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 佛 心***242

六祖法寶壇經 (行由品) 산과바다 六祖壇經 선종(禪宗)의 제6대조인 혜능(慧能)의 자서전적 일대기. ≪육조법보단경(六祖法寶壇經)≫·≪법보단경(法寶壇經)≫이라고도 한다. 자신이 육조의 위치에 이르기까지의 도정(道程), 그리고 문인들을 위한 갖가지 설법을 담고 있다. 엄밀한 의미로 말하면 경(經)일 수 없.. 2015. 2. 3.
千手經 천수경 산과바다 千手經 천수경 千手經은 관세음보살이 부처에게 청하여 허락을 받고 설법한 경전이다. 본래 명칭은 《천수천안관자재보살광대원만무애대비심대다라니경(千手千眼觀自在菩薩廣大圓滿無崖大悲心大陀羅尼經》으로, ‘한량없는 손과 눈을 가지신 관세음보살이 넓고 크고 걸림 .. 2015. 1. 31.
金剛經 核心 (金剛般若波羅密經) 산과바다 金剛經 核心 (金剛般若波羅密經) 불교 경전이란 부처님이 깨달음을 얻으신 이후 45년간 사람들에게 베푸신 대기설법(對機說法)을 엮은 것을 말합니다. 대기설법이라는 것은 사람들의 소질과 성향에 맞게 불교의 진리를 설해주는 것입니다. 경전은 좁은 의미에서는 부처님의 말.. 2015. 1. 23.
金剛經 譯解 (金剛般若波羅密經) 산과바다 금강경 金剛經 다른 표기 언어 Vajracchedika-Prajnaparamita-Sutra 동아시아에서 널리 읽히고 있는 이 경은 비구와 보살(붓다가 될 사람)들의 모임에서 설법주(說法主)인 붓다와 질문자인 제자 사이의 대화 형식으로 되어 있다. 〈금강경〉은 실체 없는 현상세계의 성질에 대해 다음과 같.. 2015. 1. 23.
金剛經 全文(金剛般若波羅密經) 산과바다 金剛經 全文 (金剛般若波羅密經) 1. 法會因由分 如是我聞 一時佛在 舍衛國 祇樹給孤獨園 與大比丘衆 千二百五十人俱 爾時世尊 食時 着衣持鉢 入 舍衛大城 乞食 於其城中 次第乞已 還至本處 飯食訖 收衣鉢 洗足已 敷座而坐 2. 善現起請分 時 長老 須菩堤 在 大衆中 卽從座起 偏.. 2015. 1. 23.
법구경 전문(21장-26장) 산과바다 법구경 HOME 법구경 제21장 광연품(廣衍品) 【290】조그만 쾌락을 버려 施安雖少 其報彌大 慧從小施 受見景福 시안수소 기보미대 혜종소시 수견경복 조그만 쾌락을 버림으로써 큰 기쁨을 얻을 수 있나니 지혜로운 사람은 큰 기쁨을 위해 조그만 쾌락은 즐거이 버리네. 【291】조그만 노고를 베풀어 施勞於人 而欲望祐 殃咎歸身 自遭廣怨 시로어인 이욕망우 앙구귀신 자조광원 조그만 노고를 남에게 베풀어 거기서 큰 복을 얻고자 하면 그 재앙이 제 몸으로 돌아와 스스로 많은 원망 받게 되리 【292】해야 할 일을 소홀히 하고 己爲多事 非事亦造 伎樂放逸 惡習日增 기위다사 비사역조 기락방일 악습일증 해야 할 일을 소홀히 하고 해서는 안 될 일을 즐거이 해서 풍류로써 함부로 방탕하게 놀면 나쁜 버릇은 날로 늘어가리 .. 2008. 8. 8.
법구경 전문(11장-20장) 산과바다 법구경 HOME 법구경 제11장 노모품(老耗品) 【147】많은 생각은 병을 부른다 見身形範 倚以爲安 多想致病 豈知非眞 견신형범 의이위안 다상치병 기지비진 내 몸의 모습을 보고 그것을 의지해 편하다 하지만 많은 생각은 병을 부르니 그것이 참이 아님을 어찌 아는가. 【148】몸이 .. 2008. 8. 8.
법구경 전문(1장-10장) 산과바다 법구경 HOME 법구경 제1장 대구(對句) 【001】惡한 생각을 하면 괴로움이 따른다. 心爲法本 心尊心使. 中心念惡 卽言卽行. 罪苦自追 車轢於轍. 심위법본 심존심사. 중심념악 즉언즉행. 죄고자추 거력어철. 마음은 모든 일의 根本이 되어 主人으로 모든 일 시키나니 마음속에 惡한 .. 2008. 8. 8.
