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메꽃과39

둥근잎유홍초 Quamoclit coccinea Moench 산과바다 둥근잎유홍초 Quamoclit coccinea Moench  2018. 9. 24. 담음 * 유홍초(留紅草)는 잎이 새깃처럼 갈라져 있어 새깃유홍초라고도 하는데  * 둥근잎유홍초는 잎이 하트모양으로 둥글어 쉽게 구분이 되는군요.      둥근잎유홍초 Quamoclit angulata Bojer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통화식물목 >메꽃과 >유홍초속(Quamoclit) 메꽃과 유홍초속의 한해살이 덩굴식물로 능조라>라고도 한다. 열대 아메리카 원산이며 관상용으로 심는다. 덩굴은 나팔꽃처럼 자라면서 왼쪽으로 감아 올라간다. 길이는 3m 내외이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길며 심장 모양 원형이다. 잎 끝이 갑자기 뾰족해지며 밑 부분의 양쪽 끝이 뾰족한 각으로 된다.꽃은 8∼9월에 피고 노란빛.. 2018. 9. 29.
실새삼 Australian dodder 산과바다  실새삼 Australian dodder  2018. 8. 2. 담음 * 야산 길가 산국에 기생하여 자람을 담았는데 덩굴이 아주 가늘고 꽃의 총상꽃차례가 덩어리처럼 뭉쳐 달림이 새삼과 달라 구분이 되어 실새삼으로 올리는군요.  * 새삼속(Cuscuta) 식물의 기주(寄主=宿主)는 주로 칡덩굴이나 콩과식물이며 국화과 식물 그리고 버드나무, 찔레나무, 사철나무, 그 밖의 다양한 풀, 나무, 고사리 등으로 새삼속의 숙주가 다양하군요.                  실새삼 Cuscuta australis R.Br.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통화식물목 >메꽃과 >새삼속(Cuscuta) 한해살이 기생식물로 새삼에 비해 줄기가 아주 가늘고, 각처의 들, 밭둑, 콩밭에 나며 주로 콩과(大豆)에 기생.. 2018. 8. 3.
둥근잎유홍초 Quamoclit coccinea Moench 산과바다 둥근잎유홍초 Quamoclit coccinea Moench  2017. 10. 13. 담음 * 유홍초(留紅草)는 잎이 새깃처럼 갈라져 있어 새깃유홍초라고도 하는데  * 둥근잎유홍초는 잎이 하트모양으로 둥글어 쉽게 구분이 되는군요.     둥근잎유홍초 Quamoclit angulata Bojer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통화식물목 >메꽃과 >유홍초속(Quamoclit) 메꽃과 유홍초속의 한해살이 덩굴식물로 능조라>라고도 한다. 열대 아메리카 원산이며 관상용으로 심는다. 덩굴은 나팔꽃처럼 자라면서 왼쪽으로 감아 올라간다. 길이는 3m 내외이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길며 심장 모양 원형이다. 잎 끝이 갑자기 뾰족해지며 밑 부분의 양쪽 끝이 뾰족한 각으로 된다.꽃은 8∼9월에 피고 노란빛.. 2017. 10. 17.
애기나팔꽃 Cypress vine 산과바다애기나팔꽃 Cypress vine2017. 9. 15. 담음약 2cm정도의 별모양 작은 꽃이 흰색(홍색)으로 예쁘게 피었군요.      애기나팔꽃 Ipomoea lacunosa L.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통꽃식물목 >메꽃과 >나팔꽃속(Pharbitis) 덩굴성 일년생 초본으로 원산지는 북아메리카이다. 줄기는 긴 강모가 있으며 가끔 털이 없는 것도 있고 줄기는 다른 물체를 감는다. 잎은 끝이 뾰족한 넓은 달걀모양 또는 심장모양으로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가는 잎자루가 있다.꽃은 7~10월에 흰색 또는 연분홍색으로 피며,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꽃자루에 1~3개가 달린다. 꽃부리는 깔때기 모양, 지름 1.5~2.0cm, 끝은 5각형으로 얕게 갈라진다. 열매는 삭과(蒴果)로 2개의 봉선이 있으며.. 2017. 9. 16.
둥근잎나팔꽃 common morning glory 산과바다  둥근잎나팔꽃 common morning glory 2016. 10. 20. 담음 * 10월 하순인데도 늦은 시기에 꽃이 피고 있고, 나팔꽃(Pharbitis nil L.)에 비해 잎 가장자리가 갈라지지 않아  * 둥근잎나팔꽃으로 동정하여 올리는군요. 이것은 관상용으로 재배되던 것이 야생으로 퍼져 잡초화 된 것이라는군요.           둥근잎나팔꽃 Ipomoea purpurea (L.) Roth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가지목 >메꽃과 >나팔꽃속(Pharbitis) 열대 아메리카 원산으로 밭 주변에 흔히 자라는 한해살이풀이다. 줄기는 덩굴성이며, 길이 1~3m, 밑을 향하는 털이 있다. 잎자루는 가늘며, 길이 8~15cm이다. 잎은 어긋나며, 넓은 난형으로 길이 6~10cm, 폭 .. 2016. 10. 23.
