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참취속41

벌개미취 Korean starwort 산과바다 벌개미취 Korean starwort 2020. 7. 13. 담음 * 꽃피는 기간이 6월~10월까지 길어 오랫동안 꽃을 볼 수 있고  * 벌개미취와 개미취 구분종혀꽃 색깔개화 시기키 높이벌개미취연한 자줏빛6월부터50~60cm개미취하늘색 자줏빛10월 중순부터 늦게 핌1~2m       벌개미취 Aster koraiensis Nakai      속씨식물 >쌍떡잎식물강 >국화목 >국화과 >참취속(Aster) 참취속의 여러해살이풀로 습지에서 자란다. 높이 50∼60cm이다. 옆으로 벋는 뿌리줄기에서 원줄기가 곧게 자라고, 홈과 줄이 있다.잎은 근생엽(根生葉 뿌리에 달린 잎)은 꽃이 필 때 진다. 경생엽(徑生葉 줄기에 달린 잎)은 어긋나고 바소꼴이며 길이 12∼19cm, 나비 1.5∼3cm로서 딱딱하고 .. 2020. 7. 14.
미국쑥부쟁이 Frost aster(White heath aster) 산과바다 미국쑥부쟁이  Frost aster(White heath aster) 2018. 10. 3. 담음 * 흰색 꽃 만 보아왔는데 옅은 붉은 보라색의 꽃도 있군요. * 흰 꽃이 피는 것을 '백공작', 푸른 꽃이 피는 것을 '청공작'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미국쑥부쟁이 Aster pilosus Willd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초롱꽃목 >국화과 >참취속(Aster) 산지나 들판 길가 등에서 자란다. 북아메리카 원산의 귀화식물로서 1970년대 말 강원도 춘천시 중도 지방에서 처음 발견되었다. 중도국화 털쑥부쟁이라고도 한다. 줄기는 무모(無毛) 또는 거센털, 원뿔 모양으로 분지(分枝)하며, 아래쪽은 목질화(木質化)되고, 높이 30~100cm, 가지는 총상(總狀)을 이루며 작은 가지들은.. 2018. 10. 4.
미국쑥부쟁이 Frost aster(White heath aster) 산과바다  미국쑥부쟁이 Frost aster(White heath aster)  2018. 9. 19. 담음 * 작은 가지의 잎은 선형 또는 뾰쪽한 송곳형으로 다수 부착함이 쑥부쟁이와 다르군요. * 흰 꽃이 피는 것을 백공작, 푸른 꽃이 피는 것을 청공작 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미국쑥부쟁이 Aster pilosus Willd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초롱꽃목 >국화과 >참취속(Aster) 산지나 들판 길가 등에서 자란다. 북아메리카 원산의 귀화식물로서 1970년대 말 강원도 춘천시 중도 지방에서 처음 발견되었다. 중도국화 털쑥부쟁이라고도 한다. 줄기는 무모(無毛) 또는 거센털, 원뿔 모양으로 분지(分枝)하며, 아래쪽은 목질화(木質化)되고, 높이 30~100cm, 가지는 .. 2018. 9. 21.
쑥부쟁이 Korean aster 산과바다  쑥부쟁이 Korean aster  2018. 9. 19. 담음 * 바깥쪽의 설상화(舌狀花)는 자줏빛이지만 가운데 부분의 통상화(筒狀花)는 노란색으로 예쁘군요.              쑥부쟁이 Aster yomena (Kitam.) Honda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초롱꽃목 >국화과 >참취속(Aster) 습기가 약간 있는 산과 들에서 자란다. 높이 30∼100cm이다. 줄기는 녹색 바탕에 자줏빛을 띠며 곧추서고 상부에서 가지를 친다.뿌리줄기가 옆으로 벋는다. 원줄기가 처음 나올 때는 붉은빛이 돌지만 점차 녹색 바탕에 자줏빛을 띤다. 잎은 뿌리에 달린 잎은 꽃이 필 때 진다. 줄기에 달린 잎은 어긋나고 바소꼴이며 가장자리에 굵은 톱니가 있다. 겉면은 녹색이고 윤이 나며 위쪽으로 갈수록.. 2018. 9. 21.