법구경 HOME 산과바다 법구경 HOME 법구경 전문(1장~10장) 법구경 전문(10장~20장) 법구경 전문(21장~26장) 법구경(法句經) 원시불교 경전. 팔리어로 된 경전을 담마파다(Dhammapada)라 하며, 소부(小部)에 속한다. 여러 자료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 중의 하나이며 불교도들 사이에 가장 널리 애창되어 오늘에 이른다. 시(운문)형식인데 현재 우리가 볼 수 있는 법구경은 모두 26장으로 나누고 그 게송은 장장 423수의 시를 옮긴 팔리어 본과 팔리어 원전의 26장을 500수의 시로 번역하고 여기에 13장 250수의 게송을 추보하고 있는 것이 한역 법구경이다. 문장은 평이하고 분명하며, 깊은 종교적 경지가 담겨있어 불교의 바이블역할을 하고 있다. 또 법구비유경(法句譬喩經), 간다리다르마파다, 우다나바르가.. 2008. 8. 8.
화엄일승법계도(華嚴一乘法界圖)-의상대사가 화엄의 요지를 밝힌 글 산과바다 화엄일승법계도(華嚴一乘法界圖) 의상대앞 의상기념관에 들리어 화엄일승법계도를 담으며 생각함 화엄일승법계도[華嚴一乘法界圖] 신라의 고승 의상대사(義湘大師)가 화엄의 요지를 밝힌 글. 낙산사 의상기념관에서 촬영 화엄일승법계도1권 1책. 670년 7월 중국 지상사(至相寺)에서 저술한 것이다. 의상의 저서 중에서 유일하게 전하는 책이기도 하다. 의상은 그냥 〈법계도〉라고 했으나 〈화엄일승법계도장〉·〈화엄법계도〉·〈일승법계도〉·〈법도장 法圖章〉·〈법성도 法性圖〉·〈해인도 海印圖〉 등으로도 불린다. 저자는 모든 것에 주인이 따로 있지 않음을 밝히기 위해 일부러 저자명을 기록하지 않는다고 하고 다만 향상대사(香象大師:의상의 스승인 智儼)라고만 밝혔다. 이때문에 이 책이 법장(法藏) 또는 현수(賢首)의 작품이라.. 2007. 3. 10.
불조삼경 (佛祖三經) - 불설사십이장경(佛說四十二章經), 불유교경(佛遺敎 산과바다 불조삼경 (佛祖三經) 설악산 신흥사앞 불상 불설사십이장경(佛說四十二章經), 불유교경(佛遺敎經), 위산경책(위山警策)을 불조삼경이라 한다. 불조삼경은 1384년(우왕 10) 고려 후기에 전래된 송(宋)나라 판본을 복각한 목판으로 찍은 불교 경전. 지정번호-보물 제1224호 소장-개인 시대-고려 후기(1384) 종류-불교 경전 보물 제1224호. 목판본. 1책. 개인소장. 이 책은 인도에서 제일 먼저 중국에 전해진 것으로 알려진 《불설사십이장경(佛說四十二章經)》과 석가의 최후 가르침인 《불유교경(佛遺敎經)》 및 중국 위앙종( 仰宗)의 조사(祖師) 영우(靈祐)의 《위산경책( 山警策)》을 합철한 것으로, 몽산(蒙山) 덕이(德異)의 서문이 있으며, 이색(李穡)의 발문을 통하여 승려 지봉(志峯)이 김씨 등.. 2007. 3. 10.
사십이장경 산과바다 속리산 법주사 사십이장경(四十二章經) 총 서 (總 序) 부처님께서 도를 이루시고 생각하시되 중생을 제도함에는 먼저 욕심과 번뇌를 제거하고 적멸의 자리에 듦이 최상의 방법이라 하시고 곧 선정에 드시사 욕심, 번뇌의 모든 마군들을 항복 받으신 후 녹야원에 계시어 고집멸.. 2006. 10. 8.
한국 불교 경전 산과바다 한국 불교 경전 57. 유 교 경 (遺敎經) 은 부처님이 입멸에 즈음하여 제자들에게 마지막으로 설법하는 장면을 설하고 있는 경전이다. 산스크리트 원전과 티벳본은 전하지 않고 한역본만이 유일하게 남아 있는 경으로 5세기 초 구마라집(鳩摩羅什)이 번역했다. 부처님은 녹야원에서 최초의 설법으로 교진여 등 다섯 비구를 교화하고, 최후의 설법에서 수발타라를 제도함으로써 중생제도의 사명을 마치게 되니, 부처님께서는 이제 곧 쿠시나가라의 사라쌍수 아래에서 입멸할 것임을 예고한다. 그런 다음 제자들에게 자신의 입멸 후에는 계율을 잘 지키고 모든 욕망을 삼가하며, 마음을 한곳에 머물게 하여 흩어지지 않도록 집중해서 깨달음의 지혜를 얻으라고 설한다. 그리고 법신(法身)은 언제 어느 곳에서나 항상 머물러 있지만, .. 2006. 9. 18.