유홍초(=새깃유홍초) Cypress vine 산과바다 유홍초(=새깃유홍초) Cypress vine  2016. 10. 20. 담음 * 삭과(蒴果)가 익어가는데 늦둥이 유홍초가 꽃을 보여주니 더 예뻐보이는군요. * 둥근잎유홍초에 비해 잎이 빗살같이 갈라져 있어서 새깃(가는잎)유홍초라고도 하는군요.      유홍초 Quamoclit pennata (Desr.) Bojer.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통화식물목 >메꽃과 >유홍초속(Quamoclit) 유홍초란 한자명 留紅草(유홍초)에서 온 이름이며 縷紅草(누홍초)라고도 한다.줄기는 길이 1~2m이고 덩굴이 왼쪽으로 감으면서 다른 물체에 기어 올라간다.잎은 어긋나기 하며 엽병이 있고 빗살처럼 완전히 갈라지며 열편은 선형이고 좌우로 퍼진다.꽃은 7~8월에 피며 홍색 또는 백색이고 잎겨드랑이에서 긴 .. 2016. 10. 22.
메꽃 Blind weed 산과바다 메꽃 Blind weed 2015. 6. 25. 담음 꽃모양이 나팔꽃을 닮아 혼동하기 쉬우나 나팔꽃은 메꽃보다 좀 늦게 7~8월에 피고 나팔꽃이 아침에 피는 데 반하여 메꽃은 한낮에도 피는 것이 다르군요. 옥황상제님! 지구에는 요즘 너무 가물어 비를 내려 주십시요, 하며 지구 소식을 전하는 듯 하늘을 향해 나팔을 불어 대는 군요. 메꽃(旋花) Calystegia japonica(THUNB). CHOIS.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통화식물목 >메꽃과 >메꽃속(Calystegia) 메꽃과의 여러해살이 덩굴식물로 들에서 흔히 자란다. 하얀 뿌리줄기가 왕성하게 자라면서 군데군데에 덩굴성 줄기가 자란다. 잎은 어긋나고 긴 타원형이고 잎의 아랫부분이 귓불모양으로 되어 있다. 잎자루는 길이 1∼4cm이다... 2015. 6. 25.
둥근잎유홍초 Quamoclit coccinea Moench 산과바다 둥근잎유홍초 Quamoclit coccinea Moench  2014. 9. 10. 담음      둥근잎유홍초 Quamoclit angulata Bojer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통화식물목 >메꽃과 >유홍초속(Quamoclit) 메꽃과 유홍초속의 한해살이 덩굴식물로 능조라>라고도 한다. 열대 아메리카 원산이며 관상용으로 심는다. 덩굴은 나팔꽃처럼 자라면서 왼쪽으로 감아 올라간다. 길이는 3m 내외이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길며 심장 모양 원형이다. 잎 끝이 갑자기 뾰족해지며 밑 부분의 양쪽 끝이 뾰족한 각으로 된다.꽃은 8∼9월에 피고 노란빛을 띤 홍색이며 긴 꽃대 끝에 3∼5개씩 달린다. 꽃은 나팔꽃을 축소시킨 것과 같은 모양이고 꽃받침 수술은 각각 5개씩이며 암술은 1개이다... 2014. 9. 11.
고구마 꽃이 피었습니다. 산과바다 고구마 Sweet Potato  2014. 7. 14. 담음 * 텃밭에 고구마 두골 심었는데 고라니가 잎을 따먹은 개체에서 만 꽃이 피었군요.  * 오랜만에 고구마 꽃을 보는군요. 고구마 꽃말처럼 행운이 따랐나봅니다.      고구마 Ipomoea batatas (L.) Lam.      속씨식물 >쌍떡잎식물강 >가지목 >메꽃과 >나팔꽃속(Pharbitis) 밭에서 재배한다. 줄기가 땅위로 퍼진다. 뿌리는 포복하는 줄기에서 뿌리가 내리고 덩이뿌리는 주로 타원형이지만 그 밖의 여러 가지 형태의 것이 있으며 겉의 색도 여러 가지이고 자르면 흰빛이 돌며 질이 치밀하고 홍자색인 것도 있다.잎은 어긋나기하며 엽병이 길고 밑은 얕은 심장저로서 양쪽 가장자리에 1~3개씩의 열편이 있으나 깊게 갈라지는 것도 .. 2014. 7. 14.
