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과바다
國風(국풍)
六. 王風(왕풍) 065~074
074 丘中有麻(구중유마)
언덕 위의 삼밭
丘中有麻(구중유마) : 언덕 위의 삼밭 있어
彼留子嗟(피류자차) : 자차에게 남겨준다
彼留子嗟(피류자차) : 자차에게 남겨주어
將其來施施(장기래시시) : 그가 와서 손질하게 하리라
丘中有麥(구중유맥) : 언덕 위의 보리밭 있어
彼留子國(피류자국) : 자국에게 남겨준다
彼留子國(피류자국) : 자국에게 남겨주어
將其來食(장기래식) : 그녀가 와서 먹게 하리라
丘中有李(구중유이) : 언덕 위의 오얏나무 있어
彼留之子(피류지자) : 그 사람에게 남겨준다
彼留之子(피류지자) : 그 사람에게 남겨주니
貽我佩玖(이아패구) : 그녀도 나에게 패옥을 건네주었다
<해>
大車檻檻 毳衣如菼 豈不爾思 畏子不敢
賦이다. 大車는 대부의 수레이다. 檻檻은 수레가 가는 소리이다. 毳衣는 天子와 大夫의 의복이다. 菼은 갈대가 처음 난 것이다. 毳衣의 등속은 웃옷에는 그림을 그리고 아랫도리에는 수를 놓아서 五色이 모두 갖추어지니 그 푸른 것이 갈대와 같다. 爾는 淫奔者가 서로 명하는 말이다. 子는 大夫이다. 不敢은 감히 도망하지 않음이다.
○ 周나라가 쇠하였는데 大夫가 오히려 능히 刑政으로 그 私邑을 다스리는 자가 있었다. 그러므로 淫奔者가 두려워하여 노래하기를 이와 같이 하였다. 그러나 그 二南의 교화와의 거리가 머니, 이는 가히 世變을 볼 수 있다.
大車啍啍 毳衣如璊 豈不爾思 畏子不奔
賦이다. 啍啍은 거듭 느린 모양이다. 璊은 옥의 붉은색이니, 五色이 갖추어지면 붉은색이 있는 것이다.
穀則異室 死則同穴 謂予不信 有如皦日
賦이다. 穀은 사는 것이요, 穴은 구덩이요, 皦는 밝음이다. ○ 백성들이 서로 도망하고자 한 것은 그 대부를 두려워하여 스스로 종신토록 그 뜻과 같음을 얻지 못한 것이다. 그러므로 “살아서는 서로 도망하여 同室할 수 없으니, 거의 죽어서 合葬하여 同穴에 있을 뿐이다.” 내가 미덥지 않음이 밝은 해와 같다 한 것은 約誓하는 말이다.
산과바다 이계도
'詩經 > 國風' 카테고리의 다른 글
76 將仲子(장중자)-詩經 鄭風(시경 정풍) (0) | 2016.02.03 |
---|---|
75 緇衣(치의)-詩經 鄭風(시경 정풍) (0) | 2016.02.03 |
73 大車(대거)-詩經 王風(시경 왕풍) (0) | 2016.02.03 |
72 采葛(채갈)-詩經王風(시경 왕풍) (0) | 2016.02.03 |
71. 葛藟(갈류)-詩經 王風(시경 왕풍) (0) | 2016.02.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