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과바다
시경(詩經)
采번(채번)-물쑥을 뜯네
草蟲(초충)-풀벌레
采빈(채빈)-마름 따기
采번(채번) - 물쑥을 뜯네
于以采번(우이채번) 물쑥을 뜯네 于沼于沚(우소우지) 못가에서 물가에서. 于以用之(우이용지) 뜯어다 쓰네 公侯之事(공후지사) 공후 집안 일에.
于以采번(우이채번) 물쑥을 뜯네 于澗之中(우간지중) 산골 물에서. 于以用之(우이용지) 뜯어다 쓰네 公侯之宮(공후지궁) 공후 집안 사당에.
被之동동(피지동동) 머리 수식 경건하게 夙夜在公(숙야재공) 새벽부터 밤까지. 被之祁祁(피지기기) 머리 수식 느긋하게 薄言還歸(박언선귀) 그새 집에 돌아왔네.
草蟲(초충) - 풀벌레
요요草蟲(요요초충) 찌르찌르 풀벌레 적적阜종(적적부종) 폴짝폴짝 메뚜기. 未見君子(미견군자) 우리 낭군 못만나 憂心충충(아심충충) 내 마음 울적해. 亦旣見止(역기견지) 낭군을 만나고 亦旣구止(역기구지) 낭군과 어울면 我心則降(아심즉항) 내 마음이 풀리리.
陟彼南山(척피남산) 저 남산에 올라 言采其蕨(언채기궐) 고사리를 캐네. 未見君子(미견군자) 우리 낭군 못만나 憂心철철(우심철철) 내 마음 답답해. 亦旣見止(역기견지) 낭군을 만나고 亦旣구止(역기구지) 낭군과 어울면 我心則說(아심즉열) 내 마음이 기쁘리.
陟彼南山(척피남산) 저 남산에 올라 言采其薇(언채기미) 고비를 캐네. 未見君子(미견군자) 우리 낭군 못만나 我心傷悲(아심상비) 내 마음 속상해. 亦旣見止(역기견지) 낭군을 만나고 亦旣구止(역기구지) 낭군과 어울면 我心則夷(아심즉이) 내 마음 편안하리.
采빈(채빈) - 마름 따기
于以采빈(우이채빈) 물에 뜬 마름 따네 南澗之濱(남간지빈) 남쪽 시내 물가에서. 于以采藻(우이채조) 뿌리 있는 마름 따네 于彼行료(우피행료) 저 길가 웅덩이서.
于以盛之(우이성지) 마름을 따 담는다네 維筐及거(유광급거) 모난 둥근 대그릇에. 于以湘之(우이상지) 마름을 데쳐내네 維錡及釜(유기급부) 작고 큰 솥에다가.
于以奠之(우이전지) 마름을 갖다 두네 宗室爽下(종실유하) 종실 사당 창문 아래. 誰其尸之(수기시지) 누가 그 일 주관하나? 有齊季女(유재계녀) 경건한 새댁이네.
|
산과바다 이계도
'詩經 > 詩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경(詩經) : 殷其雷(은기뢰)-은은한 우레소리, 표有梅(표유매)-떨어지는 (0) | 2007.04.01 |
---|---|
시경(詩經) : 甘棠(감당)-아가위 나무, 行露(행로)-길에 이슬, 羔羊 (0) | 2007.04.01 |
시경(시경) : 汝墳(여분)-여수 제방, 麟之趾(린지지)-기린의 발, 鵲巢 (0) | 2007.04.01 |
시경(詩經) : 兎저(토저)-토끼그물, 부이(부이)-질경이, 漢廣(한광) (0) | 2007.04.01 |
시경(詩經): 규목-굽어늘어진 나무, 종斯(종사)-베짱이처럼, 桃夭(도요) (0) | 2007.04.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