애기나팔꽃 Cypress vine 산과바다  애기나팔꽃 Cypress vine 2013. 10. 14. 담음           애기나팔꽃 Ipomoea lacunosa L.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통꽃식물목 >메꽃과 >나팔꽃속(Pharbitis) 덩굴성 일년생 초본으로 원산지는 북아메리카이다. 줄기는 긴 강모가 있으며 가끔 털이 없는 것도 있고 줄기는 다른 물체를 감는다. 잎은 끝이 뾰족한 넓은 달걀모양 또는 심장모양으로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가는 잎자루가 있다.꽃은 7~10월에 흰색 또는 연분홍색으로 피며,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꽃자루에 1~3개가 달린다. 꽃부리는 깔때기 모양, 지름 1.5~2.0cm, 끝은 5각형으로 얕게 갈라진다. 열매는 삭과(蒴果)로 2개의 봉선이 있으며 공 모양이다.  * 뿌리는 식용한다.* 북아메리카.. 2013. 10. 15.
나팔꽃 Morning Glory 산과바다  나팔꽃 Morning Glory (Lobedleaf Pharbitis) 2013. 8. 31. 담음          나팔꽃 Pharbitis nil CHOIS.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통꽃식물목 >메꽃과 >나팔꽃속 Pharbitis 인도가 원산지인 한해살이 덩굴식물이다. 관상용으로 심지만 길가나 빈터에 야생하기도 한다.줄기는 아래쪽을 향한 털들이 빽빽이 나며 길게 뻗어 다른 식물이나 물체를 왼쪽으로 3m 정도 감아 올라간다.잎은 어긋나고 긴 잎자루를 가지며 둥근 심장 모양이고 잎몸의 끝이 보통 3개로 갈라진다. 갈라진 조각의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톱니가 없으며 표면에 털이 있다.꽃은 7∼9월에 푸른 자주색, 붉은 자주색, 흰색, 붉은색 등 여러 가지 빛깔로 피고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 2013. 8. 31.
둥근잎유홍초 留紅草 Quamoclit coccinea 산과바다 둥근잎유홍초 留紅草 Quamoclit coccinea 2013. 8. 31. 담음      둥근잎유홍초 Quamoclit angulata Bojer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통화식물목 >메꽃과 >유홍초속(Quamoclit) 메꽃과 유홍초속의 한해살이 덩굴식물로 능조라>라고도 한다. 열대 아메리카 원산이며 관상용으로 심는다. 덩굴은 나팔꽃처럼 자라면서 왼쪽으로 감아 올라간다. 길이는 3m 내외이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길며 심장 모양 원형이다. 잎 끝이 갑자기 뾰족해지며 밑 부분의 양쪽 끝이 뾰족한 각으로 된다.꽃은 8∼9월에 피고 노란빛을 띤 홍색이며 긴 꽃대 끝에 3∼5개씩 달린다. 꽃은 나팔꽃을 축소시킨 것과 같은 모양이고 꽃받침 수술은 각각 5개씩이며 암술은 1개이다. 열매는.. 2013. 8. 31.
갯메꽃 Sea bells 산과바다 갯메꽃 Sea bells 2013. 6. 27. 담음 * 5월에 꽃을 피우는데 늦게핀 갯메꽃 몇송이를 담았다.       갯메꽃 Calystegia soldanella (L.) Roem. & Schult.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통화식물목 >메꽃과 >메꽃속(Calystegia)  바닷가의 모래땅에서 자란다. 줄기는 땅속줄기에서 줄기가 갈라져 지상으로 뻗거나 다른 물체에 기어 올라간다. 뿌리는 희고 굵은 땅속줄기가 모래 속에서 옆으로 뻗는다.잎은 어긋나기하며 신원형이고 끝이 오목하거나 둥글며 길이 2~3cm, 폭 3~5cm로서 기부는 깊게 파여 있고 가장자리에 물결모양의 요철이 생긴 것도 있고 엽병은 길이 2~5cm로서 잎보다 길다.꽃은 5~6월에 피며 연한 홍색이고 지름 4~5cm인.. 2013. 6. 28.