미국쑥부쟁이 Frost aster(White heath aster) 산과바다 미국쑥부쟁이 Frost aster(White heath aster)  2018. 8. 6. 담음 * 줄기의 잎은 좁은 선형-선상 피침형, 끝이 뾰족하고 톱니가 없고 길이 3~10cm, 폭 3~8mm정도 이고  * 작은 가지의 잎은 선형 또는 뾰쪽한 송곳형으로 다수 부착함이 쑥부쟁이와 다르군요.       미국쑥부쟁이 Aster pilosus Willd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초롱꽃목 >국화과 >참취속(Aster) 산지나 들판 길가 등에서 자란다. 북아메리카 원산의 귀화식물로서 1970년대 말 강원도 춘천시 중도 지방에서 처음 발견되었다. 중도국화 털쑥부쟁이라고도 한다. 줄기는 무모(無毛) 또는 거센털, 원뿔 모양으로 분지(分枝)하며, 아래쪽은 목질화(木質化)되고, 높이 30~100c.. 2018. 8. 7.
미국쑥부쟁이 Frost aster(White heath aster) 산과바다 미국쑥부쟁이 Frost aster(White heath aster)  2017. 9. 24. 담음 * 흰색 꽃만 보아왔는데 옅은 붉은 보라색의 꽃도 있군요.      미국쑥부쟁이 Aster pilosus Willd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초롱꽃목 >국화과 >참취속(Aster) 산지나 들판 길가 등에서 자란다. 북아메리카 원산의 귀화식물로서 1970년대 말 강원도 춘천시 중도 지방에서 처음 발견되었다. 중도국화 털쑥부쟁이라고도 한다. 줄기는 무모(無毛) 또는 거센털, 원뿔 모양으로 분지(分枝)하며, 아래쪽은 목질화(木質化)되고, 높이 30~100cm, 가지는 총상(總狀)을 이루며 작은 가지들은 한쪽을 향하여 배열한다.잎은 경질(硬質)이고 기부의 잎은 주걱모양으로, 끝이 둔두(鈍頭)이고.. 2017. 9. 24.
미국쑥부쟁이 Frost aster 산과바다  미국쑥부쟁이 Frost aster 2016. 10. 1. 담음 야산 양지바른 길가에서 담음              미국쑥부쟁이 Aster pilosus Willd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초롱꽃목 >국화과 >참취속(Aster) 산지나 들판 길가 등에서 자란다. 북아메리카 원산의 귀화식물로서 1970년대 말 강원도 춘천시 중도 지방에서 처음 발견되었다. 중도국화 털쑥부쟁이라고도 한다. 줄기는 무모(無毛) 또는 거센털, 원뿔 모양으로 분지(分枝)하며, 아래쪽은 목질화(木質化)되고, 높이 30~100cm, 가지는 총상(總狀)을 이루며 작은 가지들은 한쪽을 향하여 배열한다.잎은 경질(硬質)이고 기부의 잎은 주걱모양으로, 끝이 둔두(鈍頭)이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으며, 잎자루 쪽으로 좁아지고.. 2016. 11. 7.
쑥부쟁이 Korean aster 산과바다  쑥부쟁이 Korean aster 2014. 10. 2. 담음 * 바깥쪽의 설상화(舌狀花)는 자줏빛이지만 가운데 부분의 통상화(筒狀花)는 노란색으로 예쁘군요.            쑥부쟁이 Aster yomena (Kitam.) Honda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초롱꽃목 >국화과 >참취속(Aster) 습기가 약간 있는 산과 들에서 자란다. 높이 30∼100cm이다. 줄기는 녹색 바탕에 자줏빛을 띠며 곧추서고 상부에서 가지를 친다.뿌리줄기가 옆으로 벋는다. 원줄기가 처음 나올 때는 붉은빛이 돌지만 점차 녹색 바탕에 자줏빛을 띤다. 잎은 뿌리에 달린 잎은 꽃이 필 때 진다. 줄기에 달린 잎은 어긋나고 바소꼴이며 가장자리에 굵은 톱니가 있다. 겉면은 녹색이고 윤이 나며 위쪽으로 갈수록 크기.. 2014. 10. 2.
미국쑥부쟁이 Frost aster 산과바다  미국쑥부쟁이(백공작) Frost aster 2014. 9. 15. 담음 * 흰 꽃이 피는 것을 백공작, 푸른 꽃이 피는 것을 청공작이라고 부르기도 한다는군요.             미국쑥부쟁이 Aster pilosus Willd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초롱꽃목 >국화과 >참취속(Aster) 산지나 들판 길가 등에서 자란다. 북아메리카 원산의 귀화식물로서 1970년대 말 강원도 춘천시 중도 지방에서 처음 발견되었다. 중도국화 털쑥부쟁이라고도 한다. 줄기는 무모(無毛) 또는 거센털, 원뿔 모양으로 분지(分枝)하며, 아래쪽은 목질화(木質化)되고, 높이 30~100cm, 가지는 총상(總狀)을 이루며 작은 가지들은 한쪽을 향하여 배열한다.잎은 경질(硬質)이고 기부의 잎은 주걱모양으로, 끝이.. 2014. 9. 19.
