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四書/孟子

孟子(맹자) 2. 周室班爵祿(주실반작록)

by 산산바다 2016. 2. 24.

산과바다

 

孟子(맹자) HOME

 

 

5 萬章 下(만장 하)

 

2. 周室班爵祿(주실반작록)

 

北宮錡問曰周室班爵祿(북궁기문왈주실반작록야): 북궁기(北宮錡)가 주실의 작녹의 서열은

如之何(여지하)잇고 : 어떠하였습니까? 하고 여쭈어보자,

孟子曰其詳(맹자왈기상): 맹자께서는 말씀하시기를, 자세한 것은

不可得而聞也(불가득이문야)로라 : 알 길이 없다

諸侯惡其害己也(제후악기해기야)하여 : 제후들이 그 제도가 자기네를 해치는 것을 싫어하여서

而皆去其籍(이개거기적)이어니와 : 다 그것을 기록한 전적을 없애버린 것이다.

然而軻也嘗聞其略也(연이가야상문기약야)로라 : 그러나 나는 그 대략을 들은 일이 있다.

天子一位(천자일위): 천자가 한 자리,

公一位(공일위): ()이 한 자리,

侯一位(후일위): ()가 한 자리,

伯一位(백일위): ()이 한 자리

子男同一位(자남동일위): 자와 남이 같이 한 자리

凡五等也(범오등야): 무릇 오 등급이다

 

君一位(군일위): (國君)이 한 자리

卿一位(경일위): 경이 한 자리

大夫一位(대부일위): 대부(大夫)가 한 자리,

上士一位(상사일위): 상사(上士)가 한 자리,

中士一位(중사일위): 중사(中士)가 한 자리,

下士一位(하사일위): 하사(下士)가 한 자리,

凡六等(범육등)이라 : 무릇 6등급이다.

 

天子之制(천자지제): 천자의 제도는

地方千里(지방천리): 땅이 사방 천 리,

公侯(공후): 공과 후는

皆方百里(개방백리): 모두 사방 백 리,

(): ()

七十里(칠십리): 사방 70,

子男(자남): 자와 남은

五十里(오십리): 사방 50,

凡四等(범사등)이라 : 무릇 4등급이다.

 

不能五十里(불능오십리): 50리가 되지 못하여

不達於天子(불달어천자)하여 : 천자에까지는 연계를 짓지 못하고

附於諸侯(부어제후)하니 : 제후에 부속되어 있는 것을

曰附庸(왈부용)이니라 : 부용(附庸)이라고 한다.

天子之卿(천자지경): 천자의 경()

受地視侯(수지시후)하고 : 땅을 받는 것은 후와 대등하고,

大夫(대부): 대부가 

受地視伯(수지시백)하고 : 땅을 받는 것은 백과 대등하고

元士(원사): 원사(元士)

受地視子男(수지시자남)이니라 : 땅을 받는 것은 자·남과 대등하다.

大國(대국): 큰 나라도

地方百里(지방백리): 땅이 사방 백 리가 되면

(): 그 국군(國君)

十卿祿(십경록)이요 : 경의 녹이 10,

卿祿(경록): 경의 녹은

四大夫(사대부): 대부의 4,

大夫(대부): 대부는

倍上士(배상사): 상사의 배,

上士(상사): 상사는

倍中士(배중사): 중사의 배,

中士(중사): 중사는

下士倍(하사배): 하사의 배,

下士與庶人在官者(하사여서인재관자): 하사는 서인으로 관직에 있는 자와

同祿(동록)하니 : 녹이 같으니

祿足以代其耕也(록족이대기경야)니라 : 그 녹은 그가 농사를 대신 하기에 충분하다.

次國(차국): 그 다음 가는 나라로 

地方七十里(지방칠십리): 땅이 사방 70리니

(): 그 국군은

十卿祿(십경록)이요 : 경의 녹의 10

卿祿(경록): 경의 녹은

三大夫(삼대부): 대부의 3,

大夫(대부): 대부는

倍上士(배상사): 상사의 배,

上士(상사): 상사는

倍中士(배중사): 중사의 배,

中士(중사): 중사는

倍下士(배하사): 하사의 배요

下士與庶人在官者(하사여서인재관자): 하사는 서인으로 관직에 있는 자와

同祿(동록)하니 : 녹이 같고,

祿足以代其耕也(록족이대기경야)니라 : 그 녹은 그가 농사를 대신 하기에 충분하다.

小國(소국): 작은 나라로

地方五十里(지방오십리): 땅이 사방 50리가 되면

(): 그 국군은

十卿祿(십경록)이요 : 경의 녹의 10,

卿祿(경록): 경의 녹은

二大夫(이대부): 대부의 배,

大夫(대부): 대부는

倍上士(배상사): 상사의 배,

上士(상사): 상사는

倍中士(배중사): 중사의 배,

中士(중사): 중사는

倍下士(배하사): 하사의 배,

下士與庶人在官者(하사여서인재관자): 하사는 서인으로 관직에 있는 자와

同祿(동록)하니 : 녹이 같고,

祿足以代其耕也(록족이대기경야)니라 : 그 녹은 그가 농사짓는 것을 대신하기에 충분하다.

耕者之所獲(경자지소획): 농사짓는 사람의 소득은

一夫百畝(일부백무): 한 장정이 백무(百畝),

百畝之糞(백무지분): 백무가 걸면

上農夫(상농부): 상농부는

食九人(식구인)하고 : 아홉 사람을 먹이고,

上次(상차): 상에서 좀 떨어지는 농부는

食八人(식팔인)하고 : 여덟 사람을 먹이고,

(): 중농부는

食七人(식칠인)하고 : 일곱 사람을 먹이고,

中次(중차): 중에서 좀 떨어지는 농부는

食六人(식육인)하고 : 여섯 사람을 먹이고,

(): 하농부는

食五人(식오인)이니 : 다섯 사람을 먹인다.

庶人在官者(서인재관자): 서인으로 관직에 있는 자들은

其祿(기록): 그 녹이

以是爲差(이시위차)니라 : 이 농부의 소득을 표준으로 하여 차등을 짓는다.

 

 

 

 

산과바다 이계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