둥근잎유홍초 Quamoclit coccinea 산과바다 둥근잎유홍초 Quamoclit coccinea  2012. 9. 26. 담음      둥근잎유홍초 Quamoclit angulata Bojer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통화식물목 >메꽃과 >유홍초속(Quamoclit) 메꽃과 유홍초속의 한해살이 덩굴식물로 능조라>라고도 한다. 열대 아메리카 원산이며 관상용으로 심는다. 덩굴은 나팔꽃처럼 자라면서 왼쪽으로 감아 올라간다. 길이는 3m 내외이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길며 심장 모양 원형이다. 잎 끝이 갑자기 뾰족해지며 밑 부분의 양쪽 끝이 뾰족한 각으로 된다.꽃은 8∼9월에 피고 노란빛을 띤 홍색이며 긴 꽃대 끝에 3∼5개씩 달린다. 꽃은 나팔꽃을 축소시킨 것과 같은 모양이고 꽃받침 수술은 각각 5개씩이며 암술은 1개이다. 열매는 삭과.. 2012. 9. 27.
새삼 dodder 산과바다 새삼 dodder  2012. 9. 10. 담음       새삼 Cuscuta japonica CHOIS.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통화식물목 >메꽃과 >새삼속(Cuscuta) 고려 때의 이두 명칭으로는 조이마(鳥伊麻)라 하였고 조선 때는 조마(鳥麻)라 하였다. ≪동의보감≫에는 ‘새삼배’로, ≪훈몽자회訓蒙字會≫에는 ‘새삼’으로 기재되었다. 학명은 Cuscuta japonica CHOIS.이다.주로 목본식물에 기생하는 식물로 원줄기는 철사와 같고 황적색이 돈다. 다른 나무에 올라붙게 되면 뿌리가 없어지고 기생식물에서 양분을 흡수한다. 잎은 퇴화하여 비늘조각 모양이고 삼각형이다.꽃은 8∼9월에 흰색으로 피고 수상꽃차례를 이루며 달리고, 꽃차례는 여러 개가 모여 덩어리를 이룬다. 꽃받침은 .. 2012. 9. 13.
실새삼 Australian dodder 산과바다 실새삼 Australian dodder  2012. 7. 1. 담음 * 야산 길가 쑥에 기생함을 담았는데 덩굴이 아주 가늘고 꽃의 총상꽃차례가 덩어리처럼 뭉쳐 달림이 새삼과 달라 구분이 되어 실새삼으로 올리는군요.       실새삼 Cuscuta australis R.Br.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통화식물목 >메꽃과 >새삼속(Cuscuta) 한해살이 기생식물로 새삼에 비해 줄기가 아주 가늘고, 각처의 들, 밭둑, 콩밭에 나며 주로 콩과(大豆)에 기생한다. 기주는 주로 콩과식물이며 국화과 식물 그리고 버드나무, 찔레나무, 사철나무, 그 밖의 다양한 풀, 나무, 고사리 등 기주도 다양하다.줄기는 길이가 50cm에 달하며 전체에 털이 없고 왼쪽으로 감으면서 뻗으며 황색이고 실 모양으로 기.. 2012. 7. 3.
갯메꽃 Sea bells 산과바다 갯메꽃 Sea bells 2012. 6. 5. 우도에서 담음      갯메꽃 Calystegia soldanella (L.) Roem. & Schult.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통화식물목 >메꽃과 >메꽃속(Calystegia)  바닷가의 모래땅에서 자란다. 줄기는 땅속줄기에서 줄기가 갈라져 지상으로 뻗거나 다른 물체에 기어 올라간다. 뿌리는 희고 굵은 땅속줄기가 모래 속에서 옆으로 뻗는다.잎은 어긋나기하며 신원형이고 끝이 오목하거나 둥글며 길이 2~3cm, 폭 3~5cm로서 기부는 깊게 파여 있고 가장자리에 물결모양의 요철이 생긴 것도 있고 엽병은 길이 2~5cm로서 잎보다 길다.꽃은 5~6월에 피며 연한 홍색이고 지름 4~5cm인 깔때기 모양이며 잎겨드랑이의 화경에서 1개씩 위를 .. 2012. 6. 13.
애기나팔꽃 Cypress vine 산과바다  애기나팔꽃 Cypress vine2011. 9. 13. 담음          애기나팔꽃 Ipomoea lacunosa L.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통꽃식물목 >메꽃과 >나팔꽃속(Pharbitis) 덩굴성 일년생 초본으로 원산지는 북아메리카이다. 줄기는 긴 강모가 있으며 가끔 털이 없는 것도 있고 줄기는 다른 물체를 감는다. 잎은 끝이 뾰족한 넓은 달걀모양 또는 심장모양으로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가는 잎자루가 있다.꽃은 7~10월에 흰색 또는 연분홍색으로 피며,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꽃자루에 1~3개가 달린다. 꽃부리는 깔때기 모양, 지름 1.5~2.0cm, 끝은 5각형으로 얕게 갈라진다. 열매는 삭과(蒴果)로 2개의 봉선이 있으며 공 모양이다.  * 뿌리는 식용한다.* 북아메리카 원산.. 2011. 9.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