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詩經/詩經

시경(詩經) : 兎저(토저)-토끼그물, 부이(부이)-질경이, 漢廣(한광)

by 산산바다 2007. 4. 1.

산과바다

 

 

      시경(詩經)

 

     兎저(토저) - 토끼그물

     부이(부이) -질경이

     漢廣(한광) -한수는 넓어

 

 

 

 

兎저(토저) - 토끼그물

 

肅肅兎저(숙숙토저) 가지런한 토끼그물

탁之丁丁(탁지정정) 떵떵 말뚝을 박네

赳赳武夫(규규무부) 씩씩한 무부는

公侯干城(공후간성) 공후의 간성이네

 

肅肅兎저(숙숙토저) 가지런한 토끼그물

施于中逵(시우중규) 큰길에다 치고 있네

赳赳武夫(규규무부) 씩씩한 무부는

公侯好仇(공후호구) 공후의 좋은 짝이라네

 

肅肅兎저(숙숙토저) 가지런한 토끼그물

施于中林(시우중림) 숲속에다 치고 있네

赳赳武夫(규규무부) 씩씩한 무부는

公侯腹心(공후복심) 공후의 복심이네

 

*숙숙(肅肅): 가지런히 잘 정돈된 모양.
*정정(丁丁): 그물을 치기 위해서 땅에다 말뚝을 박는 소리.
*규규(赳赳): 씩씩하고 용맹한 모양.
*공후(公侯): 공과 후. 문왕을 가리키는 말이라고 함.
*간성(干城): 방패와 성. 둘다 외부의 침입을 막는 데에 쓰임.
*중규(中逵): 사방팔방으로 통하는 큰길 가운데.
*호구(好仇): 좋은 짝.
*복심(腹心): 서로 마음이 같고 덕이 같은 사람.
 

 

  

부이(부이) -질경이

 

采采부이(채채부이) 캐네 캐네 질경이 캐네

薄言采之(박언채지) 얼른 잠깐 질경이 캐네

采采부이(채채부이) 캐네 캐네 질경이 캐네

薄言有之(박언유지) 얼른 잠깐 다 캐었네

 

采采부이(채채부이) 캐네 캐네 질경이 캐네

薄言철之(박언철지) 얼른 잠깐 다 주웠네

采采부이(채채부이) 캐네 캐네 질경이 캐네

薄言랄之(박언랄지) 얼른 잠깐 씨를 훑네

 

采采부이(채채부이) 캐네 캐네 질경이 캐네

薄言결之(박언결지) 얼른 잠깐 옷자락에 담네

采采부이(채채부이) 캐네 캐네 질경이 캐네

薄言힐之(박언힐지) 얼른 잠깐 옷자락에 마네

 

*부이(芸-云+不, 苡): 질경이
*박언(薄言): 짧은 시간에. 언(言)은 어조사.
*채지(采之): 캐다.
*유지(有之): 캐는 일을 마치다.
*철지(輟-車+手 之): 줍다.
*랄지(採-木+寸 之): 씨를 훑다.
*결지(衣+吉 之): 질경이 씨를 옷자락에 담다.
*힐지(衣+吉+頁 之): 옷자락에 담아 옷자락 끝을 허리띠에 끼우다.

 

 

 

 

漢廣(한광) -한수는 넓어

 

南有喬木(남유교목) 남쪽 지방 우뚝한 나무

不可休思(불가휴사) 그늘이 없어 쉴 수가 없네

漢有游女(한유유녀) 한수 가에 노니는 아가씨

不可求思(불가구사) 예전처럼 가볍게 사귈 수 없네

漢之廣矣(한지광의) 한수는 넓고 넓어

不可泳思(불가영사) 헤엄을 쳐서 건널 수 없네

江之永矣(강지영의) 강수는 길고 길어

不可方思(불가방사) 뗏목을 타고 갈 수가 없네

 

翹翹錯薪(교교착신) 우거져 뒤섞인 섶나무 속에서

言刈其楚(언예기초) 그 가시나무 베어오리

之子于歸(지자우귀) 이 아가씨 시집가니

言말其馬(언말기마) 그 말에게 먹이를 주리

漢之廣矣(한지광의) 한수는 넓고 넓어

不可泳思(불가영사) 헤엄을 쳐서 건널 수 없네

江之永矣(강지영의) 강수는 길고 길어

不可方思(불가방사) 뗏목을 타고 갈 수가 없네

 

翹翹錯薪(교교착신) 우거져 뒤섞인 섶나무 속에서

言刈其蔞(언예기루) 그 물쑥을 베어오리

之子于歸(지자우귀) 이 아가씨 시집가니

言말其駒(언말기구) 그 망아지에게 먹이를 주리

漢之廣矣(한지광의) 한수는 넓고 넓어

不可泳思(불가영사) 헤엄을 쳐서 건널 수 없네

江之永矣(강지영의) 강수는 길고 길어

不可方思(불가방사) 뗏목을 타고 갈 수가 없네

     


 

 



산과바다 이계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