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빈풍5

160. 狼跋(낭발)-詩經 豳風(시경 빈풍) 산과바다 詩經(시경) HOME 國風(국풍) 十五. 豳風(빈풍) 154~160 160 狼跋(낭발) 늙은 이리 狼跋其胡(낭발기호) : 이리가 턱밑살에 밟히고 載疐其尾(재체기미) : 뒤로는 그 꼬리에 걸려 넘어지네. 公孫碩膚(공손석부) : 공은 도량이 넓으시고 赤舃几几(적석궤궤) : 붉은 신 신으신 걸음걸이 의젓하시네. 狼疐其尾(낭체기미) : 이리가 꼬리에 걸려 넘어지고 載跋其胡(재발기호) : 뒤로는 턱밑살에 밟히네 公孫碩膚(공손석부) : 공은 도량이 넓으시고 德音不瑕(덕음불하) : 훌륭한 말씀 잘못이 없으시네 狼跋其胡 載疐其尾 公孫碩膚 赤舃几几 興이다. 跋은 밟힘이다. 胡는 턱 아래에 매달려 있는 살이다. 載는 則이요, 疐는 넘어짐이다. 늙은 이리는 턱 밑에 매달린 胡가 있어서 나아가면 그 胡가 밟히고, 물.. 2016. 2. 5.
159. 九罭(구역)-詩經 豳風(시경 빈풍) 산과바다 詩經(시경) HOME 國風(국풍) 十五. 豳風(빈풍) 154~160 159 九罭(구역) 촘촘한 고기그물 九罭之魚(구역지어) : 촘촘한 그물의 고기 鱒魴(준방) : 송어와 방어 我覯之子(아구지자) : 우리 그분의 아들 만나니 袞衣繡裳(곤의수상) : 곤룡포 저고리에 수놓은 바지 鴻飛遵渚(홍비준저) : 기러기는 물가를 따라 날아간다. 公歸無所(공귀무소) : 그분 돌아갈 곳 없으랴 於女信處(어여신처) : 그대들에게 잠시 머무신 것이네. 鴻飛遵陸(홍비준육) : 기러기는 물가를 따라 날아간다. 公歸不復(공귀불복) : 그분 돌아가시면 다시 돌아오지 않으시리. 於女信宿(어녀신숙) : 그대들에게 잠시 묶으신 것이네. 是以有袞衣兮(시이유곤의혜) : 이래서 우리 곤룡포 입으신 분 無以我公歸兮(무이아공귀혜) : 우리.. 2016. 2. 5.
157. 破斧(파부)-詩經 豳風(시경 빈풍) 산과바다 詩經(시경) HOME 國風(국풍) 十五. 豳風(빈풍) 154~160 157 破斧(파부) 부서진 도끼 旣破我斧(기파아부) : 이미 내 도끼 부서지고 又缺我斨(우결아장) : 또 다른 내 도끼날이 빠졌다. 周公東征(주공동정) : 주공의 동쪽 정벌로 四國是皇(사국시황) : 사방이 다 황제의 땅이네. 哀我人斯(애아인사) : 우리 백성들 아기는 마음 亦孔之將(역공지장) : 또한 매우 크도다. 旣破我斧(기파아부) : 이미 내 도끼 부서지고 又缺我錡(우결아기) : 또 다른 내 솥이 부셔졌도다. 周公東征(주공동정) : 주공의 동쪽 정벌로 四國是吪(사국시와) : 사방이 다 교화되었네. 哀我人斯(애아인사) : 우리 백성들 아기는 마음 亦孔之嘉(역공지가) : 또한 매우 기쁘도다. 旣破我斧(기파아부) : 이미 내 도끼.. 2016. 2. 5.
156. 東山(동산)-詩經 豳風(시경 빈풍) 산과바다 詩經(시경) HOME 國風(국풍) 十五. 豳風(빈풍) 154~160 156 東山(동산) 동산 我徂東山(아조동산) : 나는 동산으로 가서 慆慆不歸(도도불귀) : 오랫동안 돌아오지 못했네. 我來自東(아래자동) : 내가 동산에서 올 때 零雨其濛(령우기몽) : 내린 비는 보슬비였다네. 我東曰歸(아동왈귀) : 나는 동쪽에서 돌아가자고 말했지만 我心西悲(아심서비) : 내 마음은 서쪽에 있어 서러웠네. 制彼裳衣(제피상의) : 저 군복 만들어 勿士行枚(물사행매) : 군사 되어 가지 않으리. 蜎蜎者蠋(연연자촉) : 꿈틀거리는 것은 뽕나무벌레 烝在桑野(증재상야) : 들판의 뽕나무에 있다 敦彼獨宿(돈피독숙) : 웅크리고 혼자 새우잠 자고 亦在車下(역재차하) : 또 수레 아래에서 있네. 我徂東山(아조동산) : 나는 .. 2016. 2. 5.
155. 鴟鴞(치효)-詩經 豳風(시경 빈풍) 산과바다 詩經(시경) HOME 國風(국풍) 十五. 豳風(빈풍) 154~160 155 鴟鴞(치효) 올빼미 鴟鴞鴟鴞(치효치효) : 올빼미여, 올빼미여 旣取我子(기취아자) : 이미 내 새끼 잡아먹었으니 無毁我室(무훼아실) : 우리 집안 허물지 말라 恩斯勤斯(은사근사) : 정성을 다하고 노력을 다했다 鬻子之閔斯(죽자지민사) : 어린 자식 불쌍하다 迨天之未陰雨(태천지미음우) : 비가 내리기전에 徹彼桑土(철피상토) : 저 뽕나무 밭에서 뽕 뿌리 캐어다가 綢繆牖戶(주무유호) : 창과 문을 얽어놓으면 今女下民(금녀하민) : 이제 너의 낮은 백성들이 或敢侮予(혹감모여) : 감히 나를 모욕할까 予手拮据(여수길거) : 내손이 다 닳도록 予所捋荼(여소랄도) : 갈대 이삭 뽑아오고 予所蓄租(여소축조) : 띠 풀 모아 쌓았도다 .. 2016. 2.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