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四書/孟子

孟子(맹자) 4. 敢問交際何心也(감문교제하심야)

by 산산바다 2016. 2. 24.

산과바다

 

孟子(맹자) HOME

 

 

5 萬章 下(만장 하)

 

4. 敢問交際何心也(감문교제하심야)

 

萬章問曰敢問交際(만장문왈감문교제): 만장이 물어 이르기를감히 사귀고 접촉하는 것에 대해 여쭈오니

何心也(하심야)잇고 : 무슨 마음에서입니까? 하니

孟子曰恭也(맹자왈공야)니라 : 맹자께서는 말씀하시기를, 공경하는 것이다.

曰卻之卻之爲不恭(왈각지각지위불공): 말하기를, 그런 것은 물리치시지요. 그런 걸 물리치는 것을 불공하다는 것은

何哉(하재)잇고 : 무엇 때문입니까?

曰尊者賜之(왈존자사지)어든 : 이르시기를, 존귀한 사람이 내려주는데,

曰其所取之者義乎(왈기소취지자의호): 이르기를, 그것을 취하는 것이 의로운가

不義乎(불의호)아하여 : 의롭지 않은가 하고

而後受之(이후수지): 따지고 난 후에 그것을 받는다면

以是爲不恭(이시위불공)이라 : 그렇게 하는 것은 불공하다.

(): 그래서

弗卻也(불각야)니라 : 물리치지 않는 것이다.

曰請無以辭卻之(왈청무이사각지): 이르기를, 청컨데 말을 붙여서 그런 것을 물리치시되

以心卻之曰其取諸民之不義也(이심각지왈기취제민지불의야)라하고 : 마음속으로 물리치면서 이르기를, 제후가 그런 것을 백성들에게서 취한 것은 불의한 짓이라고 생각하시고,

而以他辭無受(이이타사무수): 다른 말을 하셔서 받지 않으시면

不可乎(불가호)잇가 : 안됩니까?

曰其交也以道(왈기교야이도): 이르기를, 사귀는 데 정당한 방법으로 하고

其接也以禮(기접야이례): 접촉하는 데 예로써 하면,

(): 그런 경우에는

孔子(공자): 공자께서도

受之矣(수지의)시니라 : 받으셨으니라

萬章曰今有禦人於國門之外者(만장왈금유어인어국문지외자): 만장이 이르기를, 이제 국문 밖에서 흉기를 가지고 사람을 멈춰 그 재물을 빼앗은 자가

其交也以道(기교야이도): 사귀는 데 정당한 방법으로 하고,

其餽也以禮(기궤야이례): 보내주는 데 예로써 한다면,

斯可受禦與(사가수어여)잇가 : 그런 경우에는 멈추어 빼앗은 것을 받을 수 있습니까? 하고 말씀드리자,

曰不可(왈불가)하니 : 이르시기를, 안 된다.

康誥曰殺越人于貨(강고왈살월인우화)하여 : 용고(庸誥) “사람을 죽이고 그 물건을 빼앗고도

閔不畏死(민불외사): 감히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으면

凡民(범민): 모든 백성들이

罔不譈(망불대)라하니 : 다 미워한다.”고 하였거니와,

(): 그런 자는

不待敎而誅者也(불대교이주자야): 군주의 교명을 기다리지 않고도 죽여 버릴 자이다.

殷受夏周受殷(은수하주수은): 은은 그 법을 하에서 물려받았고, 주는 은에서 물려받았는데

所不辭也니라(소불사야): 그 법의 시행을 그만두지 않아

於今爲烈(어금위열)으니 : 지금에 와서도 그 법은 뚜렷이 살아 있으니

如之何其受之(여지하기수지)리오 : 어떻게 그런 물건을 받겠느냐?

曰今之諸侯取之於民也(왈금지제후취지어민야): 지금의 제후들이 백성에게서 제물을 취하는 것이

猶禦也(유어야)어늘 : 사람을 멈추고 빼앗는 것이나 일반입니다.

