 같아서
衆皆悅之(중개열지)어든 : 여러 사람들이 다 그를 좋아하고
自以爲是而不可與入堯舜之道(자이위시이불가여입요순지도)라 : 자기도 그것이 옳다고 여기는데 그러한 사람과는 요·순의 도에는 함께 들어갈 수 없다.
故(고)로 : 그래서
曰德之賊也(왈덕지적야)라하시니라 : 덕을 해치는 것이라고 말씀하신 것이다.
孔子曰惡似而非者(공자왈악사이비자)하노니 :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사이비한 것을 미워한다.
惡莠(악유)는 : 가라지를 미워하는 것은
恐其亂苗也(공기란묘야)요 : 그것이 곡식 싹을 어지럽힐까 두려워서라.
惡佞(악녕)은 : 말을 잘 둘러대는 것을 미워하는 것은
恐其亂義也(공기란의야)요 : 그것이 의를 어지럽힐까 두려워서다.
惡利口(악리구)는 : 날카로운 구변을 미워하는 것은
恐其亂信也(공기란신야)요 : 그것이 신용을 어지럽힐까 두려워서다.
惡鄭聲(악정성)은 : 정나라의 음악을 미워하는 것은
恐其亂樂也(공기란락야)요 : 아악을 어지럽힐까 두려워서다.
惡紫(악자)는 : 자주빛을 미워하는 것은
恐其亂朱也(공기란주야)요 : 그것이 붉은 것을 어지럽힐까 두려워서다.”라고 하셨다.
惡鄕原(악향원)은 : “향원을 미워하는 것은
恐其亂德也(공기란덕야)라하시니라 : 그가 덕을 어지럽힐까 두려워서”라고 하셨다.
君子(군자)는 : 군자는
反經而已矣(반경이이의)니 : 상도로 돌아갈 따름이다.
經正(경정)이면 : 상도가 바로 잡히면
則庶民興(칙서민흥)하고 : 평민들한테서도 역시 선한 기풍이 일어나게 되고
庶民興(서민흥)이면 : 평민들한테서도 선한 기풍이 일어나면
斯無邪慝矣(사무사특의)리라 : 그때에는 사특한 것이 없어진다.
* 邪慝(사특)-사람이나 그 성질, 언행이 간사하고 악한 데가 있다.
산과바다 이계도
'四書 > 孟子' 카테고리의 다른 글
孟子(맹자) 38. 由堯舜至於湯(유요순지어탕) (0) | 2016.02.27 |
---|---|
孟子(맹자) 36. 曾晳耆羊棗(증석기양조) (0) | 2016.02.27 |
孟子(맹자) 35. 養心莫善於寡欲(양심막선어과욕) (0) | 2016.02.27 |
孟子(맹자) 34. 說大人則藐之(설대인칙막지) (0) | 2016.02.27 |
孟子(맹자) 33. 堯舜性者也(요순성자야) (0) | 2016.02.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