벌개미취 Korean starwort 산과바다  벌개미취 Korean starwort 2014. 7. 8. 담음 * 꽃피는 기간이 6월~10월까지 길어 오랫동안 꽃을 볼 수 있군요. * 벌개미취와 개미취 구분종혀꽃 색깔개화 시기키 높이벌개미취연한 자줏빛6월부터50~60cm개미취하늘색 자줏빛10월 중순부터 늦게 핌1~2m           벌개미취 Aster koraiensis Nakai      속씨식물 >쌍떡잎식물강 >국화목 >국화과 >참취속(Aster) 참취속의 여러해살이풀로 습지에서 자란다. 높이 50∼60cm이다. 옆으로 벋는 뿌리줄기에서 원줄기가 곧게 자라고, 홈과 줄이 있다.잎은 근생엽(根生葉 뿌리에 달린 잎)은 꽃이 필 때 진다. 경생엽(徑生葉 줄기에 달린 잎)은 어긋나고 바소꼴이며 길이 12∼19cm, 나비 1.5∼3cm로서 .. 2014. 7. 8.
해국 Seashore spatulate aster 산과바다  해국 Seashore spatulate aster 2013. 10. 20. 서해안에서 담음                해국 Aster spathulifolius Maxim.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국화목 >국화과 >참취속(Aster) 해변국이라고도 한다. 바닷가에서 자란다. 줄기는 다소 목질화하고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비스듬히 자라서 높이 30∼60cm로 된다.잎은 어긋나지만 달걀을 거꾸로 세운 듯한 모양으로 밑에서는 모여 나며 두껍다. 양면에 털이 빽빽이 나서 희게 보이고 잎 가장자리는 밋밋하거나 톱니가 약간 있으며 주걱 모양이다.꽃은 7∼11월에 피고 연한 보라색 또는 흰색이며 가지 끝에 두화(頭花)가 달린다. 총포는 반구형이며 포조각은 털이 있고 3줄로 배열한다.열매는 수과(.. 2013. 10. 21.
까실쑥부쟁이 Rough sruface aster 산과바다  까실쑥부쟁이 Rough sruface aster 2013. 10. 4. 담음 * 부지깽이나물, 쑥취라고도 하며 어린순을 나물로 하는군요. * 잎의 표면을 만져보면 까실까실하게 거칠고 줄기 위로 올라갈수록 잎이 작아지는군요.               까실쑥부쟁이 Aster ageratoides Turcz.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초롱꽃목 >국화과 >참취속(Aster)  산비탈 돌 많은 풀밭에서 자람. 줄기는 높이가 1m에 달하고 줄기는 곧게서며 때로는 붉은빛을 띠고 털이 있거나 없으며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거칠다.뿌리는 근경이 가로 뻗으면서 번식하여 군집을 이룬다.잎은 근생엽과 밑부분의 잎은 꽃이 필 때 쓰러지고 줄기잎은 어긋나기하며 긴 타원상 피침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길이 1.. 2013. 10. 9.
미국쑥부쟁이 White Heath Aster 산과바다  미국쑥부쟁이 White Heath Aster 2013. 9. 24. 담음              미국쑥부쟁이 Aster pilosus Willd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초롱꽃목 >국화과 >참취속(Aster) 산지나 들판 길가 등에서 자란다. 북아메리카 원산의 귀화식물로서 1970년대 말 강원도 춘천시 중도 지방에서 처음 발견되었다. 중도국화 털쑥부쟁이라고도 한다. 줄기는 무모(無毛) 또는 거센털, 원뿔 모양으로 분지(分枝)하며, 아래쪽은 목질화(木質化)되고, 높이 30~100cm, 가지는 총상(總狀)을 이루며 작은 가지들은 한쪽을 향하여 배열한다.잎은 경질(硬質)이고 기부의 잎은 주걱모양으로, 끝이 둔두(鈍頭)이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으며, 잎자루 쪽으로 좁아지고 무모, 잎 가장자.. 2013. 9. 29.