苟善其禮際矣(구선기예제의): 단지 그가 예로써 접촉하는 것을 잘 하기만 하면,

(): 그런 경우에는

君子(군자): 군자가

受之(수지)라하시니 : 그런 것을 받으니

敢問何說也(감문하설야)니잇고 : 그것을 어떻게 해명할 것인지 감히 여쭈어 보겠습니다.

曰子以爲有王者作(왈자이위유왕자작)인댄 : 말씀하시기를, 자네 생각에는 황자가 일어나게 되면

將比今之諸侯而誅之乎(장비금지제후이주지호): 지금의 제후들을 깡그리 죽이겠나,

其敎之不改而後(기교지불개이후): 그들을 가르쳐도 고치지 않은 후에

誅之乎(주지호): 죽이겠나?

夫謂非其有而取之者(부위비기유이취지자): 자네의 소유가 아닌데 그것을 취하는 자를

盜也(도야): 도독이라고 하여

充類至義之盡也(충류지의지진야): 그것을 최대한으로 유추하는 것은 극단적인 의논이 되고 마는 것이다.

孔子之仕於魯也(공자지사어노야): 공자께서 노나라에서 벼슬 살 적에,

魯人(노인): 노나라 사람들이

獵較(렵교)이어늘 : 사냥 시합을 하면

孔子亦獵較(공자역렵교)하시니 : 공자께서도 사냥 시합을 하셨다.

獵較(렵교): 사냥 시합이

猶可(유가): 괜찮다면

而況受其賜乎(이황수기사호): 하물여 제후가 내려주는 것 받는 거야 문제가 되겠느냐?

曰然則孔子之仕也(왈연칙공자지사야): 이르기를, 그러시다면 공자께서 벼슬하신 것은

非事道與(비사도여)잇가 : 정도를 행하기를 일삼으셨던 것은 아니었습니까?

曰事道也(왈사도야)시니라 : 이르기를, 정도 행하기 일삼으셨다.

事道(사도)어시니 : 정도를 행하기를 일삼으셨다면

奚獵較也(해렵교야)니잇고 : 사냥 시합을 하셨을까요?

曰孔子先簿正祭器(왈공자선부정제기)하사 : 공자께서는 먼저 대장(臺帳)을 정리하여 제기를 바로 살펴놓으셨다.

不以四方之食(부이사방지식)으로 : 사방의 진기한 식품으로는

供簿正(공부정)하시니라 : 대장에 바로잡아 놓으신 제기에 괴어 놓진 않으신 거다.

曰奚不去也(왈해부거야)시니잇고 : 이르기를, 왜 그만두지 않으셨나요?

曰爲之兆也(왈위지조야)시니 : 이르기를, 바로 다스릴 징조를 마련하신 거다.

兆足以行矣(조족이행의)로되 : 그 징조가 잘 되어 나갈 만한데도

而不行而後去(이부행이후거)하시니 : 되어 나가지 않게 된 후에 그만두셨다.

是以(시이): 그래서

未嘗有所終三年淹也(미상유소종삼년엄야)시니라 : 3년이 끝날 때까지 한 나라에 머물러 계신 일이 없으셨던 거다.

孔子有見行可之仕(공자유견행가지사)하시며 : 공자께서는 정도를 행할 만하다고 보시고

有際可之仕(유제가지사)하시며 : 벼슬을 하신 일이 있고,

有公養之仕(유공양지사)하시니 : 현량한 인재를 길러주어서 벼슬 사신 일이 있으시다.

於季桓子(어계환자): 계환자(季桓子)에게서는

見行可之仕也(견행가지사야): 정도를 행할 만하다고 보시고 벼슬을 사셨고,

於衛靈公(어위령공): 위 영공에게서는

際可之仕也(제가지사야): 예로 접하는 것이 받아들일 만하여서 벼슬을 사셨고,

於衛孝公(어위효공): 위 효공에게서는

公養之仕也(공양지사야)니라 : 현량한 인재를 길러 주어서 벼슬을 사셨다.

 

 

 

 

산과바다 이계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