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과바다
제6편 告子 上(고자 상)
4. 食色性也(식색성야)
告子曰(고자왈) : 고자가 말하기를
食色性也(식색성야)니 : ‘식과 색은 성입니다.
仁(인)은 : 인은
內也(내야)라 : 내재적인 것이지
非外也(비외야)요 : 외재적인 것이 아닙니다.’
義(의)는 : 의는
外也(외야)라 : 외적인 것이지
非內也(비내야)니라 : 내적인 것이 아닙니다.
孟子曰何以謂仁內義外也(맹자왈하이위인내의외야)오 : 맹자가 말하기를 ‘무엇을 가지고 인은 내재적인 것이고 의는 외재적인 것이라고 하는가’
曰彼長而我長之(왈피장이아장지)요 : ‘저 사람의 나이가 많아서 내가 그를 나이 많은 이로 받드는 것이지
非有長於我也(비유장어아야)니 : 나한데 나이 많은 것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猶彼白而我白之(유피백이아백지)라 : 그것은 마치 저것이 희어서 내가 그것을 희다고 여기는 것과 같습니다.
從其白於外也(종기백어외야)라 : 그것이 외부에서 흰 것에 따라가는 것이기 때문에
故(고)로 : 그러므로
謂之外也(위지외야)라하노라 : 외재적인 것이라고 하는 것입니다.’
曰異於白馬之白也(왈이어백마지백야)는 : ‘흰 것의 경우와는 다르다. 말의 흰 것은
無以異於白人之白也(무이이어백인지백야)어니와 : 흰 사람의 흰 것과 다를 것이 없다.
不識(불식)케라 : 모르기는 하지만
長馬之長也無以異於長人之長與(장마지장야무이이어장인지장여)아 : 나이 먹은 말의 나이 많은 것은 나이 많은 사람의 나이 많은 것과 다를 것이 없겠나?
且謂長者義乎(차위장자의호)아 : 또 나이 많은 것을 의라고 하겠는가?
長之者義乎(장지자의호)아 : 나이 많은 이로 받드는 것을 의라고 하겠는가?’
曰吾弟則愛之(왈오제칙애지)하고 : ‘내 동생은 그 물건을 좋아하고
秦人之弟則不愛也(진인지제칙불애야)하나니 : 진나라 사람의 동생은 그 물건을 좋아하지 않는 수가 있으니
是(시)는 : 그것은
以我爲悅者也(이아위열자야)라 : 나를 기쁘게 하는데 달린 것입니다.
故(고)로 : 그래서
謂之內(위지내)요 : 인을 내적인 것이라고 하는 것입니다.
長楚人之長(장초인지장)하며 : 초나라 사람의 나이 많은 이도 나이 많은 이로 받들고
亦長吾之長(역장오지장)하나니 : 또 자기의 나이 많은 이도 나이 많은 이로 받드니
是(시)는 : 그것은
以長爲悅者也(이장위열자야)라 : <나이 많은 이>를 기쁘게 하는데 달려 있는 것입니다.
故(고)로 : 그래서
謂之外也(위지외야)라하노라 : 의를 외재적인 것이라고 하는 것입니다.’
曰耆秦人之炙(왈기진인지자)가 : ‘진나라 사람이 불고기를 즐겨 먹는 것은
無以異於耆吾炙(무이이어기오자)하니 : 자기의 불고기를 즐겨 먹는 거와 다를 것이 없다.
夫物(부물)이 : 물건이라 하더라도
則亦有然者也(칙역유연자야)니 : 그러한 것이 있는 것이다.
然則耆炙亦有外與(연칙기자역유외여)아 : 그렇다면 불고기를 즐겨 먹는 데에도 역시 외재적인 것이 있을까?’
산과바다 이계도
'四書 > 孟子' 카테고리의 다른 글
孟子(맹자) 6. 乃若其情(내약기정) (0) | 2016.02.24 |
---|---|
孟子(맹자) 5. 先酌鄕人(선작향인) (0) | 2016.02.24 |
孟子(맹자) 3. 生之謂性(생지위성) (0) | 2016.02.24 |
孟子(맹자) 2. 性猶湍水也(성유단수야) (0) | 2016.02.24 |
孟子(맹자) 1. 性猶杞柳也(성유기류야) (0) | 2016.02.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