참취 Rough aster 산과바다  참취 Rough aster 2013. 8. 26. 담음 * 일명 ‘취나물’이라고도 하며 산나물의 대명사처럼 여겨질 만큼 가장 많이 이용되는 산채다.           참취 Aster scaber Thunb.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초롱꽃목 >국화과 >참취속(Aster)  일명 ‘취나물’이라고도 하며 산나물의 대명사처럼 여겨질 만큼 가장 많이 이용되는 산채다. 줄기는 높이 1~1.5m이고 근경 끝에서 가지가 산방상으로 갈라지며 전체가 거칠거칠하다. 뿌리는 근경이 굵고 짧다.잎은 근생엽은 꽃이 필 때쯤 되면 없어지고 엽병이 길며 심장형이고 줄기잎은 어긋나기 하며 밑 부분의 것은 날개가 있는 긴 엽병이 있고 심장형이며 길이 9~24cm, 나비 6~18cm로서 거칠고 양면에 털이 있으며 .. 2013. 8. 28.
개미취 Tatarian Aster 산과바다  개미취 Tatarian Aster 2013. 8. 5. 담음         개미취 Aster tataricus L.f.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초롱꽃목 >국화과 >참취속(Aster)  독특한 지역형이 나타난다. 울릉도 자생의 개체는 개화 시기가 10월 중순~11월 중순으로 상대적으로 늦으며 줄기가 굵고 초장이 짧은 것이 특징이다. 중부 및 경기도 일원에서 생육하는 개체는 초장이 2m에 이르는 대형이며 개화 시기는 9월말~10월초로 일반적인 개체들보다 상대적으로 약간 늦게 개화하고 야화성이며 줄기가 강건하여 도복이 잘 일어나지 않는다. 줄기는 높이 1~1.5m이지만 재배한 것은 2m에 달하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짧은 털이 있다. 뿌리는 근경이 짧으며 옆으로 길게 뻗으면서 마디.. 2013. 8. 5.
해국 Seashore spatulate aster 산과바다  해국 Seashore spatulate aster  2012. 10. 12. 담음       해국 Aster spathulifolius Maxim.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국화목 >국화과 참취속(Aster) 해변국이라고도 한다. 바닷가에서 자란다. 줄기는 다소 목질화하고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비스듬히 자라서 높이 30∼60cm로 된다.잎은 어긋나지만 달걀을 거꾸로 세운 듯한 모양으로 밑에서는 모여 나며 두껍다. 양면에 털이 빽빽이 나서 희게 보이고 잎 가장자리는 밋밋하거나 톱니가 약간 있으며 주걱 모양이다.꽃은 7∼11월에 피고 연한 보라색 또는 흰색이며 가지 끝에 두화(頭花)가 달린다. 총포는 반구형이며 포조각은 털이 있고 3줄로 배열한다.열매는 수과(瘦果)로 11월에 성숙하고 .. 2012. 10. 16.
참취 Rough aster 산과바다  참취 Rough aster 2012. 8. 5. 담음 * 일명 ‘취나물’이라고도 하며 산나물의 대명사처럼 여겨질 만큼 가장 많이 이용되는 산채다.          참취 Aster scaber Thunb.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초롱꽃목 >국화과 >참취속(Aster)  일명 ‘취나물’이라고도 하며 산나물의 대명사처럼 여겨질 만큼 가장 많이 이용되는 산채다. 줄기는 높이 1~1.5m이고 근경 끝에서 가지가 산방상으로 갈라지며 전체가 거칠거칠하다. 뿌리는 근경이 굵고 짧다.잎은 근생엽은 꽃이 필 때쯤 되면 없어지고 엽병이 길며 심장형이고 줄기잎은 어긋나기 하며 밑 부분의 것은 날개가 있는 긴 엽병이 있고 심장형이며 길이 9~24cm, 나비 6~18cm로서 거칠고 양면에 털이 있으며 가장.. 2012. 8. 8.
해국 Seashore spatulate aster 산과바다 해국 Seashore spatulate aster  2011. 10. 15. 담음 격포항 절벽에서 자람을 담음       해국 Aster spathulifolius Maxim.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국화목 >국화과 >참취속(Aster) 해변국이라고도 한다. 바닷가에서 자란다. 줄기는 다소 목질화하고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비스듬히 자라서 높이 30∼60cm로 된다.잎은 어긋나지만 달걀을 거꾸로 세운 듯한 모양으로 밑에서는 모여 나며 두껍다. 양면에 털이 빽빽이 나서 희게 보이고 잎 가장자리는 밋밋하거나 톱니가 약간 있으며 주걱 모양이다.꽃은 7∼11월에 피고 연한 보라색 또는 흰색이며 가지 끝에 두화(頭花)가 달린다. 총포는 반구형이며 포조각은 털이 있고 3줄로 배열한다.열매는 수과.. 2011. 10.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