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四書/孟子

孟子(맹자) 1. 孔子聖之時者也(공자성지시자야)

by 산산바다 2016. 2. 24.

산과바다

 

孟子(맹자) HOME

 

 

5 萬章 下(만장 하)

 

1. 孔子聖之時者也(공자성지시자야)

 

孟子曰伯夷(맹자왈백이): 맹자께서 말씀하시기를, 백이(伯夷)

目不視惡色(목불시악색)하며 : 눈으로는 사나운 빛깔을 보지 않았고,

耳不聽惡聲(이불청악성)하고 : 귀로는 사나운 소리를 듣지 않았고,

非其君不事(비기군불사)하며 : 자기에 맞는 임금이 아니면 섬기지 않았고,

非其民不使(비기민불사)하여 : 자기에 맞는 백성이 아니면 부리지 않았다.

治則進(치칙진)하고 : 다스려지면 나갔고,

亂則退(란칙퇴)하여 : 혼란해지면 물러났다.

橫政之所出(횡정지소출): 횡포한 정치가 나오는 곳과

橫民之所止(횡민지소지): 횡포한 백성들이 머물러 있는 곳에는

不忍居也(불인거야)하며 : 차마 살지 못했다.

思與鄕人處(사여향인처)하되 : 향리의 사람들과 함께 섞여 사는 것을 생각하기를

如以朝衣朝冠(여이조의조관)으로 : 조복(朝服)과 조관(朝冠)의 차림으로

坐於塗炭也(좌어도탄야)러니 : 시커먼 진흙에 앉는 것 같이 하였다.

當紂之時(당주지시)하여 : 주 때에 당해서

居北海之濱(거북해지빈)하여 : 북해의 변두리에서

以待天下之淸也(이대천하지청야)하니 : 천하가 맑아지기를 기다렸던 것이다.

(): 그래서

聞伯夷之風者(문백이지풍자): 백이의 작풍을 들으면

頑夫廉(완부렴)하며 : 완악한 사나이도 청렴하여지고

懦夫有立志(나부유립지)하니라 : 겁 많은 사나이도 지조를 세우게 된다.

伊尹曰何事非君(이윤왈하사비군)이며 : 이윤이 이르기를, “누구를 섬긴들 임금이 아니겠는가?

何使非民(하사비민)이리오하여 : 누구를 부린들 백성이 아니겠는가?” 하고,

治亦進(치역진)하며 : 다스려져도 나갔고,

亂亦進(란역진)하여 : 혼란해져도 나갔다.

曰天之生斯民也(왈천지생사민야): 그리고 이르기를, “하늘이 이 백성들을 내어서는

使先知(사선지): 먼저 안 사람을 시켜서

覺後知(각후지)하며 : 뒤늦게 아는 사람을 일깨우게 하고,

使先覺(사선각)으로 : 먼저 깨달은 사람을 시켜

覺後覺(각후각)이시니 : 뒤늦게 깨닫는 사람을 일깨우게 하였다.

(): 나는

天民之先覺者也(천민지선각자야)로니 : 하늘이 낸 백성 중의 먼저 깨달은 자다.

予將以此道(여장이차도): 나는 이 도를 가지고

覺此民也(각차민야)라하며 : 이 백성들을 일깨우련다라고 말하고,

思天下之民(사천하지민): 온 천하의 백성 중의

匹夫匹婦有不與被堯舜之澤者(필부필부유불여피요순지택자)어든 : 필부(匹夫)와 필부(匹婦)가 요 임금과 순 임금이 배운 은택을 받는 데에 끼지 않은 것 생각하기를

若己推而內之溝中(약기추이내지구중)하니 : 자기가 밀어서 그들을 도랑 속에 빠뜨린 것 같이 하였으니,

其自任以天下之重也(기자임이천하지중야)니라 : 그는 천하를 다스리는 중대한 사명을 자임하였던 것이다.

柳下惠(유하혜): 유하혜(柳下惠)

不羞汚君(불수오군)하며 : 더러운 임금을 부끄럽게 여기지 않았고

不辭小官(불사소관)하며 : 작은 벼슬을 사퇴하지 않았다.

