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詩經/詩經

시경(詩經) : 殷其雷(은기뢰)-은은한 우레소리, 표有梅(표유매)-떨어지는

by 산산바다 2007. 4. 1.

산과바다

 

 

 

        시경(詩經)

 

殷其雷(은기뢰)-은은한 우레소리

표有梅(표유매)-떨어지는 매실

小星(소성)-작은 별

江有사(강유사)-곁 강

 

 

 

殷其雷(은기뢰) - 은은한 우레소리

 

殷其雷(은기뢰) 은은한 우레소리

在南山之陽(재남산지양) 남산 남쪽에서 울리는데

何斯違斯(하사위사) 부역 나간 우리 낭군

莫敢或遑(막감혹황) 어찌 조금도 겨를 없나.

振振君子(진진군자) 미더운 우리 낭군

歸哉歸哉(귀재귀재) 돌아오소서. 돌아오소서.

 

殷其雷(은기뢰) 은은한 우레소리

在南山之側(재남산지측) 남산 옆에서 울리는데

何斯違斯(하사위사) 부역나간 우리 낭군

莫敢遑息(막감황식) 어찌 조금도 못 쉬시나.

振振君子(진진군자) 미더운 우리 낭군

歸哉歸哉(귀재귀재) 돌아오소서. 돌아오소서.

 

殷其雷(은기뢰) 은은한 우레소리

在南山之下(재남산지하) 남산 아래서 울리는데

何斯違斯(하사위사) 부역나간 우리 낭군

莫或遑處(막감혹처) 어찌 잠시도 못 오시나.

振振君子(진진군자) 미더운 우리 낭군

歸哉歸哉(귀재귀재) 돌아오소서. 돌아오소서.

 

 이강유람 중 오리떼가 보임 

 

 

표有梅(표유매) - 떨어지는 매실

 

표有梅(표유매) 매실이 다 떨어져

其實七兮(기실칠혜) 달린 매실 일곱 개.

求我庶士(구아서사) 나를 찾는 선비들

태其吉兮(태기길혜) 때놓치지 마시길..

 

표有梅(표유매) 매실이 다 떨어져

其實三兮(기실삼혜) 달린 매실 세 개 뿐.

求我庶士(구아서사) 나를 찾는 선비들

태其今兮(태기금혜) 지금 당장 오시길..

 

표有梅(표유매) 매실이 다 떨어져

頃筐기之(경광기지) 광주리에 담았네.

求我庶士(구아서사) 나를 찾는 선비들

태其謂之(태기위지) 그냥 데려가시길..

 

 밤나무와 열매인데 우리나라와 전혀 다르네. 군밤의 맛은 우리밤과 같았다.

 

 

小星(소성) - 작은 별

 

暳彼小星(혜피소성) 반짝반짝 작은 별

三五在東(삼오재동) 드문드문 동쪽에.

肅肅宵征(숙숙소정) 밤길 걸어 다니며

夙夜在公(숙야재공) 새벽부터 늦도록 임금을 모시니

寔命不同(식명불동) 신분이 달라 그렇지.

 

暳彼小星(혜피소성) 반짝반짝 작은 별

維參與昴(유삼여묘) 삼성이고 묘성이네.

肅肅宵征(숙숙소정) 밤길 걸어다니며

抱衾與주(포금여주) 이불을 안고 가니

寔命不猶(식명불유) 신분이 달라 그렇지.

 

 이강에서 유람 중 (우리가 탄 배와 똑같네)

 

江有사(강유사) - 곁 강

 

江有사(강유사) 강에 나뉜 줄기 있네.

之子歸(지자귀) 우리 아씨 시집갈 때

不我以(불아이) 나를 데려가지 아니했네.

不我以(불아이) 데려가지 아니했네.

其後也悔(기후야회) 그러나 나중엔 뉘우쳤네.

 

江有渚(강유저) 강에 모래톱 끼어 있네.

之子歸(지자귀) 우리 아씨 시집갈 때

不我與(불아여) 나와 함께 가지 아니했네.

不我與(불아여) 함께 가지 아니했네.

其後也處(기후야처) 그러나 나중엔 데려갔네.

 

江有타(강유타) 강에 흘러드는 샛강 있네.

之子歸(지자귀) 우리 아씨 시집갈 때

不我過(불아과) 내게 들르지 아니했네.

不我過(불아과) 들르지를 아니했네.

其嘯也歌(기소야가) 그러나 결국엔 즐거웠네.



 

 




산과바다 이계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