신앙 찬탄 경전 산과바다 신앙 찬탄 경전 49. 정토삼부경 아미타불은 깨끗한 땅에서 중생들을 거두어 주는 임이시고, 석가여래는 깨끗한 땅으로 지도하는 스승이시며, 관세음보살과 대세지보살은 부처님을 도와서 교화를 펴시는 분들이다. 그러므로 일대시교(一代時敎)의 여러 경전에서는 간절하게 중생들이 왕생하도록 권하고 있는 것이다. 여기서 아미타불은 무량수경에 의하면, 옛날에 법장(法藏)이라는 보살이 지금부터 10겁(劫) 전에 최상의 깨달음을 얻어서 중생들을 제도하려는 원력을 세우고, 오랫동안 수행을 거듭하여 마침내 그 원이 성취됨에 부처가 되어서 현재는 극락세계에 머물고 계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아미타불은 보살도를 완성하여 타방세계(他方世界)에 출현하신 부처님을 말한다. 우리 나라에서도 일찍부터 이러한 타방불신앙이 성행하여.. 2006. 9. 18.
계율 경전 산과바다 계율 경전 45. 우바새계경 우바새 계경은 善生經이라고도 불리워지고 있으며 선생장자를 위하여 보살계를 설한것이다. 그러나 戒라고 하여도 단순히 준봉해야할 律條를 제시한 것이 아니라, 널리 대승보살의 願行을 설하고 그것이 혼연하게 보살계의 내용을 이루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특히 戒相에 관해서는 출가의 보살에게는 8중, 재가의 보살에게는 6중이라고 하고, 8중은 생략하고, 6중만을 상세히 설하고, 또 6중법에 이어서 28失意罪가 설해지고, 불살, 불도, 불사음,불망어,불음주의 5계의 죄과와 그 악보에 대해서도 설해지고, 1일 1야 동안 수지되는 8齊戒도 설해지고, 또 나아가서 10선에 관해서도 설해져 있다. 集會品 제 1에는 선생장자가 외도에게는 6방경례의 행법이 있어命과 財를 증장한다고 설하는데.. 2006. 9. 18.
밀교 경전 산과바다 밀교 경전 41. 대 일 경 「대일경」은 「대비로자나성불신변가지경」의 별칭으로서 7세기 중엽에 성립한 것으로 보입니다. 전체 7권 36품의 진언삼부경 중 하나입니다. 대일여래(비로자나불)가 체험한 성불의 경지와 비로자나불이 나타내 보여 주는 신변가지(身變加持)를 설하는 방광(方廣)대승경 중의 가장 으뜸이 되며, 밀교의 근본경전 중의 하나로서 제1「입진언문주심품」부터 제31「촉루품」이상 6권까지가 『대일경』의 원본으로서 당나라 학승인 무행(無行)이 인도에서 가져온 것입니다. 그리고 '제32진언행학처품' 이하 제36진 언사업품 이상 7품까지는 공양절차법으로서 선무외삼장(637~735)이 가져온 것으로, 이것을 원본과 함께 묶어 번역한 것 입니다. ◆ 대일경의 구성 「대일경」은 내용상 크게 두 부분으.. 2006. 9. 18.
법화 화엄 경전 산과바다 법화 화엄 경전 37. 법 화 경 법화경은 대승불교의 경전이다. 잘 알려진대로 부파불교가 난해하고 번쇄한 교리를 수립하고 어려운 실천에 전념하던때 민중들과 그 지도자들 사이에 하나의 새로운 종교개혁운동이 일어났는데 그것이 대승불교이다. 이 대승불교는 한때 한곳에서 급속히 흥기한 것이 아니고 오랜 동안 여기 저기에서 운동이 일어나면서 여러 가지가 한데 어울려 대승불교를 형성해 갔다. 이들의 주장은 부파불교에서 잊고 있었던 석가모니. 붓다의 기본입장으로 복귀하려는 면도 적지 않다. 그러므로 부파불교의 일부 엘리트 중심의 불교나 전문가 중심의 불교가 아닌 모든 인간, 생명있는 모든 존재에게 널리 개방할 것을 주장했다. 스스로의 실천에 의해 깨달음을 증득하는 것은 자기자신이지 타인이 아니다. 자기만의 .. 2006. 9. 18.
방등경전 산과바다 방등경전 30. 대집경 (大集經) 은 의 준말로 전체 17품 60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방등이라 함은 대승경전을 통칭하는 말이요, 대집이라 함은 많이 모았다는 말로서 곧 대승의 교리를 많이 모았다는 뜻이다. 중국 수나라 때 승취(僧就)가 편찬한 경으로 제1품에서 제11품까지의 26권과 제13품의 3권은 북량의 담무참(曇無讖)이 번역했다. 제12품 4권은 송나라 때 지엄(智儼)과 보운(寶雲)의 공동번역(427년)으로 이라는 별행본으로 전해오고 있다. 제14품 12권, 제15품 11권, 제16품 2권은 나련제야사 의 번역(566년)으로 각기 으로 독립되어 있다. 제17품 2권도 후한의 안세고(安世高)가 번역한 것으로 이라는 별행본으로 독립되어 있다. 경전의 전반부를 살펴보면 부처님이 욕계와 색계의.. 2006. 9. 18.