進不隱賢(진불은현)하여 : 나가서는 자기의 우수한 능력을 감추지 않고

必以其道(필이기도)하며 : 반드시 정당한 방법으로 일하였고,

遺佚而不怨(유일이불원)하며 : 버려져도 원망하지 않았고,

阨窮而不憫(액궁이불민)하며 : 곤궁 속에 빠져도 분해하지 않았다.

與鄕人處(여향인처)하되 : 향리의 사람들과 함께 있으면

由由然不忍去也(유유연불인거야)하여 너그럽게 굴어 그들을 떠나지 못해 했다.

爾爲爾(이위이):너는 너고

我爲我(아위아): 나는 난데

雖袒裼裸裎於我側(수단석라정어아측)인들 : 내 곁에서 벌거벗고 있은들

爾焉能浼我哉(이언능매아재)리오하니 : 네가 어찌 나를 더럽힐 수 있겠느냐?”라고 생각하였던 것이다.

(): 그래서

聞柳下惠之風者(문류하혜지풍자): 유하혜의 작풍을 들으면

鄙夫寬(비부관)하며 : 비루(鄙陋)한 사나이가 너그러워지고,

薄夫敦(박부돈)하니라 : 박한 사나이가 후해진다.

孔子之去齊(공자지거제): 공자께서 제 나라를 떠나실 때에는

接淅而行(접석이행)하시고 : 일었던 쌀을 가지고 가셨는데,

去魯(거로): 노나라를 떠나실 적에는

曰遲遲(왈지지)이르기를, “잘 떨어지지 않는다

吾行也(오행야)여하시니 : 내 발이 고 말씀하셨다.

去父母國之道也(거부모국지도야): 부모의 나라를 떠나는 도리였다.

可以速而速(가이속이속)하며 : 속히 할 만하면 속히 하고,

可以久而久(가이구이구)하며 : 오래 있을 만하면 오래 있고,

可以處而處(가이처이처)하며 : 머무를 만하면 머무르고,

可以仕而仕(가이사이사): 벼슬을 살 만하면 벼슬을 산 것이

孔子也(공자야)시니라 : 공자시다.

孟子曰伯夷(맹자왈백이): 맹자께서 말씀하시기를, 백이는

聖之淸者也(성지청자야): 성인으로서 맑았던 사람이고,

伊尹(이윤): 이윤은

聖之任者也(성지임자야): 성인으로서 사명을 자임하였던 사람이고,

柳下惠(류하혜): 유하혜는

聖之和者也(성지화자야): 성인으로서 온화한 기질을 가졌던 사람이고,

孔子(공자): 공자는

聖之時者也(성지시자야)시니라 : 성인으로서 때를 알아서 해나간 사람이었다.

孔子之謂集大成(공자지위집대성)이니 : 공자 같으신 분을 집대성했다고 하는 것이다.

集大成也者(집대성야자): 집대성했다는 것은

金聲而玉振之也(금성이옥진지야): 금속소리에다가 옥소리를 떨쳐낸 것이다.

金聲也者(금성야자): 금속소리라는 것은

始條理也(시조리야): 조리 있게 시작하는 것이고,

玉振之也者(옥진지야자): 옥소리를 떨쳐낸다는 것은

終條理也(종조리야): 조리 있게 끝맺는다는 것이다.

始條理者(시조리자): 조리 있게 시작하는 것은

智之事也(지지사야): 지혜로운 사람이 하는 일이고,

終條理者(종조리자): 옥소리를 떨쳐낸다는 것은

聖之事也(성지사야)니라 : 성덕을 지닌 사람이 하는 일이다.

(): 지혜는

譬則巧也(비칙교야): 비겨 말하면 기교다.

(): 성덕은

譬則力也(비칙력야): 비겨 말하면 힘이다.

由射於百步之外也(유사어백보지외야)하니 : 백 보 밖에서 활을 쏘는데,

其至(기지): 목표물 있는 데까지 도달하는 것은

爾力也(이력야)어니와 : 그대의 일이고,

其中(기중): 목표물에 적중하는 것은

非爾力也(비이력야)니라 : 그대의 힘이 아니다.

 

 

 

 

산과바다 이계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