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과바다
제7편 盡心 下(진심 하)
36. 曾晳耆羊棗(증석기양조)
曾晳(증석)이 : 증석이
嗜羊棗(기양조)러니 : 고욤을 먹기 좋아하였기 때문에
而曾子不忍羊棗(이증자불인양조)하시니라 : 증자는 차마 고욤을 먹지 못했다.
公孫丑問曰膾炙與羊棗孰美(공손축문왈회자여양조숙미)니잇고 : 공손추가 묻기를 “회와 볶은 고기하고 고욤은 어느 쪽이 맛이 있습니까?”
孟子曰膾炙哉(맹자왈회자재)인저 : 맹자가 “회와 볶은 고기겠지.” 하고 말했다.
公孫丑曰然則曾子(공손축왈연칙증자)는 : 공손추가 말하기를 “그렇다면 증자는
何食膾炙而不食羊棗(하식회자이불식양조)시니잇고 : 무엇 때문에 회와 볶은 고기는 먹고 고욤은 먹지 않습니까?
曰膾炙(왈회자)는 : “회와 볶은 고기는
所同也(소동야)요 : 다 같이 먹기 좋아하데
羊棗(양조)는 : 고음은
所獨也(소독야)니 : 혼자만이 먹기 좋아했던 것이었기 때문이다.”
諱名不諱姓(휘명불휘성)하나니 : 이름은 휘하고 성은 휘하지 않는 것은
姓(성)은 : 성은
所同也(소동야)요 : 다 같이 쓰는 것이요.
名(명)은 : 이름은
所獨也(소독야)일새니라 : 혼자서 쓰는 것이기 때문이다.”라고 하였다.
산과바다 이계도
'四書 > 孟子' 카테고리의 다른 글
孟子(맹자) 38. 由堯舜至於湯(유요순지어탕) (0) | 2016.02.27 |
---|---|
孟子(맹자) 37. 吾黨之士狂簡(오당지사광간) (0) | 2016.02.27 |
孟子(맹자) 35. 養心莫善於寡欲(양심막선어과욕) (0) | 2016.02.27 |
孟子(맹자) 34. 說大人則藐之(설대인칙막지) (0) | 2016.02.27 |
孟子(맹자) 33. 堯舜性者也(요순성자야) (0) | 2016.02.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